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831Y1 -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831Y1
KR200277831Y1 KR2020020005308U KR20020005308U KR200277831Y1 KR 200277831 Y1 KR200277831 Y1 KR 200277831Y1 KR 2020020005308 U KR2020020005308 U KR 2020020005308U KR 20020005308 U KR20020005308 U KR 20020005308U KR 200277831 Y1 KR200277831 Y1 KR 20027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ducing
ink
gap
pressure
centr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만화
Original Assignee
백만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만화 filed Critical 백만화
Priority to KR2020020005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831Y1/ko
Priority to AU2003213438A priority patent/AU2003213438A1/en
Priority to PCT/KR2003/000356 priority patent/WO200307048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수평 간극형성돌기(42)가 저면에 형성된 수평부(44)와 다수개의 수직 간극형성돌기(46)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44)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8)로 이루어진 압력감소부재(40)를 필기구의 연결부재(20)에 설치하되, 상기 수평 간극형성돌기(42)가 연결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되게 상기 수직부(48)를 중앙공급로(22)에 삽입하여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 및 상기 수직부(48)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직각으로 꺽인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력감소부재(40)를 중앙공급로(22)에 설치하여 직각으로 꺽여서 연결되는 압력감소간극(24)을 형성함으로서, 잉크 저장부(12)의 내압 상승시 압력이 다중 굴곡된 압력감소간극(24)에 작용하면서 감소하게 되어 내압의 상승으로 인한 잉크의 과잉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a pen have ink excess outflow prevention structure}
본 고안은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의 잉크 저장부에 압력이 상승할 때, 필기부재에 직접 가해져 잉크가 과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잉크과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에 사용되는 잉크중에서 중성잉크는 유성잉크에 비하여 점도가 낮다. 따라서, 필기구의 사용상태, 충격여부, 외부온도변화등에 의하여 잉크가 과출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외부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잉크 저장부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저장된 잉크는 필요이상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필기구(1)는 잉크가 수용되고 잉크의 역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겔(gel)이 주입되는 잉크 저장부(2-1)로 이루어진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결합되고 중앙공급로(3-1)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재(3)와, 상기 연결부재(3)에 결합되는 필기부재(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기부재(4)는 모세관력을 갖는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 저장부(2-1)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압력은 상기 중앙공급로(3-1)를 통하여 필기부재(4)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잉크 저장부(2-1) 내부의 압력 상승시 저장된 잉크가 과잉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잉크 저장부(2-1)의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그 압력은 잉크 저장부(2-1)의 내벽과 중앙공급로(3-1)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저장된 잉크는 상승된 압력만큼 상기 필기부재(4)로 과잉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잉크 저장부의 압력상승시 상승된 압력이 중앙공급로와 필기부재에 그대로 작용하지 않고 감소되어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잉크의 과잉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필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3b는 도 2에 도시된 압력감소부재가 연결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3a는 정면도이고, 3b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감소부재가 연결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정면도이고, 5b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의한 간극형성돌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잉크 저장부
20 : 연결부재 22 : 중앙공급로
24 : 압력감소간극 30 : 필기부재
32 : 최종 공급로 34 : 볼
40 : 압력감소부재 42,46 : 간극형성돌기
44 : 수평부 48 : 수직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잉크 저장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중앙공급로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필기부재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의 내압 상승시 상승된 압력이 필기부재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압력감소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하되, 상기 압력감소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압력감소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즉,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형상으로 형성된 압력감소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극형성돌기는 상기 압력감소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고, 상기 간극형성돌기가 별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력감소간극의 간극은 0.2mm-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형성돌기는 원형 또는 서로 연결된 리브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한 잉크과출 방지구조는 잉크 저장부(12)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중앙공급로(22)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필기부재(30)와, 다수개의 간극형성돌기(42)가 저면에 형성된 수평부(44)와 다수개의 간극형성돌기(46)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44)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8)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는 압력감소부재(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기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 최종 공급로(32)가 형성되고 끝단에 볼(34)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력을 구비한 부재(tip 또는 ni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감소부재(4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44)의 저면에 형성된 간극형성돌기(42)와 수직부(48)의 외주면에 형성된 간극형성돌기(46)를 구비한 압력감소부재(40)가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어 직각으로 꺽인 압력감소간극(24)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감소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판형의 수평부(44)와 이 수평부(44)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형의 수직부(4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부(44)와 수직부(48)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공급로(24)가 직각으로 꺽일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이러한 수평부(44)와 수직부(48)에는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44) 측의 간극형성돌기(42)와 수직부(48) 측의 간극형성돌기(46)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 돌기(42,46)의 형상은 도 8a,8b에 형성된 바와 같이 리브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형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부(48)에 간극형성돌기(46)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48)가 상기 연결부재(20)의 중앙공급로(22)에 삽입되면, 그 외주면에 형성된 간극형성돌기(46)가 상기 중앙공급로(22)의 내벽에 밀착됨으로, 그 내벽과 수직부(48)의 외주면 사이에 압력감소간극(24)의 하부를 이루는 수직간극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44)의 저면에 형성된 간극형성돌기(42)가 연결부재(20)의 상면, 즉 중앙공급로(22)의 입구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직부(48)를 중앙공급로(22)의 내부로 더욱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에 압력감소간극(24)의 상부를 이루는 수평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공급로(22)에는 직각으로 꺽인, 즉 "┑"형상의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력감소간극(24)의 간극은 대략 0.2mm-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력감소간극(24)이 0.2mm이하일 경우에 잉크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1mm이상일 경우에는 압력감소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압력감소부재(40)가 연결부재(20)에 설치되면,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와 상기 수직부(48)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잉크과출 방지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감소부재(40)가 연결부재(20)의 중앙공급로(22)에 삽입 설치되어 중앙공급로(22)의 내벽 및 그 입구 상면과 압력감소부재(40)의 수직부(48) 외주면및 수평부(44)의 저면 사이에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 저장부(12)의 내압이 외부조건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은 잉크 저장부(12)의 내벽에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공급로(22)의 입구에는 상기 압력감소부재(40)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압력은 상기 수평부(44)의 상면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압력은 상기 수평부(44)의 외벽과 잉크 저장부(12)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에 작용한 뒤 이 유로와 직각으로 꺽여 연결된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상부측 압력감소간극(24)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수직부(48)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수평간극, 즉 상부측 압력감소간극(24)과 직각으로 꺽여 연결된 하부측 압력감소간극(24)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승된 압력은 다중 굴곡된 압력감소간극(24)에 작용하게 됨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유동방향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은 중앙공급로(23)의 하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압의 상승에 의한 잉크의 과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다중 굴곡된 압력감소간극(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간극이 작으면 작을 수록 압력의 감소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극한적으로 작게 되면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크게 되면 압력감소효과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대략 0.2mm-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에 제 2실시예에 의한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감소부재가 연결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정면도이고, 5b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잉크과출 방지구조는 간극형성돌기(42,46)가 연결부재(20)의 상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수평부(44)측의 간극형성돌기(42)는 연결부재(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수직부(48)측의 간극형성돌기(46)는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공급로(22)에 압력감소부재(40)의 수직부(48)를 상기 수평부(44)의 저면이 수평부(44)측의 간극형성돌기(42)에 밀착되도록 상기 중앙공급로(22)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 및 수직부(48)와 중앙공급로(22) 내벽 사이에는 직각으로 꺽여서 연결된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됨은 물론, 수평부(44)의 외주면과 잉크 저장부(12)의 내벽 사이에도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굴곡진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력감소부재(40)의 설치로 인하여 직각으로 다중 굴곡진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된 상태에서 잉크 저장부(12)에서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잉크 저장부(12)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상기 필기부재(30)에 작용하는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즉, 압력이 감소하여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가 압력감소부재(40)또는 연결부재(20)와 별개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력감소부재(40)나 연결부재(20)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 압력감소부재(40)가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압력감소부재(4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공급로(22)에 삽입하여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도록 간극형성돌기(46)를 그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간극형성돌기(46)는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감소부재(40) 또는 연결부재(2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력감소부재(40)와 중앙공급로(22)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감소간극(24)은 0.2mm-0.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감소부재(40)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공급로(22)에 설치되면,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0.2mm에서 0.5mm 사이의 미세한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저장부(1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압력은 압력감소간극(24)에 작용하게 되나, 상기 압력감소간극(24)이 협소하게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기부재(30)에 작용하는 압력은 감소한 상태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승된 압력이 협소한 압력감소간극(24)을 통과하면서 마찰에 의하여 에너지가 손실되고, 따라서 필기부재(30)에 작용하는 압력은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력감소간극(24)에 의해 압력이 감소한 상태로 필기부재(30)에 작용하게 되면 잉크 저장부(12)의 잉크는 압력의 상승으로 인하여 과잉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는 압력감소부재를 중앙공급로에 설치하여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감소간극을 형성함으로서, 잉크 저장부의 내압 상승시 압력이 압력감소간극에 작용하면서 감소하게 되어 내압의 상승으로 인한 잉크의 과잉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잉크 저장부(12)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중앙공급로(22)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는 필기부재(30)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12)의 내압상승시 상승된 압력이 필기부재(30)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수평부(44)와 상기 수평부(44)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8)로 이루어진 압력감소부재(40)를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하되,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 및 상기 수직부(48)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형성돌기(42,46)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연결부재(20)의 상면 사이 및 상기 수직부(48)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직각으로 꺽인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는 상기 수평부(44)의 저면과 수직부(48)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는 상기 압력감소부재(40)와 상기 연결부재(2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5. 잉크 저장부(12)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중앙공급로(22)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는 필기부재(30)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12)의 내압상승시 상승된 압력이 필기부재(30)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중앙공급로(22)에 압력감소부재(40)를 설치하되,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형성돌기(46)를 설치하여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과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감소간극(24)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6)는 상기 압력감소부재(4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6)(46)기 중앙공급로(22)의 내주면에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소간극(24)은 0.2mm-1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9.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10.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돌기(42,46)는 서로 연결된 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잉크과출 방지구조.
KR2020020005308U 2002-02-22 2002-02-22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KR20027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08U KR200277831Y1 (ko) 2002-02-22 2002-02-22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AU2003213438A AU2003213438A1 (en) 2002-02-22 2003-02-21 A writing instrument
PCT/KR2003/000356 WO2003070485A1 (en) 2002-02-22 2003-02-21 A writ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08U KR200277831Y1 (ko) 2002-02-22 2002-02-22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831Y1 true KR200277831Y1 (ko) 2002-06-15

Family

ID=2775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08U KR200277831Y1 (ko) 2002-02-22 2002-02-22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77831Y1 (ko)
AU (1) AU2003213438A1 (ko)
WO (1) WO20030704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857B1 (ko) * 2015-07-29 2018-01-24 백만화 직액식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985U (ja) * 1982-08-03 1984-02-10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JPH062787Y2 (ja) * 1988-06-13 1994-01-26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塗布具
JP3917259B2 (ja) * 1997-08-29 2007-05-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JP4230562B2 (ja) * 1998-05-01 2009-02-2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DE29822071U1 (de) * 1998-12-10 2000-04-13 Ku Tro Kung Für verschiedene Fluidarten geeigneter breitflächiger Applik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857B1 (ko) * 2015-07-29 2018-01-24 백만화 직액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0485A1 (en) 2003-08-28
AU2003213438A1 (en) 200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908B1 (ko) 클립 부재를 가진 필기구
KR900000492B1 (ko) 필기구
KR200277831Y1 (ko) 잉크 과출방지구조를 갖는 필기구
US20030180084A1 (en) Collector type writing implement
US6340259B2 (en) Direct-feed type writing implement
EP3081387B1 (en) Ballpoint pen
CN113954552A (zh) 一种引液元件及具有该元件的液体笔
JP3275545B2 (ja) 筆記具
GB2348189A (en) Stick-like cosmetic material feeding out vessel
CN209067160U (zh) 用于油井固井的胶塞及包括该胶塞的油井固井装置
JP3956469B2 (ja) 筆記具
US7837404B2 (en) Applicator
KR100441347B1 (ko) 일정한 잉크량을 공급하는 필기구
JP2722133B2 (ja) 万年筆用ライティングユニット
KR0119941Y1 (ko) 잉크수용통을 갖춘 필기구
CN213839558U (zh) 一种点涂工具头部结构及其阀芯
CN219686930U (zh) 一种修正笔塑塑笔头
JP3336404B2 (ja) ボールペン
KR200219791Y1 (ko) 녹크식 중성 볼펜용 팁
KR100356985B1 (ko)
CN217021991U (zh) 一种储水器及钢笔
KR200277830Y1 (ko) 필기구
JPH0429084Y2 (ko)
JPH10211950A (ja) 液体用容器
KR200204098Y1 (ko) 중성펜심용 아답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