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716Y1 - 딸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딸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716Y1
KR200276716Y1 KR2020020005855U KR20020005855U KR200276716Y1 KR 200276716 Y1 KR200276716 Y1 KR 200276716Y1 KR 2020020005855 U KR2020020005855 U KR 2020020005855U KR 20020005855 U KR20020005855 U KR 20020005855U KR 200276716 Y1 KR200276716 Y1 KR 200276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packaging container
present
container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2020020005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716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운반,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량의 딸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함은 물론 딸기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측 외주연에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부(2)가 형성되고 딸기(7)의 수납이 가능한 내입부(8)를 갖는 통상의 딸기 포장용기(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의 일측에는 잠금편(4)을 형성하고 대각 방향으로는 안치턱(3)을 형성하며,
상기 딸기 포장용기(1) 하부에는

Description

딸기 포장용기{A packing container for strawberry}
본 고안은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운반,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량의 딸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함은 물론 딸기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딸기는 외피가 없는 과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형상 유지가 극히 어려운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의 딸기를 다량으로 유통 보관하기 위해서는 외력으로 부터 딸기를 보호함은 물론 적층이 용이한 별도의 용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딸기 포장용기는 내입부에 일정량의 딸기를 수납한 후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딸기 포장용기를 뒤집어서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도록 덮은 후 밀착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핑 작업으로서 딸기 포장용기를 고정상태로 유지케 하고, 차량에 운반시에는 이 상태에서 이와 동일하게 포장된 별도의 딸기 포장용기를 올려놓아 즉, 저면이 서로 접촉 되도록 안치하여 2,3단으로 적층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테이핑작업의 전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인력의 소요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일손이 부족한 딸기 재배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어 자연히 딸기 출하가격의 상승요인이 되었다.
또한 운송비를 절감하기 위해 테이핑작업으로 고정된 포장용기 상측으로 동일한 용기를 2, 3단으로 적층하여 운송 차량에 싣게 되는데 접촉된 용기면에는 서로를 잡아주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 이동시 흔들림에 취약한 상측의 용기가 떨어지거나 흔들려 수납된 딸기의 품질상태를 저하시켜 고품질의 딸기판매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딸기 포장용기의 저면부와 테두리부에 안정적인 적층 수단을 마련하여 포장용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딸기를 다량으로 운송하여 염가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코자 한 것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층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딸기 포장용기 2: 테두리부
3: 안치턱 4: 잠금편
5: 끼움돌부 6: 이탈방지턱
7: 딸기 8: 내입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적층시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상측 외주연에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부(2)가 형성되고 딸기(7)의 수납이 가능한 내입부(8)를 갖는 통상의 딸기 포장용기(1)에 있어서,
상기 딸기 포장용기(1)는 종래의 원형 형태와는 달리 운송차량에 적재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상광하협의 경사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테두리부(2)의 일측에는 잠금편(4)을 형성하여 도3 과 같이 상, 하 동일한 딸기 포장용기(1)의 테두리부(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타 테두리부(2)의후면 단턱에 견고히 걸림되게 한다.
이때 잠금편(4)은 선단을 훅(hook)형으로 형성하고 견고하면서도 잘 휘는 재질로 만들어 타 딸기 포장용기(1)의 테두리부(2) 후면 단턱에 용이하게 걸림되게 한다.
그리고 테두리부(2) 일측 대각 방향에는 서로 마주 보게 안치턱(3)을 형성하여 도3 과 같이 타 딸기 포장용기(1)의 테두리부(2)가 견고히 끼움 안치되게 하고 물론 안치턱(3)은 테두리부(2)의 상측면 보다는 조금 높게 형성한다.
상기 딸기 포장용기(1) 하부 양측에는 도 2와 같이형태로 절곡된 비교적 긴 형태의 끼움돌부(5)를 형성하되 일측 끼움돌부(5)의 인접부에는 이탈방지턱(6)을 형성하여 적층을 위해 슬라이딩식으로 끼움된 타 끼움돌부(5)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테두리부(2)에는 잠금편(4)과 안치턱(3)을 형성하고 딸기 포장용기(1) 하측에는 끼움돌부(5)와 이탈방지턱(6)을 형성하여 딸기 포장용기(1)의 적층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 이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딸기 포장용기(1)에 형성된 내입부(8)에 적당량의 딸기(7)를 수납한 후 도 2와 같이 동일 형상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1)를 뒤집어서 서로의 테두리부(2)가 맞닿도록 안치하여 내입부(8)에 수납된 딸기(7)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3 과 같이 테두리부(2)에 형성된 안치턱(3)의 내측에는 다른 딸기 포장용기(1)의 테두리부(2)의 외주연이 끼움되어 견고한 결합상태가 이루어지고 또한 잠금편(4)을 구부려 타측 테두리부(2)의 후면 단턱부에 걸어주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딸기(7)가 포장상태에서 운송차량에 딸기 포장용기(1)를 적재 시에는 딸기 포장용기(1) 하부에 마련된 끼움돌부(5)를 서로 끼움되게 결합하여 2, 3단으로 적층하면 된다.
즉, 도 2와 같이 하측의 딸기 포장용기(1)는 뒤집어 진 상태로 끼움돌부(5)의 형태가와 같고 적층될 딸기 포장용기(1)의 끼움돌부(5)의 형태는와 같은 므로 측면에서 서로의 끼움돌부(5)에 대응시켜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주면 결합이 손쉽게 완료된다.
한편 일측 끼움돌부(5)의 입접부에는 이탈방지턱(6)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식으로 끼움된 타 끼움돌부(5)를 서로 반대 방향에서 잡아주므로 도 4와 같이 안정된 상태로 딸기 포장용기(1)의 적층이 이루어 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층이 용이하도록 딸기 포장용기(1)의 저면부와 테두리부(2)에 적층수단을 마련하여 딸기 포장용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다.
첫째, 딸기 포장용기(1)의 밀착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 테이핑작업이 필요 없어 일손이 부족한 딸기 재배농가의 일손을 덜어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딸기 제배농가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므로 딸기 출하 가격을 낮추어 고품질의 딸기를 염가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종래와는 달리 부족한 인력으로도 포장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적정 딸기 출하시기 및 납품기일을 맞출 수 있어 대 내, 외적인 신뢰도 향상에 따른 딸기 재배농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상측 외주연에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부(2)가 형성되고 딸기(7)의 수납이 가능한 내입부(8)를 갖는 통상의 딸기 포장용기(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의 일측에는 잠금편(4)을 형성하고 대각 방향으로는 안치턱(3)을 형성하며,
    상기 딸기 포장용기(1) 하부에는 형 끼움돌부(5)를 양측으로 형성하되 일측 끼움돌부(5)의 인접부에는 이탈방지턱(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포장용기.
KR2020020005855U 2002-02-27 2002-02-27 딸기 포장용기 KR200276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55U KR200276716Y1 (ko) 2002-02-27 2002-02-27 딸기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55U KR200276716Y1 (ko) 2002-02-27 2002-02-27 딸기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716Y1 true KR200276716Y1 (ko) 2002-05-25

Family

ID=7311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855U KR200276716Y1 (ko) 2002-02-27 2002-02-27 딸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13U (ko) 2015-05-06 2016-11-16 박윤희 결속형 딸기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13U (ko) 2015-05-06 2016-11-16 박윤희 결속형 딸기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323B1 (en) Protection device for rims of canisters and multiple-canister carrier with a plurality of such device
US20160039571A1 (en) Container with removable tray
US20090134111A1 (en) Package system
WO2006039720A3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a plurality of items
JP6637348B2 (ja) 包装体、及び商品収容体の運搬方法
US8151983B2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JP2009120231A (ja) ボトル型容器の集束部材
KR200276716Y1 (ko) 딸기 포장용기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US8479480B2 (en) Packaging assembly comprising lightweight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process
WO2018047740A1 (ja) 簡易パレット
US7987976B2 (en) Integrated carton and bottle opener
JP4528560B2 (ja) ロール製品搬送用輸送形態
KR20090011014U (ko) 포장박스
KR101633581B1 (ko) 포장 용기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KR100779218B1 (ko) 커버박스를 채용한 포장용 박스
KR200392833Y1 (ko) 적재와 운반이 용이한 과일상자
KR102471479B1 (ko) 비접착식 다중 포장상자
US20080006541A1 (en) Carrier for beverage bottles
JP3053125U (ja) 簡易マルチディスプレイカートン
JP4349507B2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ランク搬送用ケース
KR101970865B1 (ko) 대용량 식품 포장 용기
KR20070111220A (ko) 보강재가 결합된 포장박스
JPH0891364A (ja) 梱包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