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884Y1 -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884Y1
KR200277884Y1 KR2020020007283U KR20020007283U KR200277884Y1 KR 200277884 Y1 KR200277884 Y1 KR 200277884Y1 KR 2020020007283 U KR2020020007283 U KR 2020020007283U KR 20020007283 U KR20020007283 U KR 20020007283U KR 200277884 Y1 KR200277884 Y1 KR 200277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jection
deodorant
clothing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열
Original Assignee
유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열 filed Critical 유정열
Priority to KR2020020007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884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는 출입구의 측부에 입설되어 설치된 제 1분사판과, 이 제 1분사판의 상대하는 부분에 설치된 제 2분사판, 그리고 제 1분사판과 제 2분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과, 제 1분사판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탈취재가 저장된 저장통과 저장통에 저장된 탈취재를 펌핑하는 펌프가 내설된 공급박스 및 펌프에서 펌핑된 탈취재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호스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주로 음식점 등에서 의류에 흡착된 음식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음식점뿐만 아니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실내 환경이 취약한 지역으로부터 출입할 때 의류에 묻어있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함에 따라 보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음식점 등에 사용될 경우에는 본 고안의 탈취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타 음식점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Deodorization apparatus for incoming and outgoing man's clothes}
본 고안은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식점또는 그 외의 실내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있는 음식물 냄새 및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도록 한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특히 각종 고기류를 직접 구워서 판매하는 음식점의 경우 고기류의 조리시에 발생한 음식물 냄새가 고객의 의류 등에 쉽게 흡착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음식물 냄새가 흡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구성의 통풍장치 등을 구비하거나. 또는 개선된 구성의 불판 등을 사용하여 최대한 음식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풍장치 및 불판을 사용하더라도 음식점 내부의 음식물 냄새를 완전히 배출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고객의 의류에는 항상 음식물 냄새가 흡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객의 의류에 흡착된 음식물 냄새는 고객이 이후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 있게 될 경우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비록 음식점에서 각종 통풍장치를 사용하여 최대한 음식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킨다고는 하더라도 고객의 의류에 음식물 냄새가 흡착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는 못하고, 또한 이러한 음식물 냄새로 인해 고객의 대인관계 및 생활상을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음식물 냄새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음식점 측에서나 고객 측에서나 가장 필요하게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그리고 비단 음식점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이 각종 악취에 노출된 곳에 머무르는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악취 등이 의류에 흡착되었을 경우에도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고기류를 판매하는 음식점 등과 같은 각종 악취가 실내에 잔존하는 환경에서 이러한 곳을 출입할 때 그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의류에 직접 탈취재를 분사하도록 하여 의류에 흡착된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의 분사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의 펌프박스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의 분사노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 1분사판
200...제 2분사판
300...바닥판
400...공급박스
420...펌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는 출입구의 측부에 입설되어 설치된 제 1분사판; 상기 제 1분사판의 상대하는 부분에 설치된 제 2분사판;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제 1분사판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탈취재가 저장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상기 탈취재를 펌핑하는 펌프가 내설된 공급박스;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상기 탈취재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박스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분사판과상기 제 2분사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공급박스를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내면에는 사기 분사노즐이 끼워지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의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는 주로 음식점 또는 공장 및 그 외의 악취가 존재하는 곳의 출입구에 입설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설치바닥에 수직상태로 입설된 사각 판체의 제 1분사판(100)과 이 제 1분사판(1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입설 설치된 제 2분사판(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설치바닥에 안착되며 제 1분사판(100)과 제 2분사판(200)의 입설 상태를 유지시키는 바닥판(300)을 구비하고, 제 1분사판(100)의 측면 하측에는 탈취재가 저장되어 각각의 분사판(100)(200)으로 탈취재를 공급하는 공급박스(40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1분사판(100)과 제 2분사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먼저 표면 상단 모서리 부분에 감지센서(180)가 설치되고, 내측으로는 상하로 여섯 개의 분사홀(111)이 형성된 커버(110)를 구비하고, 이 커버(110)에 의하여 복개되는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120)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110)와 몸체(120)의 결합은 다수개의 결합나사(160)에 의하여 커버(110)에 형성된 나사홀(113) 그리고 몸체(120)에 형성된 결합보스(121)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몸체(120)의 내부에는 커버(110)에 형성된 각각의 분사홀(111)에 체결되는 여섯 개의 분사노즐(140)이 위치하고, 이 분사노즐(140)에서 하부로 연장된 두 개의 공급호스(130)가 내설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140)들은 이 공급호스(130)로부터 분기된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전술한 공급박스(400)에 설치된 펌프(420)에 연결되는 별도의 분기호스(131)가 공급호스(130)의 하측에 연장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호스(130)들은 바닥판(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서로 상대하는 분사판(100)(200)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분사판(100)(200)의 외측면에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각각에 걸림돌기(17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돌기(170)는 전술한 공급박스(40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몸체(120)의 하측 외측면으로는 외부로 개구된 개구홀(122)이 형성되어 공급박스(400)가 결합될 때 전술한 분기호스(131)들이 공급박스(400)의 펌프(420)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이 개구홀(122)은 공급박스(400)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는 별도의 덮개부재를 사용하여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동시에 이때의분기호스(131)들 또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각 분사판(100)(200)의 분사홀(111)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4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홀(111)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분사홀(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결합클립(15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한 결합클립(15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노즐(140)의 외측으로 나사 체결되게 되어 있고, 분사판(100)(200)의 커버(110)내면 측으로 돌출한 다수개의 후크(1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이 후크(151)가 결합되도록 커버(110)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131)은 분사홀(111)에 끼워지면서 결합클립(150)의 후크(151)가 결합홈(112)에 끼워짐으로써 그 설치상태의 견고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박스(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사판(100) 또는 제 2분사판(2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함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액체상태의 탈취재가 저장되는 저장통(410)과 이 저장통(410)의 탈취재를 펌핑하는 펌프(42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탈취재는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 공인 제품인 "페브리지"와 같이 탈취 및 향균 및 향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통(410) 내부의 탈취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공급박스(400)의 외측면에는 개폐도어(43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420)는 저장통(4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출구 측으로는 두 개의 공급관(미부호)이 설치되어 전술한 두 개의 공급호스(130)로부터 분기된 분기호소(131)와 각각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분사판(100)(200)에 마련된 걸림돌기(170)에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두 개의 걸림홀(44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냄새 탈취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냄새 탈취장치는 각종 음식점뿐만 아니라 탈취가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설치상태는 출입구의 일측에 제 1분사판(100)과 제 2분사판(200)을 입설한 후 바닥판(300)을 사용하여 이 각각의 분사판(100)(200)을 고정시킨다.
물론 이때에 각 분사판(100)(200)으로 연장된 공급호스(130)들은 바닥판(30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분사판(100)(200)과 바닥판(300)의 결합은 나사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고, 또는 그 외의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구조적인 결합관계를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판(100)(200)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설치된 걸림돌기(170)에 공급박스(400)에 형성된 걸림홀(440)을 끼워서 공급박스(400)를 설치하는데, 이때의 공급박스(400) 내부의 펌프(420)와 공급호스(130)의 분기호스(131)를 서로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저장통(410) 내부에 탈취재를 채워서 저장통(410)과 펌프(420)를서로 연결하면 그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출입자가 제 1분사판(100)과 제 2분사판(200) 사이를 지나게 되면 감지센서(180)가 이 출입자를 감지한 후 펌프(420)를 작동시키게 되고, 펌프(420)의 동작으로 저장통(410) 내부에 저장된 탈취재는 각각의 공급호스(130)로 공급되고, 공급호스(130)로 공급된 탈취재는 분사노즐(140)을 통하여 출입자의 양측으로 탈취재를 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취재가 분사되면 출입자의 의류에 흡착된 음식물 냄새 등과 같은 각종 악취는 이 탈취재에 의하여 제거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감지센서(180)는 포토 커플러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외의 각종 자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설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지센서(180)는 출입자를 직접 감지하여 그 분사를 수행할 때 적용되는 것이다.
반면 감지센서(180)가 없는 경우 또는 초기 동작부터 외부 제어에 의하여 그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그 예를 든다면 음식점의 카운터에서 계산을 마친 후 카운터의 직원이 직접 탈취재를 분사하도록 조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80)를 설치한 경우라도 그 초기동작 자체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한 탈취재 분사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급박스(400)는 그 설치상태에 따라 제 1분사판(100) 또는 제 2분사판(200) 측에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간단하게 공급박스(400)가 설치된 분사판(100)(200)의 걸림돌기(170)로부터 분리한 후 반대편의분사판(100)(200)에 설치된 걸림돌기(170)에 끼움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음식점에 설치된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출입구 및 공장의 에어 클리너 시설, 또는 공항 및 호텔 등에도 그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그 설치상태와 분사판의 구조 및 공급호스의 배치상태 그리고 탈취재 외의 다른 액체 상태의 물질을 분사하도록 하고, 이러한 부분을 개선 및 변형 적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출입자의 의류에 탈취재 등과 같은 액체를 분사하도록 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주로 음식점 등에서 의류에 흡착된 음식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음식점뿐만 아니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실내 환경이 취약한 지역으로부터 출입할 때 의류에 묻어있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함에 따라 보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음식점 등에 사용될 경우에는 본 고안의 탈취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타 음식점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출입구의 측부에 입설되어 설치된 제 1분사판;
    상기 제 1분사판의 상대하는 부분에 설치된 제 2분사판;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제 1분사판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탈취재가 저장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상기 탈취재를 펌핑하는 펌프가 내설된 공급박스;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상기 탈취재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박스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공급박스를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사판과 상기 제 2분사판의 내면에는 사기 분사노즐이 끼워지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의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KR2020020007283U 2002-03-12 2002-03-12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KR200277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83U KR200277884Y1 (ko) 2002-03-12 2002-03-12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83U KR200277884Y1 (ko) 2002-03-12 2002-03-12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297A Division KR20030073639A (ko) 2002-03-12 2002-03-12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884Y1 true KR200277884Y1 (ko) 2002-06-14

Family

ID=7305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83U KR200277884Y1 (ko) 2002-03-12 2002-03-12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0538A1 (en) Sanitizing Systems and Methods
KR101333508B1 (ko) 수동적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US4707933A (en) Wall mounted dryer
JP2009261596A (ja) 隔離病棟などの出入口や通路用の殺菌システムユニット
US109670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entities
WO2006058374A1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US20060171843A1 (en) Sanitizing device and method of sanitizing
US6656434B1 (en) Compact portable owner-serviced air duct sanitizing system
US20220194329A1 (en) Cart Sanitation Station
US5857228A (en) Toilet for public use
KR200277884Y1 (ko)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KR102442430B1 (ko) 에어 샤워식 순환 소독 부스 조립체
KR20030073639A (ko) 출입자 의류 탈취장치
EP3928801A1 (en) Fogging system for dry-mist disinfection
US5815944A (en) Enclosure for drying and storing hosiery and method of use
KR100614876B1 (ko) 발냄새 제거용 발판
KR100481060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물 출입용 무균 소독 시설
KR100544358B1 (ko) 공동주택 위생 신발장 설치공법
US20220370673A1 (en) Disinfection chambers and tunnels
KR20210158350A (ko) 소독기
KR100565145B1 (ko) 출입구 및 소형공간의 초미량 자동분무 소독장치
JP2001009335A (ja) キャリー式消臭液.除菌液散布システム
KR102472329B1 (ko) 복합 세정대
KR102502213B1 (ko) 거주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공동주택
KR102192794B1 (ko) 기능성 펫 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