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629Y1 - A breast wall - Google Patents

A breast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629Y1
KR200276629Y1 KR2020020006093U KR20020006093U KR200276629Y1 KR 200276629 Y1 KR200276629 Y1 KR 200276629Y1 KR 2020020006093 U KR2020020006093 U KR 2020020006093U KR 20020006093 U KR20020006093 U KR 20020006093U KR 200276629 Y1 KR200276629 Y1 KR 200276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r blocks
retaining wall
ba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희징
Original Assignee
석희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희징 filed Critical 석희징
Priority to KR2020020006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62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629Y1/en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막대블록을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적층 조립하여 견고성을 가지는 옹벽체를 시공함으로서 옹벽체의 강도 및 시공성을 좋게 할 수 있는 옹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의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하부기초와, 상기 배치된 하부 막대블록들의 사이마다 연결구를 통해 연결 적층되고 서로가 반복적으로 연결구를 통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측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 막대블록의 홈부와 상응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구비된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 및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제일상측의 벽체 막대블록들의 사이마다 적층되어 있으며 연결구를 통해 상기 벽체 막대블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상부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상측 마무리부를 포함하는 옹벽체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and work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having rigidity. The above groove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b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er bar blocks arranged in a longitudinal row with respect to the earth wall, and connected between the lower bar blocks arranged through the connector and repeatedly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are stacked between the wal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having one or mor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of the lower bar block, and the upper wall bar blocks constituting the wall. On the side slop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wall bar block through An upper e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upper rod block which is provided with one groov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body including a retaining wall portion.

Description

옹벽체{A breast wall}Retaining Wall {A breast wall}

본 고안은 도로나 하천의 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체(또는 석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막대블록을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적층 조립하여 견고성을 가지는 옹벽체를 시공함으로서 옹벽체의 강도 및 시공성을 좋게 할 수 있는 옹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or stonework) for preventing the loss or collapse of roads or rivers, and more specifically,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having a rigidity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capable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work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뒷면의 흙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하는 흙막이 벽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로는 돌쌓기 옹벽과 중력식 옹벽 및 철근 콘크리트 옹벽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고안은 상기 돌쌓기 옹벽에 관한 것이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is a general term for a retaining wall that supports the soil on the back side and prevents its collapse.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masonry retaining wall, a gravity retaining wall and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It is about.

이에, 종래의 돌쌓기 옹벽은 벽돌등의 다수의 블록을 시멘트등의 접착제를 통해 적층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단일의 벽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Thus,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such as bricks are laminated by an adhesive such as cement, and constitutes a single wall layer.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벽돌 또는 일정한 형상의 철근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한다.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prepare a brick or a reinforced concrete block of a predetermined shape.

다음 상기 준비된 블록을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함과 동시에 시멘트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블록들을 서로 접착하여 옹벽을 완성하는 것이다.Next, the prepared blocks are lamina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each block is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such as cement to complete the retaining wal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옹벽에 있어서, 각 블록을 하부에서 상부로 상,하단부가 밀착되게 적층함으로서 각 블록들의 상호간에 결속력이 약함에 따라 옹벽의 전체적이 강도가 약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as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stack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block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the overall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is weakened a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locks is weak.

또한 상기 옹벽은 시간이 경과되면 각 블록을 접착하는 시멘트층이 균열로 인하여 옹벽전체가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had a problem that the entire retaining wall collapsed due to cracking of the cement layer adhering each block over time.

또한 상기 옹벽에 있어서 가장 많은 하중을 받게 되는 하부의 강도가 약함에 따라 쉽게 손상됨으로서, 옹벽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lower part that receives the most load in the retaining wall is easily damaged,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retaining wall.

또한 상기 옹벽은 흙을 전체적으로 막는 형태로 시공됨으로서 배수구를 별도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ha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must be constructed separately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blocking the soil as a whole.

한편, 돌쌓기 옹벽으로 사각돌망태(GABIONS)가 알려져 있는데, 이 사각돌망테는 사각진 철망의 내부에 돌들을 채워 구성하는 것으로서, 하천의 옹벽으로 사용할 경우에 수압을 흡수, 분산시키는 장점이 가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GABIONS is known as a retaining wall, which is formed by filling stones inside a square wire mesh, which has the advantage of absorbing and dispersing water pressure when used as a retaining wall in a river. .

그러나 철망 속에 채워진 작은 돌들의 결속력이 나쁨에 따라서 작은 돌들의 이탈로 인하여 돌망태가 서서히 붕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due to the poor binding strength of the small stones filled in the wire mesh had a problem that the gabion is gradually collapsed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small stones.

또한 높이가 3m내지 4m 이상이 될 경우에는 상부 돌의 자중으로 인하여 돌망테의 중간부분이 돌출됨으로서 돌망태로 구성된 옹벽의 균형이 깨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is 3m to 4m or more, the middle part of the gabion is protruded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stone, so that the balance of the retaining wall composed of the gabion is broken.

또 상기 돌망태로 구성된 옹벽의 상측에 자중이 큰 화물차등이 통과될 경우에는 옹벽의 강도가 약함으로서, 옹벽 전체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a truck or the like having a large self weight passes through the retaining wall made of the gabion, the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is weak, and thus, the entire retaining wall is damag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다수의 막대블록을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적층(피라미드식)하여 옹벽체를 시공함으로서, 옹벽체의 전체적인 강도인 전단강도와 수직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yramid type)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to improv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shear strength and vertical strength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retaining wall that can be.

또한 옹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시멘트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구를 통해 연결함으로서, 방호벽의 수명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by connecting through the connector without using an adhesive such as cement, it is also intended to maximize the life of the barrier.

또 옹벽체를 구성하는 막대블록들의 사이마다 배수구를 구비함으로서 별도의 배수구 시공을 필요없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rain between each of the bar blocks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has a purpose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drain construction.

또 옹벽체을 철거할 경우에도 각 막대블록들을 분해한 후 이를 재조립하여 옹벽체를 시공함으로서, 철거에 따른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을 막으며, 아울러 막대블록들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dismantling the retaining wall, each bar block is disassembled and then reassembled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oncrete waste due to the demolition, and also having the purpose of allowing the bar blocks to be used semi-permanently.

또 막대블록들에 측 경사부에 형성된 홈부의 크기보다 홈부에 삽입되는 연결구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서, 수압 등의 물리적인 힘에도 막대블록들이 종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됨에 따라 순간적이 큰 수압(홍수등)의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groov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side inclined portion on the bar blocks, the instantaneous large water pressure due to the minute movement of the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n the physical force such as water pressure It is also intended to offset the impact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의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하부기초와, 상기 배치된 하부 막대블록들의 사이마다 연결구를 통해 연결 적층되고 서로가 반복적으로 연결구를 통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측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 막대블록의 홈부와 상응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구비된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 및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제일상측의 벽체 막대블록들의 사이마다 적층되어 있으며 연결구를 통해 상기 벽체 막대블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상부 막대블록으로 이루어진 상측 마무리부를 포함하는 옹벽체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bas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er bar block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arth wall and one or more grooves are formed in the side inclined surface, and the disposed lower Walls made of a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having one or mor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of the lower bar block on the upper and lower slopes so that each of the bar blocks are connected and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and repeatedly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And an upper finishing part formed of a plurality of upper bar blocks having one or more grooves on side inclined surfaces so as to be laminated between each of the top wall bar blocks constituting the wall and connected to the wall bar blocks through a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taining wall.

도 1은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하부기초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며,Figure 2a show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lower foundation,

도 2b는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고,Figure 2b show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ll,

도 2c는 상부마무리 과정을 나타낸다.2C shows the top finishing process.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하부 막대블록1: Lower bar block

2 : 벽체 막대블록2: wall bar block

3 : 상부 막대블록3: upper bar block

4 : 연결구4 connector

5 : 홈부5 groove

6 : 평면부6: flat part

7 : 배수구7: drai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The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먼저,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5)가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형상의 막대블록을 준비하는 과정(10)이 진행된다.First, a process 10 of preparing a bar block having a polygonal shape in which one or more grooves 5 are formed on the side inclined surface is performed.

다음 상기 준비된 막대블록중 하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홈부(5)가 형성된 다수의 하부 막대블록(1)을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의 횡렬로 배치하는 과정(20;도2a참조)이 진행되는 것이다.Next, a proces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lower bar blocks (1)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5) formed on the side slopes in a longitudinal row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20 (see FIG. 2A)) is performed. Will be.

다음 상기 배치된 하부 막대블록(1)의 사이마다 상,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5)를 가지는 경사면이 포함된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2)을 종방향으로 적층하면서 상기 하부 및 벽체 막대블록(2)에 형성된 홈부(5)들에 연결구(4)를 삽입하고, 상기 적층된 벽체 막대블록(2)들의 사이마다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2)을 반복적으로 적층하면서 상기 벽체 막대블록(2)에 형성된 홈부(5)들에 연결구(4)를 삽입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30;도2b참조)이 진행되는 것이다.Next, the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2 including the inclined surfaces having one or more grooves 5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bar blocks 1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laminated on the lower and wall bar blocks ( Inserting the connector (4) in the grooves (5) formed in 2), the wall bar block (2) while repeatedly stacking a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2) between the stacked wall bar blocks (2)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ll by inserting the connector 4 into the grooves 5 formed in the wall 30 (see FIG. 2B) is performed.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제일상측의 벽체 막대블록(2)의 사이들에 상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4)가 형성된 다수의 상부 막대블록(3)을 적층하면서 상기 벽체 및 상부 막대블록(2,3)의 홈부(5)에 연결구(4)를 삽입하여 상부를 마무리하는 과정(40;도2c참조)을 진행함으로서 옹벽체를 완성하는 것이다.Finally, the wall and the plurality of upper bar blocks (3) having one or more grooves (4) formed on the side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top wall bar blocks (2) constituting the wall and the wall and The retaining wall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connector 4 into the groove 5 of the upper bar blocks 2 and 3 to finish the upper part (see FIG. 2C).

특히 상기 막대블록들에 측 경사부에 형성된 홈부(5)를 크기보다 홈부(5)에 삽입되는 연결구(4)를 크기를 작게 함으로서, 수압 등의 물리적인 힘에도 막대블록들이 종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간적인 큰 수압(홍수등)의 발생시 충격 등을 상쇄시킴으로서 옹벽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4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5 rather than the groove portion 5 formed in the side inclined portion on the bar blocks, the bar blocks are f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n the physical force such as water pressure It can be m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by canceling an impact or the like when an instantaneous large water pressure (flood light) occurs.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을 통해 옹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옹벽체의 단면은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하부를 두껍게 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시공함으로서, 흙벽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옹벽체에서 적절하게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옹벽체를 구성하는 블록막대의 전면이 흙벽쪽으로 경사지게 시공되게 함으로서, 옹벽체의 무게중심이 흙벽 쪽으로 쏠리게 하여 자연적으로 옹벽체를 향해 밀려드는 지반을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cross se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ickens the lower portion that receives the most load and gradually reduces the thickness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hereby retaining the load generated from the earth wall. It can be properly offset from.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block rod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oil wall,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etaining wall is directed toward the soil wall, thereby supporting the ground that is naturally pushed toward the retaining wall.

또한 상기 벽체 시공과정(30) 및 상부 마무리과정(40)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벽체 막대블록(2)들과 상부 막대블록(3)들은 결속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막대블록들을 종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호로 적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wall construction process 30 and the upper finishing process 40, the wall bar blocks 2 and the upper bar blocks 3 may have a plurality of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binding strength. It is laminated | stack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또 상기 벽체 시공과정(30)에서 사용되는 벽체 막대블록(2)은, 마름모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막대블록을 사용함으로서, 경사면의 상호밀착의 힘을 통해 벽체의 강도 극대화 됨은 물론, 벽체 막대블록(2)의 경사면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흙벽에 대한 분산 하중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각 벽체 막대블록(2)들을 종방향으로 적층(피라미드식)함으로서 상부에 위치된 벽체 막대블록(2)의 하중힘을 옹벽체의 결속힘으로 사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ll bar block 2 used in the wall construction process 30, by using a bar block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at portion 6 is formed to have a shape of a rhombus bar and a drainage part at the corner, The strength of the wall is maximized through the mutual adhesion of the inclined surfaces, as well as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wall bar block 2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fficiently offset the distributed load on the earth wall. In other words, by stacking each of the wall bar blocks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yramid type), the load force of the wall bar blocks 2 located at the top is used as the bind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또 상기 하부기초 배치과정(20)과 상부 마무리과정(40)에서 사용되는 상,하부 막대블록(3,1)은, 삼각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구(7)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막대블록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하부기초 배치과정(20)에서는 상기 벽체 및 상부 막대블록(1,3)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단일의 하부 막대블록(2)을 배치함으로서 벽체 막대블록(2)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옹벽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bar blocks (3,1) used in the lower foundation arrangement process 20 and the upper finishing process 40, has a triangular bar shape and the plane so as to have a drain hole 7 in the corner portion It is to use a bar block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rtion 6 is formed. In particular, the lower foundation arrangement process 20 improve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wall bar block 2 by arranging a single lower bar block 2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wall and the upper bar blocks 1 and 3.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이하, 상술한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되는 옹벽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홈부(5)가 형성되며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의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막대블록(1)으로 이루어진 하부기초와, 상기 배치된 하부 막대블록(1)들의 사이마다 연결구(4)를 통해 연결 적층되고 서로가 반복적으로 연결구(4)를 통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측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 막대블록(1)의 홈부(5)와 상응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5)가 구비된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2)으로 이루어진 벽체, 및 이 벽체를 구성하는 제일상측의 벽체 막대블록(2)들의 사이마다 적층되어 있으며 연결구(4)를 통해 상기 벽체 막대블록(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4)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상부 막대블록(3)으로 이루어진 상측 마무리부로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upper base is a flat base and a plurality of grooves (5) formed on the side slope and the lower bas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wer bar blocks (1) arranged in a longitudinal row with respect to the earth wall; The grooves of the lower bar block 1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so that the lower bar blocks 1 are stacked and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4 between each of the arranged lower bar blocks 1, and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can be repeatedly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4. It is laminated between a wall made up of a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2 provided with one or more grooves 5 corresponding to (5), and the wall bar blocks 2 of the uppermost part constituting the wall. It is composed of an upper finishing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per bar blocks (3) having one or more grooves (4) on the side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ll bar block (2) through 4).

특히 상기 옹벽체는 흙벽의 하중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 막대블록(2)들과 상부 막대블록(3)들은 결속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막대블록들을 종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호로 적층 구성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in thicknes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soil wall, the wall bar blocks (2) and the upper bar blocks (3) to increase the binding strength A plurality of bar blocks are laminat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벽체 막대블록(2)은, 마름모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막대블록(3,1)은, 삼각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구(7)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옹벽체를 시공한 후에는 별도의 배수구를 구비하기 위한 시공이 필요 없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ll bar block 2 has a shape of a rhombus bar, and the flat portion 6 is formed to have a drainage at the corner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bar blocks 3 and 1 are triangular bars. It has a shape of the flat portion 6 is formed to have a drain hole 7 in the corner portion. Therefore, afte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drai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막대블록을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적층하여 옹벽체를 시공함으로서, 옹벽체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킨 안정된 옹벽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stable retaining wall which improved the overall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r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또한 옹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 막대블록들을 시멘트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구를 통해 연결함으로서 종래의 시멘트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caused by the use of conventional cement by connecting each bar block through the connector without using an adhesive such as cement.

또 옹벽체를 구성하는 블록들의 사이마다 배수구를 구비함으로서 별도의 배수구 시공을 필요없게 함으로서, 시공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rainage hole between the blocks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drainage construction.

또 옹벽체을 철거한 후에도 막대블록들을 재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거에 따른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을 막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막대블록들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ar blocks can be reused even after the retaining wall is removed,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oncrete waste due to demolition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use of bar blocks semi-permanently to prevent waste of resources. To have.

또 막대블록들에 측 경사부에 형성된 홈부의 크기보다 홈부에 삽입되는 연결구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서, 순간적이 큰 수압의 충격을 상쇄시켜 홍수등의 발생시 옹벽체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groov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side inclined portion on the bar blocks, it has the effect of canceling the retaining wall collapse in the event of flooding by canceling the instantaneous large hydraulic shock. will b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 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laims (5)

하부가 평면이고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5)가 형성되며 흙벽에 대하여 종방향의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막대블록(1)으로 이루어진 하부기초와,A lower founda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wer bar blocks (1) having a flat bottom and at least one groove (5) formed on the side slope and arranged in a longitudinal row with respect to the soil wall; 상기 배치된 하부 막대블록(1)들의 사이마다 연결구(4)를 통해 연결 적층되고 서로가 반복적으로 연결구(4)를 통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측 경사면에는 상기 하부 막대블록(1)의 홈부(5)와 상응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5)가 구비된 다수의 벽체 막대블록(2)으로 이루어진 벽체, 및The grooves of the lower bar block 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so that the stacked lower bar blocks 1 are connected and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4 between the lower bar blocks 1 and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are repeatedly stacked through the connector 4. A wal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 bar blocks 2 with one or more grooves 5 corresponding to 5), and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제일상측의 벽체 막대블록(2)들의 사이마다 적층되어 있으며 연결구(4)를 통해 상기 벽체 막대블록(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 경사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4)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상부 막대블록(3)으로 이루어진 상측 마무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체.It is stacked between each of the top wall bar blocks (2) constituting the wall and one or more grooves (4) is provided on the side inclined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wall bar block (2) through a connector (4)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finis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per bar blocks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체는 흙벽의 하중을 분배할 하부에서 상부로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단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체.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wall has a cross section whos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soil wal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막대블록(2)들과 상부 막대블록(3)들은 결속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막대블록들을 종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호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체.Retaining wall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bar blocks (2) and the upper bar blocks (3) are stack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binding strength. sie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막대블록(2)은, 마름모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체.Retaining wall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bar block (2) has a shape of a rhombus bar and a flat portion (6) is formed at an edge thereof to have a drainage pa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막대블록(3,1)은, 삼각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부에는 배수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평면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체.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bar blocks (3,1) have a triangular bar shape and a flat part (6) is formed at the corners to have a drainage path.
KR2020020006093U 2002-02-28 2002-02-28 A breast wall KR2002766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93U KR200276629Y1 (en) 2002-02-28 2002-02-28 A breast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93U KR200276629Y1 (en) 2002-02-28 2002-02-28 A breast wa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103A Division KR100477257B1 (en) 2002-02-28 2002-02-28 A breast wall constructing method and the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629Y1 true KR200276629Y1 (en) 2002-05-25

Family

ID=7311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93U KR200276629Y1 (en) 2002-02-28 2002-02-28 A breast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62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135B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CA2258637A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N209855277U (en) Conversion layer structure for underground added layer of existing building
KR200276629Y1 (en) A breast wall
KR100355429B1 (en) Grid Type Retaining Wall for using Sleepers and It&#39;s Construction Method
JPS58120924A (en) Block for assembling retaining wall
KR20030071417A (en) A breast wall constructing method and the products
KR200238747Y1 (en)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CN212001179U (en) Goaf collapses prosthetic side slope supporting construction
CN113216225A (en) Hyperstatic protection structure for resisting high slope wall back filling pressure
KR102153322B1 (en) Compoun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58157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blocks of different heights
CN218175902U (en) Retaining wall
KR100383124B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ons for Embankment
KR100346947B1 (en) The SEN Retaining Wall
KR102239894B1 (en) Compound block
CN218508510U (en) High-low-span foundation slope supporting and replacing structure
CN220099806U (en) Assembled high pile wharf bank slope reinforced structure
CN211571782U (en) Impact-resistant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480249B1 (en)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456219B1 (en) A coupling device of assembly block for Wall systems
KR200205731Y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and protecting slope
CN219100102U (en) Inclined-pulling type foundation supporting device
KR100950092B1 (en)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245227Y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