KR200278801Y1 -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801Y1
KR200278801Y1 KR2019990012636U KR19990012636U KR200278801Y1 KR 200278801 Y1 KR200278801 Y1 KR 200278801Y1 KR 2019990012636 U KR2019990012636 U KR 2019990012636U KR 19990012636 U KR19990012636 U KR 19990012636U KR 200278801 Y1 KR200278801 Y1 KR 200278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winker
fixed
emblem
w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102U (ko
Inventor
탁양호
Original Assignee
배명진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진,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명진
Priority to KR2019990012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801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801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링시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게 하여 시각적인 불편함을 해소하고, 윙커 본체 및 윙커 스테이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체(3)의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된 버톰 브릿지(5)의 전방에 브래킷(20)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20)에 고정되는 커버 스테이(21) 양측에 중공상의 엠블렘 스테이(22)를 고정하며, 상기 엠블렘 스테이(22) 양측에 윙커 스테이(23)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윙커 스테이(23)에 윙커 본체(24)를 고정하고, 상기 윙커 본체(24)에 연결되는 케이블(8)을 엠블렘 스테이(22) 내부에 배치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FRONT WINKER FIXING MEANS OF MOTORCYCLE}
본 고안은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는 차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회전 및 차선변경) 방향을 제 3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주행 방향측의 윙커를 조작하므로써 제 3자가 현차량의 주행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는 도 1 및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윙커 본체(1)를 윙커 스테이(2)에 결합한 후 상기 윙커 스테이(2)를 차체(3)의 프런트 포크 파이프(4)와 고정된 버톰 브릿지(5)의 상측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하는 것인 바, 상기 윙커 본체(1)는 측부에 설치홀(6)이 형성된 보스(7)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6) 내측으로 벌브(미도시)와 연결되는 케이블(8)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윙커 스테이(2)는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끼워져 볼트(9) 등에 의해서 고정되는 파이프 고정홀(10)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홀(10)의 일측에 상기 윙커 본체(1)의 설치홀(6) 내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11)는 상기 케이블(8)이 끼워질 수 있게 중공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부(11)의 내부에 끼워진 케이블(8)이 헤드 라이트(12) 측으로 배치되게 연결부(11)의 중심과 통하는 안내홀(13)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윙커 스테이(2)의 재질은 러버로서 차체(3)의 진동을 흡수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윙커 본체(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성형시 연결부(11)에 볼트홀(14)이 형성된 플레이트(14')를 인써트하여 상기 윙커 본체(1)의 보스(7)에 형성된 고정홀(7')과 윙커 스테이(2)의 볼트홀(14)을 대향시켜 볼트(9)로 고정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5는 지지체로서 양측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된 윙커 스테이(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16은 버톰 브릿지(5)에 고정된 브래킷으로서 전방에 엠블렘(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17은 핸들이다.
상기 윙커 스테이(2)에 윙커 본체(1)의 고정은, 윙커 본체(1)의 케이블(8)을 윙커 스테이(2)의 내측에 끼워 안내홀(13)로 인출시키고, 상기 윙커 스테이(2)의 연결부(11)를 윙커 본체(1)의 보스(7) 내측 설치홀(6)에 끼워 볼트홀(14)과 고정홀(7')이 대향되게 한 후 볼트(9)로 고정한다. 상기 윙커 본체(1)와 윙커 스테이(2)를 고정한 후 윙커 스테이(2)의 파이프 고정홀(10)을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결합한 후 볼트(9)로 고정하고, 양측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된 윙커 스테이(2)를 지지체(15)로 지지시키며, 상기 안내홀(13)로 돌출된 케이블(8)을 헤드 라이트(12) 측의 메인 케이블(미도시)과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는, 양측 프런트 포크 파이프(4) 외측 윙커 스테이(2)의 안내홀(13)로 케이블(8)을 인출시켜 헤드 라이트(12) 측으로 케이블(8)을 배치하기 때문에 케이블(8)의 배선작업이 복잡함과 아울러 핸들링시 케이블(8)의 유동(또는 뒤엉킴)으로 인한 시각적인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윙커 본체(1)가 고정된 각각의 윙커 스테이(2)를 양측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체(15)로 양측 윙커 스테이(2)를 지지하기 때문에 윙커 본체(1) 및 윙커 스테이(2)의 고정작업이 복잡하고, 상기 윙커 스테이(2)의 하측 버톰 브릿지(5)에 엠블렘을 별도로 설치하므로 공간적인 제약 및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핸들링시 케이블이 유동되지 않게 하여 시각적인 불편함을 해소하고, 윙커 본체 및 윙커 스테이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의 프런트 포크 파이프에 고정된 버톰 브릿지의 전방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커버 스테이 양측에 중공상의 엠블렘 스테이를 고정하며, 상기 엠블렘 스테이 양측에 윙커 스테이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윙커 스테이에 윙커 본체를 고정하고, 상기 윙커 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엠블렘 스테이 내부에 배치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륜자동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 버톰 브릿지 21: 커버 스테이 22: 엠블렘 스테이 23: 윙커 스테이
24: 윙커 본체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3)의 프런트 포크 파이프(4)에 고정된 버톰 브릿지(5)의 전방에 브래킷(20)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20)에 고정되는 커버 스테이(21) 양측에 중공상의 엠블렘 스테이(22)를 고정하며, 상기 엠블렘 스테이(22) 양측에 윙커 스테이(23)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윙커 스테이(23)에 윙커 본체(24)를 고정하고, 상기 윙커 본체(24)에 연결되는 케이블(8)을 엠블렘 스테이(22) 내부에 배치되게 한 것이다.
상기 윙커 본체(24)는 측부에 설치홀(25)이 형성된 보스(26)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25) 내측으로 벌브(미도시)와 연결되는 케이블(8)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윙커 스테이(23)의 재질은 러버로서 차체(3)의 진동을 흡수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윙커 본체(24)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성형시 볼트홀(27)이형성된 플레이트(27')를 양측에 인써트하여 상기 윙커 본체(24)의 보스(26)에 형성된 고정홀(26')과 윙커 스테이(23)의 일측 볼트홀(27)을 대향시켜 볼트(9)로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윙커 스테이(23)의 타측 볼트홀(27)은 엠블렘 스테이(22)에 형성된 고정홀(22')에 대향시켜 상기의 방법과 같이 볼트(9)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 스테이(21)에 고정되는 엠블렘 스테이(22)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8)이 인출될 수 있게 일부를 개방하고, 엠블렙 스테이(22)의 전방에 엠블렘(28)을 설치한 것이며, 상기 커버 스테이(21)와 엠블렘 스테이(22)는 용접등의 방법으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상기 윙커 스테이(23)가 결합되는 엠블렘 스테이(22)는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경을 소구경으로 형성한 것인 바, 상기 엠블렘 스테이(22)에 끼워지는 윙커 스테이(23) 역시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필요시에 엠블렘 스테이(22) 및 윙커 스테이(23)의 직경을 대구경으로 형성하여 윙커 스테이(23)에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헤드 라이트이고, 17은 핸들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윙커 본체(24)의 케이블(8)이 외측으로 배치되게 한 상태에서 윙커 스테이(23)의 일측을 윙커 본체(24)의 보스(26) 내측 설치홀(25)에 끼워 볼트홀(27)과 고정홀(26')이 대향되게 한 후 볼트(9)로 고정한다. 그리고 케이블(8)을 엠블렘 스테이(22) 일측 내부에 끼운후 엠블렘 스테이(22) 타측에서 케이블(8)을 인출하고, 상기 윙커 스테이(23)의 타측을 엠블렘 스테이(22) 일측에 끼워 볼트홀(27)과 고정홀(22')이 대향되게 한 후 볼트(9)로 고정한다. 상기한 윙커본체(24)와 윙커 스테이(23) 및 엠블렘 스테이(22)를 고정할 때 케이블(8)은 윙커 스테이(23)의 결합부분 외면에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고, 엠블렘 스테이(22)와 윙커 스테이(23)를 고정할 때 엠블렘 스테이(22) 타측에서 케이블(8)을 당겨 윙커 스테이(23) 외면에 케이블(8)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상기 윙커 본체(24)와 윙커 스테이(23)를 엠블렘 스테이(22)에 고정하고, 상기 엠블렘 스테이(22)에 엠블렘(28)을 고정한 후 커버 스테이(21)를 버톰 브릿지(5)에 고정된 브래킷(20)에 고정하며, 상기 엠블렘 스테이(22) 타측으로 돌출된 케이블(8)을 헤드 라이트(12) 측의 메인 케이블(미도시)과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엠블렘 스테이 내부에 윙커 본체의 케이블을 설치하여 상기 케이블이 커버 스테이 중심측에서 헤드 라이트 측으로 배치되는 것이므로, 케이블의 배선작업이 간단해 짐과 아울러 핸들링시 케이블의 유동(또는 뒤엉킴)이 발생하지 않아 시각적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에 엠블렘 스테이가 고정되고 그 타단에 윙커 본체를 각각 고정한 커버 스테이를 간단하게 버톰 브릿지에 고정하게 되어 윙커 본체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고, 상기 엠블렘 스테이 정면에 엠블렘을 설치하므로 공간확보 및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차체의 프런트 포크 파이프에 고정된 버톰 브릿지의 전방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커버 스테이 양측에 중공상의 엠블렘 스테이를 고정하며, 상기 엠블렘 스테이 양측에 윙커 스테이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윙커 스테이에 윙커 본체를 고정하고, 상기 윙커 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엠블렘 스테이 내부에 배치되게 한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엠블렘 스테이 전방에 엠블렘을 설치한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KR2019990012636U 1999-06-30 1999-06-30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KR200278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36U KR200278801Y1 (ko) 1999-06-30 1999-06-30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36U KR200278801Y1 (ko) 1999-06-30 1999-06-30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2U KR20010002102U (ko) 2001-01-26
KR200278801Y1 true KR200278801Y1 (ko) 2002-06-21

Family

ID=5476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636U KR200278801Y1 (ko) 1999-06-30 1999-06-30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8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2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8283B1 (en) Blinker device
US8016308B2 (en) Rear fender of motorcycle
EP3061679B1 (en) Rear structur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BR102013021917B1 (pt) Estrutura da porção traseira para um veículo do tipo selim
JP3272538B2 (ja) 車両のテールランプ装置
KR200278801Y1 (ko) 이륜자동차의 프런트 윙커 고정구조
KR101114080B1 (ko) 자동 이륜차의 배선 유지 구조
JP4130016B2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装置
BR112015020552B1 (pt) Estrutura para parte frontal de veículo com selim
JP2005119609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H0356950B2 (ko)
JPH0274482A (ja) フルカウル型自動二輪車におけるサイドバンパ装置
JP2000118465A5 (ko)
JP2972070B2 (ja) 自動2・3輪車
ITTO970154A1 (it) Struttura per il montaggio di una marmitta
JP3426853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CN218198607U (zh) 一种摩托车车头结构
CN217146225U (zh) 一种代步车前转向灯结构
US20230202602A1 (en) Saddled vehicle
KR200146710Y1 (ko) 자동 2륜차의 차체
BR112019017477A2 (pt) Estrutura de suporte de para-lama traseiro para veículos do tipo para montar
KR200268274Y1 (ko) 이륜자동차
KR20015162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지지용 패널구조
JPH04118391A (ja) 自動二輪車のワイヤー類保持装置
JPH04101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