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79Y1 -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79Y1
KR200277379Y1 KR2020020007478U KR20020007478U KR200277379Y1 KR 200277379 Y1 KR200277379 Y1 KR 200277379Y1 KR 2020020007478 U KR2020020007478 U KR 2020020007478U KR 20020007478 U KR20020007478 U KR 20020007478U KR 200277379 Y1 KR200277379 Y1 KR 200277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traw
rice straw
stirring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구
Original Assignee
강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구 filed Critical 강철구
Priority to KR2020020007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79Y1/ko

Links

Landscapes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체에 설치된 구동부(2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체대(10)와, 이 체대(10)의 전방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교반용 드럼(30)과, 상기 체대(10)상에 설치되어 교반용 드럼(30)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배지를 체대(10)의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40)를 포함하며, 교반용 드럼(30)의 표면에는 드럼 내부에 설치된 캠(60)과 복원용 스프링(70)에 의해 출몰동작되도록 한 것으로, 이 출몰핀(50)은 교반용 드럼(30)의 전방에서는 캠(60)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는 작업이 효과적이고, 교반용 드럼 (30)의 후방에서는 출몰핀(50)이 복원용 스프링(70)에 의해 교반용 드럼(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볏짚배지가 교반용 드럼(30)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RICE STRAW COMPOST MIXER FOR RAISING MUSHROOM}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자체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이동하면서 전방에 부착된 드럼이 회전하여 쌓여있는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면서 후방의 콘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고, 드럼의 표면에는 내부의 캠과 스프링에 의해 출몰작동하는 다수개의 출몰핀이 설치되어 있어 드럼의 전방에서는 이 출몰핀이 캠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는 작업이 효과적이고, 후방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출몰핀이 드럼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볏짚배지가 드럼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양송이나 느타리 버섯은 농촌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볏짚을 이용한 인공재배기술이 개발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볏짚배지는 농가에서 자가생산하거나 또는 볏짚배지만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에서 대량생산하여 이를 여러 버섯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한편, 버섯의 생장에서는 배지의 수분함량조절과 배지의 발효정도에 따라 농사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중 볏짚배지를 야외발효시키면 연화작용이 빨라지고 볏짚 내의 가용성 물질을 미생물이 이용하여 영양분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배지의 수분침투가 균일해지고 물리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이 제거되어 버섯균이 자라는데 좋은 영향을 준다. 볏짚배지의 적정 야외발효기간은 6일 정도, 교반(뒤집기) 횟수는 2~3회 정도가 적절하다.
상기한 볏짚배지의 야외발효시 수반되는 교반작업은 현재까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해 왔었으므로 볏짚배지의 교반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 및 비용이 볏짚배지의 생산에 소요되는 총비용 중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어 생산원가의 상승과 이로인한 버섯재배농가의 비용부담이 커지게 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 양송이나 느타리버섯 등의 버섯재배를 위한 볏짚배지를 야외발효시 순전히 인력에 의해 교반시키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송이나 느타리버섯 등의 버섯재배용 볏짚배지를 직접적인 인력의 투입없이 기계적이고, 자동적이며, 또한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체에 설치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체대와, 이 체대의 전방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교반용 드럼과, 상기 체대상에 설치되어 교반용 드럼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배지를 체대의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 드럼의 표면에는 드럼 내부에 설치된 캠과 복원용 스프링에 의해 출몰동작되도록 하여 교반용 드럼의 전방에서는 캠에 의해외부로 돌출되어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는 작업이 효과적이고, 교반용 드럼의 후방에서는 복원용 스프링에 의해 교반용 드럼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볏짚배지가 교반용 드럼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드럼 단면도,
도 4는 드럼의 핀 출몰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야외발효중인 볏짚배지를 교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대 12 : 바퀴
20 : 구동부 30 : 드럼
32 : 고정축 34 : 원통체
36 : 구멍 40 : 벨트 콘베이어
50 : 출몰핀 52 : 베어링
60 : 캠 62 : 대직경부
64 : 소직경부 70 : 스프링
80 : 리프트 아암 90 : 운전석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의 드럼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볏짚배지 교반장치는 자체에 설치된 구동부(2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체대(10)와, 이 체대(10)의 전방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교반용 드럼(30)과, 상기 체대(10)상에 설치되어 교반용 드럼(30)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배지를 체대(10)의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교반용 드럼(30)은 체대(10)전방의 설치된 리프트 아암(80)선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리프트 아암(80)은 도시안된 유압펌프와 유압탱크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유압실린더(82)에 의해 상하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 콘베이어(40)는 전방의 벨트 콘베이어(42)와 후방의 벨트 콘베이어(44)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방의 벨트 콘베이어(42)는 그 후단이 체대(10)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은 상기 드럼(30)과 함께 상하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드럼(30)에 의한 볏짚배지의 걷어 올리는 작동시 드럼(30)의 후방 하부에서 걷어 올려진 볏짚배지를 받아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의 벨트 콘베이어(44)는 후방이 상향 경사지도록 고정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벨트 콘베이어(42)에서 이송된 볏짚배지를 상부로 이송하여 후방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드럼(30)과 벨트 콘베이어(40)는 체대(10)내부의 구동부(20)로부터 동력전달체인(22,24,26)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며, 체대(10)하부의 바퀴(12)도 상기와 같이 체인 등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동력전달기구에 대하여는 본 고안과 관련된 농업기계분야에서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체대는 레일상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바퀴(12)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볏짚배지의 야외발효장에 레일을 설치하여야 한다.
도면중 부호 90은 운전석으로, 전후진주행, 조향, 드럼(30)과 벨트 콘베이어 (40)의 구동조작 및 드럼(30)의 승강동작을 위한 리프트 아암(80)의 유압실린더 (82)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 및 각종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3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의 고정축(32)에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 캠(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캠(60)의 외측으로는 일정직경의 원통체(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원통체(34)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구멍(36)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구멍(36)으로는 출몰핀(50)이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출몰핀(50)의 하단에는 상기 캠(60)의 표면에 접촉하는 베어링(52)이 부착되어 있어 원통체(34)가 회전하게 되면 캠(60)전방의 대직경부(62)에서는 출몰핀(50)이 외부로 밀려 출몰핀(50)의 선단이 원통체(34)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캠(60)후방의 소직경부(64)에서는 출몰핀(50)의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출몰핀(50)의 선단이 원통체(34)의 구멍(36)내부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60)은 대직경부(62)와 소직경부(64)가 대체로 부채꼴 형태 또는 조개껍데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드럼(30)의 전방쪽에 대직경부(62)가 위치하고 드럼(30)의 후방쪽에 소직경부(64)가 위치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30)의 전방에서는 출몰핀(50)의 하단이 캠(60)의 대직경부(62)에 의해 밀려 올라와 출몰핀(50)선단이 드럼(30)의 외부로 돌출되고, 드럼(30)의 후방에서는 출몰핀(50)의 하단이 캠(60)의 소직경부(64)를 따라 스프링(70)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출몰핀(50)의 선단이 드럼(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의해 드럼(30)의 전방에서는 볏짚배지가 돌출된 출몰핀(50)에 의해 효과적으로 걷어 올려지게 되어 드럼(30)의 후방 하부에 위치한 벨트 콘베이어(42)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드럼(30)의 후방쪽에서는 출몰핀(50)이 드럼(30)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원통체(34)의 표면에는 볏짚배지가 남아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교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정 폭과 일정높이로 쌓여 있는 볏짚배지(100)를 교반시키기 위해 볏짚배지(100)의 일측에 본 고안의 교반장치를 위치시키고 서서히 전진주행시키면서 전방의 드럼(30)을 일방향으로, 도면상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쌓여있던 볏짚배지(100)가 드럼(30)에 의해 걷어 올려져 드럼(30)을 타고 후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된 볏짚배지는 벨트 콘베이어(42,44)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어 다시 지면에 쌓이게 되므로써 볏짚배지를 연속적으로 교반이 가능함과 동시에 가지런하게 재적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럼(30)은 리프트 아암(8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쌓여 있는 볏짚배지(100)를 걷어 올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볏짚배지 교반장치는 자체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이동하면서 전방의 리프트 아암에 부착된 드럼이 회전하여 쌓여있는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면서 후방의 벨트 콘베이어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 드럼의 표면에는 내부의 캠과 스프링에 의해 출몰작동하는 다수개의 핀이 설치되어 있어 드럼의 전방에서는 캠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볏짚배지를 걷어 올리는 작업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드럼의 후방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드럼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볏짚배지가 드럼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본 고안에 의하면 볏짚배지를 적은 인력의 투입만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볏짚배지 생산업자나 농민의 수고와 비용부담을 대폭 덜어 줄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자체에 설치된 구동부(2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체대(10)와;
    상기 체대(10)의 전방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드럼(30)과;
    상기 체대(10)상에 설치되어 드럼(30)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배지를 체대(10)의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30)의 표면에는 다수의 출몰핀(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몰핀(50)은 드럼(30)내부의 고정축(32)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대직경부(62)와 소직경부(64)를 갖는 부채형의 캠(60)과, 상기 출몰핀(50)의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70)의 상호작용에 의해 드럼(20)의 전방부에서는 돌출되고 드럼(30)의 후방부에서는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KR2020020007478U 2002-03-14 2002-03-14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KR200277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78U KR200277379Y1 (ko) 2002-03-14 2002-03-14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78U KR200277379Y1 (ko) 2002-03-14 2002-03-14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79Y1 true KR200277379Y1 (ko) 2002-06-03

Family

ID=7307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78U KR200277379Y1 (ko) 2002-03-14 2002-03-14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891A (ko) 2018-04-09 2019-10-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지 교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891A (ko) 2018-04-09 2019-10-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지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3B1 (ko) 땅속작물 굴취 작업기
US47114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hicken manure from chicken houses
KR101702448B1 (ko) 정량복토 기능을 갖는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KR20220061396A (ko) 자주식 밭작물 수집형 수확기
WO1990013527A1 (en) Compost windrow turner
KR200277379Y1 (ko) 버섯재배용 볏짚배지 교반장치
CN1108091C (zh) 手扶式秧苗移植机
KR20140005052A (ko) 감자 파종기
KR101193140B1 (ko) 다기능을 갖는 살포장치
KR101343946B1 (ko) 퇴비살포기
CN108093711B (zh) 一种翻土增肥设备
US3438584A (en) Composting device
CN112616330B (zh) 一种往复式行间株间除草装置
KR10217808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 발효를 위한 교반시스템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112237067A (zh) 一种农业种植用翻土机
CN215345810U (zh) 一种推动式菜苗种植机
JP2004008155A (ja) 野菜移植機
CN100355332C (zh) 设施园艺移动式基质蒸汽消毒系统
US7152538B1 (en) Sprig planting machine
CN214781541U (zh) 一种有机肥翻堆装置
CN218663659U (zh) 长型种植槽基质回收翻倒装置
KR101663867B1 (ko) 트랙터 부착형 살포장치
CN207519108U (zh) 一种播种施肥设备及种植系统
CN217308201U (zh) 一种农用撒菜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