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41Y1 -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41Y1
KR200276541Y1 KR2019990006816U KR19990006816U KR200276541Y1 KR 200276541 Y1 KR200276541 Y1 KR 200276541Y1 KR 2019990006816 U KR2019990006816 U KR 2019990006816U KR 19990006816 U KR19990006816 U KR 19990006816U KR 200276541 Y1 KR200276541 Y1 KR 200276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or lock
door
lock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809U (ko
Inventor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오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영 filed Critical 오수영
Publication of KR19990034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1Covers preventing access to handle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04Additional locks added to existing lock arrangements

Abstract

문에 부착된 도어록은 문 밖에서 열쇠 없이는 해정이 어려우나 실내에서는 도어록의 실내 손잡이를 돌릴 수 있어 외부 침입자가 문의 우유투입구를 통해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돌려 출입문을 통해 침입 또는 탈출할 수 있어 빈 집 경우 도난 위험을 방지 못했고, 이를 해결키 위한 종래 기술도 만족스럽지 못했다.
본 고안은 도어록의 실내 손잡이 뿐만 아니라 도어록을 조임한 나사까지 풀지 못하게 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제공에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손잡이와 도어록 조임나사까지 덮개로 씌우고 이를 자물쇠로 잠궈 열 수 없게 하거나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는 종래의 도어록처럼 사용하게 선택 가능케 했다.
또한, 상기 기능을 갖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록 뿐만 아니라 문의 중요도에 따라 기존 도어록에 추가 설치도 가능케 하며, 이를 주택, 상가, 사무실, 공장, 창고 등의 각종 문, 창에 설치한 도어록에 활용케 했다.

Description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The Implement which is Cancellation-Thwarting possessed the Cover with the Dead Lock}
본 고안은 도어록(Dead Lock) 등의 손잡이를 덮개로 씌우거나 걸리게 하고 덮개를 자물쇠(Key Locked Latch)로 잠그므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손잡이를 조작할 수 없게 하여 도어록 등을 해정시킬 수 없게한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유투입구를 통한 실내 회동 손잡이를 돌릴 수 없게 하고 창문 등을 통한 침입자의 출입문 탈출을 방지하며, 화재등 긴급한 경우에도 실내에 있는 사람이 문을 열 수 있도록 통상의 도어록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도어록에도 간단히 추가 설치할 수 있는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제공과 또다른 목적은 도어록을 조인 나사를 돌려 빼 도어록을 문에서 분리시킬 수 없게 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문 외부에서 키-실린더(Key-Cylinder)에 열쇠를 꼽아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실린더의 회동축이 괘정판을 승강 작동시켜 괘정 및 해정되게 하는 것으로, 문밖에서는 열쇠 외에는 도어록의 해정이 어렵게 되어 있지만 도어록이 부착되는 아파트 현관문 같은 경우에는 문 아랙쪽에 우유나 신문 등을 넣는 개폐구가 있고 그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실내 회동 손잡이를 당기거나 돌려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어 빈 집 경우 도난 위험이 있고, 또한 창문 등을 통해 침입한 자가 나갈 때는 실내 손잡이를 돌리거나 도어록 조임나사를 풀 수 있어 출입문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종래 기술로는, 도어록 실내 회동 손잡이를 원형으로 형성하면서 손잡이가 스프링으로 탄발되며 회동축에 결합 및 이탈되게 하고 이탈된 상태에서는 공회전 되게 하여 우유투입구를 통해 도어록의 회동 손잡이를 돌려도 해정시킬 수 없게 한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실용 공고번호 94-5680호)와 실내용 손잡이를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 내측의 톱니가 회동축의 톱니와 맞물려야 회동축을 돌려 도어록이 해정되고 손잡이를 누르지 않으면 공회전 되게 하여 우유투입구를 통한 실내 손잡이 회동을 방지한 기술(실용 공고번호 96-1230호)이 알려져 있다. 또한, 출입문 밖에서 하나의 도어키(Door-Key)로 두 개의 걸림축이 동시에 잠기게 하고 내부에서는 한 개의 걸림축만 열고 다른 한 개의 걸림축을 열 수 없게 한 침입자의 탈출 방지용 도어록(실용 공고번호 92-5224호)과 창문 등을 통해 침입한 자가 현관문의 도어록을 해정시키지 못하게 한 개의 도어록에 문 내·외측에 각각 키-실린더를 갖게 하여 실내에서도 열쇠를 돌려야 도어록이 해정되게 한 것 등이 있다.
전자 두 경우는 우유투입구를 통해 손잡이를 돌리지 못해 침입자가 출입문으로는 들어오지 못하나 내시경식 카메라 등을 우유투입구에 집어넣고 문 밖에서 화면을 보면서 모터를 돌리는 등 정교하게 문 밖에서 조작할 수 있어 안심할 수 없고, 또한 창문을 통한 침입자의 탈출은 방지할 수 없으며, 실용 공고번호 92-5224호는 내측 패널에 면붙이식으로 도어록 본체 걸림축이 부착되고 파넣기식으로 다른 걸림축이 문짝 사이에 들어가 있어야 하므로 시공 설치가 간단치 않고, 실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 유사시 출입문으로 나갈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실내에서도 열쇠로만 괘정 및 해정되는 경우는 창고 등과 같이 실내에 사람이 없으면 문제가 없으나 주택처럼 사람이 있을 때 열쇠만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화재 등 긴급시에는 열쇠를 빨리 찾지 못하면 출입문을 속히 열고 탈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종래 도어록은 창문 등으로 침입한 자가 도어록 본체를 조인 나사만 드라이버 등으로 돌려 빼면 쉽게 출입문으로 탈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평시 사람이 실내에 있을시는 통상의 도어록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게 선택 가능케 하여 외출시는 우유투입구를 통한 손잡이 돌림이 불가하며 필요에 따라 창문 등으로 침입한 자라도 손잡이를 돌릴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록 조임나사도 풀 수 없게 하고, 이상의 기능을 갖는 새로운 도어록 설치는 물론 이미 부착된 도어록에 간단한 추가 설치로 본 고안의 기능을 동일하게 발휘케 하므로써, 도어록 교체로 인한 자원 낭비 배제도 가능케 하는 것 등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조립한 후 도어록 본체를 집어넣고 패널(Panel)에 부착한 후 덮개를 연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닫은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연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조립이 완료된 후 덮개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 상태의 사시도
7항은 삭제 되었습니다.
[도면 중 중요부분의 부호 설명]
1 : 하부판 12 : 부착부
13 : 삽입부 14 : 조임구멍
19 : 경첩부 2 : 덮개
28 : 걸림구멍 29 : 경첩부
3 : 자물쇠 3A : 걸쇠
31 : 회동 걸편 31A : 탄력 걸림턱
33 : 열쇠 33A : 손잡이
37 : 미끄럼 걸편 4 : 손잡이
5 : 걸림부 5A : 걸림 돌기
50 : 보강판 58 : 걸림구멍
6 : 고정 스토퍼 6B : 이동 스토퍼
7 : 자석 8A,8B,8C,8D,8E : 조임나사
9 : 경첩 100 : 도어록 본체
130 : 조임구멍 140 : 잠김봉
160 : 자물쇠실 168 : 걸림구멍
170 ; 걸림축 170A : 걸림축실
210, 220 : 문 외측, 내측 패널 500 : 자물쇠판
600 : 걸림축 고리
27항은 삭제 되었습니다.
문 내측 패널(panel ; 220)에 면붙이식으로 부착되어 도어록 본체(100)와 함께 노출된 손잡이(4)나, 문에 파넣기식으로 부착되어 문 내·외측 패널(220, 210) 사이에 도어록 본체(100)는 들어가고 문 내측 패널(220)에 노출된 손잡이(4)처럼 회전 또는 상·하 조작에 따라 괘정 걸림축이 작동하면서 괘·해정되는 것에 있어서, 자물쇠(3)를 부착한 자물쇠실(160)과 삽입부(13) 및 부착부(12)와 경첩(9) 일측인 경첩부(19)를 형성한 하부판(1)과, 하부판 경첩부(19)와 맞물리며 경첩핀(10)이 꼽히는 경첩 일측인 경첩부(29)를 부착 또는 형성하고 손잡이(4)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거나 걸리게 하며 자물쇠(3)의 걸편(31)이 걸리는 걸림부(5)를 형성한 덮개(2)로 구성되어, 하부판(1)과 덮개(2)의 경첩부(19, 29)를 경첩핀(10)으로 결합하고 하부판의 삽입부(13)에 손잡이(4)가 달린 도어록 본체(100)를 집어넣고 하부판(1)의 부착부(12)를 패널(220)에 부착한 후 덮개(2)를 닫고 열쇠(33)를 자물쇠(3)에 꼽고 회전시키면 걸편(pawl ; 31, 37)이 걸림부(5)에 걸리며 괘정되어 덮개(2)에 가려져 있는 도어록의 손잡이(4)를 조작하지 못하게 한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이다.
본 고안에서의 도어록 본체(100)와 손잡이(4)는 면붙이식으로 문에 부착하여 본체(100)와 손잡이(4)가 함께 패널(220)에 노출된 경우와 파넣기식으로 부착하여 문 내·외측 패널(220, 210) 사이에 본체(100)를 집어넣고 손잡이(4)만 패널(220)에 노출된 경우로 구분된다. 또한, 도 1, 도 4 등의 실시예처럼 면붙이식으로 되어 패널(220)에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4)가 부착된 본체(100)를 본 고안의 하부판의 삽입부(13)에 집어넣을 때 도어록의 걸림축(170) 및 걸림축실(170A) 또는 잠김봉(140) 등은 가려지지 않게 집어넣고 하부판(1)의 부착부(12)를 패널에 부착·설치하는 것과, 도 1의 실시예 외에 하부판(1)을 이미 설치된 도어록 본체(100) 상면(110)에 올려놓고 조임으로써 본 고안 장치를 추가 설치하거나 본 고안 장치를 새로운 도어록에 응용하는 것과 파넣기식으로 되어 패널에 노출된 손잡이(4) 만을 하부판의 삽입부(13)에 집어넣고 하부판(1)의 부착부(12)를 패널에 부착하는 것도 동일한 고안이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4)를 돌리지 못하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이상의 손잡이(4) 외에 각종 문, 창문의 내·외측 패널에 노출되게 부착된 걸쇠(Latch), 꽂이쇠(Bolt) 등을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도 본고안의 손잡이(4)에 포함한다.
하부판(1)은 도 1, 도 4처럼 측벽(16) 또는 측벽(15)에 경첩(9)이 수평되게 경첩부(19)를 형성하거나 측벽(15) 등에 경첩부(19)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이에 경첩핀(10)을 꼽아 덮개(2)의 경첩부(29)와 맞물려 결합하고, 손잡이(4)가 부착된 도어록 본체(100) 전부 또는 일부나 손잡이(4)만 집어넣을 삽입부(13)와 부착부(12)를 형성하며, 양 측벽(15)을 연결하는 상면(11)에 자물쇠실(160)을 부착 또는 형성하고 이에 형성된 체결구멍(166)에 자물쇠(3)를 부착한다. 또한, 자물쇠실 측벽(164)에 걸림구멍(168)을 형성하고 이에 자물쇠의 회동 걸편(31)이 걸림구멍(168) 내·외측으로 들어가거나 나오게 하고, 덮개의 이동 스토퍼(6B)가 덮개를 닫았을 때 맞닿도록 하부판 상면(11)에 스토퍼(Stopper ; 6)를 부착 또는 형성할 수도 있고 스토퍼(6)에 자석(7)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하부판(1)은 도 1, 도 4처럼 하부판의 삽입부(13)를 도어록 본체(100)가 들어가게 형성하고 이에 기존 도어록 본체(100)를 집어넣고 하부판 부착부(12)의 조임구멍(14)에 나사(8B)를 조여 기존 도어록 본체(100)와 분리하여 패널(220)에 부착하는 것 외에, 도 4처럼 하부판 부착부(12) 하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나 자석판을 활용, 패널(220)에 부착할 수 있으며, 이때 부착부(12)는 측벽(15) 또는 측벽(16) 내측 또는 외측으로 나오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하부판 부착부(12)의 조임구멍(14)을 도어록 본체 조임구멍(130)과 일치되게 형성하고 그 위에 도어록 본체(100)를 올려놓고 본체(100)의 조임나사(8A)로 패널(220)에 함께 부착할 수도 있고, 하부판(1)의 부착부(12)를 도어록 본체 상면(110)에 올려놓고 본체(100)와 함께 부착하거나 또는 도어록 본체(100)와 부착부(12)를 포함한 하부판(1)을 일체로 형성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록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부판(1)에는 삽입부(13) 외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 돌출부, 공간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판 상면(11)에 도어록 본체의 조임구멍(130)에 조임나사(8A)를 꼽아 조일 수 있게 나사 관통구멍(14A)을 형성하면 도어록 본체(100) 교체시 편리하며 이 경우 덮개에형으로 양날개(20)를 형성하면 나사 관통구멍(14A)도 덮어 씌워 조임나사(8A)를 돌려 뺄 수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 측벽(16)에 잠김봉(140)이 노출되게 구멍(17)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판(1)과 덮개(2)의 경첩부(19,29)와 경첩핀(10)을 일체로 형성하고 경첩의 경첩핀(10) 부위에서 꺾여 덮개(2)를 열고 닫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비닐이나 가죽 등 유연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하부판 상면(11)에 덮개 측벽(15)이 걸릴 돌출테(18)를 돌설하면 덮개를 닫을 시 정위치에 견고하게 닫혀 있게 하고 덮개(2)를 외부 침입자가 쉽게 열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하부판(1)의 자물쇠실(160) 등이 도어록 본체(100)의 걸림축(170) 및 걸림축실(170A)이 가려져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 걸리거나 걸림축 작동에 방해되어서는 안된다.
덮개(2)는 손잡이(4)를 감쌀 수 있게 형성하고 하부판(1)의 경첩부(19)와 맞물려 움직이는 경첩부(29)를 도 1, 도 4처럼 측벽(23) 또는 측벽(24)에 형성하며 하부판의 경첩부(29)가 측벽(15)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을시는 덮개의 경첩부(19)도 수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덮개(2)가 손잡이(4)에 걸리지 않게 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상면(22), 측벽(23), 상·하 측벽(24) 중 1개소에 자물쇠 체결구멍(26)을 뚫고 자물쇠(3)를 꼽아 고정, 부착할 수도 있다. 도 1처럼 덮개 측벽(25)에 자물쇠실 측벽(164)에 형성된 걸림구멍(168) 외측으로 나온 회동 걸편(31)이 꼽힐 걸림구멍(28)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 구멍(28)을 보강하기 위해 별개로 된 걸림구멍(58)을 갖춘 보강판(50)으로 보강케 할 수도 있으며, 이같은 걸림구멍(28)은 회동 걸편(31)이 걸리는 걸림부(5)가 된다. 덮개 측벽(25)에 스토퍼(6B)를 부착 또는 형성할 수 있고 이 스토퍼(6B)는 보강판(50)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부판 상면(11)에 자석(7)이 있는 경우는 스토퍼(6B)는 철재로 한다. 또한, 자물쇠의 열쇠구멍(32)을 제외하고 자물쇠실(160)도 덮개(2)로 씌울 수 있고, 이 경우 도 1처럼 자물쇠실 측벽(164)에 걸림구멍(168)이 형성되어 있으면 걸림구멍(28)을 형성한 측벽(25)은 그대로 두고 이를 중간벽으로 하며 자물쇠실 측벽(167)을 감싸는 덮개 측벽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고, 도 1과 다르게 자물쇠실 측벽(167)에 걸림구멍(168)을 형성할 시는 회동 걸편(31)이 노출되지 않게 2중 측벽을 덮개에 형성하며, 이같은 구조는 도 1의 실시예와 다르게 샤시용 보조키처럼 걸림축(170)이 상·하 측벽(15)에 형성된 도어록 본체(100)에 적합하다. 또한, 자물쇠(3)가 자물쇠실 측벽(165)에 부착될 경우 자물쇠의 열쇠구멍(32)과 일치되게 덮개 측벽(24)에 열쇠구멍(27)을 형성하며, 이같은 구조도 걸림축(170)이 상·하 측벽(15)에 형성된 경우 적합하다. 덮개(2)는 궁극적으로 손잡이(4)를 침입자가 돌려 해정 못하게 하는 것이므로 손잡이의 걸림턱 또는 손잡이의 요철부에 덮개가 걸리게 하여 손잡이(4)를 회전시킬 수 없게 해도 본 고안의 덮개 사용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 경우는 주로 실내 방 문 도어록 등에 활용되며, 덮개(2)는 가능한 한 유선형의 곡선 등을 채택하여 문에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2)는 금속제 외에 플라스틱제 비닐, 가죽 등으로 할 수도 있고 덮개 상면에 자석(7)을 부착하면 철제문에 덮개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자물쇠(3)는 덮개(2)에 부착할 수도 있고 도 1처럼 하부판(1)이나 도어록 본체(100)에 자물쇠실(160)을 부착하거나 형성하고 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덮개(2)를 가볍고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물쇠(3)는 자물쇠실 상면(161)에 형성한 체결구멍(166)에 꼽고 자물쇠실 하면에서 너트(36)로 자물쇠 실린더 숫나사(35)와 조여 부착하거나 클립형의 고정구(39)로 자물쇠(3)를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자물쇠(3)를 자물쇠실 상·하 측벽(165) 등에 형성한 체결구멍(168)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회동 걸편(31) 또는 미끄럼 걸편(37)이 관통할 걸림구멍(168)을 측벽(164) 등에 형성한다. 자물쇠의 회동 걸편(31)은 ㅡ자형, ㄱ자형 등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회동 걸편(31)이 미끄럼 걸편(37)을 작동하게 U자형 등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자물쇠(3)의 형상과 구조는 도 1 외에 금고 등에 사용하는 다이얼(Dial)형 자물쇠, 디지털형 자물쇠, 가방 등에 사용하는 자물쇠 등 공지의 자물쇠를 모두 포함하여 이를 자물쇠(3)로 한다. 이들에 부착되어 걸림부(Keeper ; 5)에 걸릴 걸편은 회동 걸편(31), 미끄럼 걸편(37) 등 공지의 것을 포함,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 공지의 걸쇠들은 포괄적으로 걸쇠로 통일하며 이같은 걸쇠에 열쇠 잠금장치가 부착되거나 공지의 자물쇠를 포함하여 이들을 자물쇠(Key Locked Latch ; 3)로 하여 걸쇠와 구분한다.
걸림부(5)는 도 1, 도 4처럼 덮개 측벽(25)에 걸림구멍(28)을 형성하여 이에 회동 걸편(31)이 꼽히며 걸리게 하고, 이를 걸림부(5)로 한다. 덮개(2)에 자물쇠(3)가 부착된 경우는 하부판(1)이나 도어록 본체(100)에 걸림부(5)를 부착 또는 형성할 수 있고 자물쇠의 회동 걸편(31)은 직접 걸림부(5)에 걸리거나 간접으로 미끄럼 걸편(37)을 작동시켜 미끄럼 걸편(37)이 걸림부(5)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5)의 형태는 원형 구멍, 각진 구멍, 장방형 구멍, 걸림턱,형의 걸림턱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고, 자물쇠의 회동 걸편(31) 또는 미끄럼 걸편(37)이 걸려 괘정될 수 있게 되면 걸림부(5)로 한다.
경첩(9)은 하부판의 경첩부(19)와 덮개의 경첩부(29)를 경첩핀(10)으로 연결하며, 경첩핀(10)은 도 1, 도 4처럼 핀(10)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으나 덮개(2) 내측에서 핀(10)을 꼽아 덮개를 닫았을 때 핀(10)이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고, 이에 스프링(70)을 함께 사용하여 덮개(2)가 열려 있게 하거나 닫혀 있게 할 수도 있고, 하부판(1), 경첩(9), 덮개(2)를 하나가 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경첩(9) 대신 이에서 꺾이며 덮개(2)를 열고 닫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플라스틱, 비닐, 가죽, 천 등 유연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을 조립한 후 도어록 본체(100)에 집어넣고 덮개를 연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로써, 하부판의 경첩부(19)와 덮개의 경첩부(29)를 맞물리고 경첩핀(10)을 꼽아 결합하고, 하부판(1)을 이미 설치된 도어록 본체(100) 위에서 하부판 삽입부(13)가 도어록 본체(100)를 감싸게 집어넣고 하부판의 부착부(12)의 조임구멍(14)에 조임나사(8B)로 조여 패널(220)에 부착한 것이다. 물론, 부착부(12) 하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도어록 본체의 잠김봉(140)은 하부판 측벽(16)의 잠김봉 구멍(17)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록 본체의 걸림축(170) 및 걸림축실(170A)을 자물쇠실(160) 등이 가려 걸림축(170) 등의 작동을 방해하지 못하게 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자물쇠 회동 걸편(31)은 자물쇠실 측벽(164)에 형성된 걸림구멍(168) 속에 있어(해정 상태) 덮개(2)는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덮개 측벽(25)에 부착된 보강판(50)을 철제 스토퍼(6B)로 하고 하부판 상면(11)에 있는 스토퍼(6)에 자석(7)이 부착되어 있으면, 열쇠(33)로 잠그지 않더라도 덮개(2)는 하부판(1)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덮개 날개편(20) 하면의 돌출테(21)는 덮개(2)를 더욱 정위치에 견고하게 닫혀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에서 닫은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열쇠(33)로 회동 걸편(31)을 회전시켜 회동 걸편(31)이 걸림부(5)인 덮개의 걸림구멍(28) 속에 걸려 덮개(2)를 열 수 없게 괘정 상태가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회동 걸편(31)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5)인 걸림구멍(28)에서 회동 걸편(31)이 벗어나며 자물쇠실 걸림구멍(168) 속에 들어가고 해정되어 도 2처럼 덮개(2)는 열 수 있다. 또한, 도어록 본체(100)의 조임나사(8A)와 하부판(1)의 조임나사(8B)가 덮개(2)로 가려 있어, 창문 등으로 들어온 침입자가 조임나사(8A,8B)를 돌려 뺄 수 없어 도어록 본체(100)를 패널에서 분리시킬 수 없음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연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써, 도 2의 실시예에 자물쇠(3)와 걸쇠(3A)를 동시에 사용하여, 열쇠(33)로 자물쇠(3)를 잠그지 않더라도 걸쇠(3A) 만으로도 잠겨지게 한 것이다.
또한, 자물쇠실(160)에 공간부(160A)를 형성하고 이에 걸림턱 구멍(169)과 걸림구멍(168)을 형성하며, 자물쇠(3)를 부착한 별개의 자물쇠판(500)에는 탄력 걸림턱(510)과 걸림 돌기(520)를 형성하였다. 조립은 자물쇠판(500)에 자물쇠(3)를 클립형의 고정구(39)로 부착한 후 자물쇠실 상면 공간부(160A)에 자물쇠판 걸림 돌기(520)를 먼저 꼽은 후 자물쇠판(500)을 눌러 걸림턱(510)이 걸림턱 구멍(169)에 꼽히게 조립한다. 그 이후, 자물쇠(3)의 사용 상태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탄력 걸림턱(31A)과 손잡이(33A)를 갖는 걸쇠(3A)는 덮개 측벽(25)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로 부착하며, 걸쇠(3A)의 탄력 걸림턱(31A)이 걸리게 하부판 상면(11) 또는 자물쇠실 상면(161)에 걸림 돌기(5A)를 형성하여 이에 걸리게 한다. 덮개(2)의 요부(24A)와 하부판 측벽(15)의 돌부(15A)는 덮개를 닫았을시 덮개를 전·후·좌·우방향에서 당길 때 경첩부(19,29)에 큰 충격을 가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조립이 완료된 후 덮개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로써, 자물쇠(3)를 사용치 않더라도 걸쇠(3A) 사용으로 덮개가 잠김을 나타낸다. 이때,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걸쇠(3A)의 탄력 걸림턱(31A)이 하부판(1) 자물쇠실 상면(160)에 형성한 걸림 돌기(5A)에 걸려 덮개(2)는 열 수 없게 되며, 덮개의 걸쇠 손잡이(33A)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탄력 걸림턱(31A)이 하부판 걸림 돌기(5A)에서 벗어나면서 덮개(2)를 열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덮개 상면(22)에 자석(7)을 부착하면 덮개를 열었을시 철제문에 덮개가 부착되어 안정되게 열려 있게 할 수 있으며, 문 등이 나무로 된 경우 경첩(9)에 공지의 스프링(70)을 함께 사용하여 덮개가 열려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판(1)은 부착부(12) 하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접착제 등으로 패널(22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평면 상태의 사시도로써, 문에 이미 설치된 도어록 본체(100)를 본 고안 장치 속에 집어넣으며 부착할 때, 도어록 본체의 걸림축(170)과 걸림축실(170A) 및 걸림축 고리(600) 등이 가려지지 않게 하부판(1)의 자물쇠실(160)에 요홈부(16A)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덮개(2)를 닫은 후 걸쇠 손잡이(33A)를 덮개 상면(22)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걸쇠의 탄력 걸림턱(31A)이 하부판의 자물쇠실(160)의 걸림 돌기(5A)에서 벗겨지면서 덮개(2)를 열 수 있게 됨을 나타낸다.
51항은 삭제 되었습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외출시, 덮개로 도어록의 손잡이를 감싸고 덮개를 잠그므로 우유투입구를 통한 도어록의 손잡이를 돌릴 수 없고, 창문 등을 통한 침입자도 도어록을 해정할 수 없어 출입문을 통한 탈출이 불가하며, 실내 사람이 있을시는 덮개를 열어두고 사용할 수 있어 통상의 도어록처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도어록에도 본 고안의 해정 방지 장치만 추가 설치하면 본 고안의 새로운 도어록과 교체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 도어록 본체를 노출되게 패널에 부착했더라도 조임나사도 덮개가 가려 창문 등으로 침입한 자는 도어록 본체를 뜯고 출입문을 통한 탈출이 불가한 장점과 출입문 등에 노출된 실내손잡이 뿐만 아니라 각종 실내 문(철제, 목제, 플라스틱제, 알루미늄 샤시, 강화유리 등)과 창문 등에 부착된 손잡이가 있는 주택(단독, 아파트 등), 상가, 사무실, 공장, 창고 등에 본 고안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문 내측 패널(panel ; 220)에 면붙이식으로 부착되어 도어록 본체(100)와 함께 노출된 손잡이(4)나, 문에 파넣기식으로 부착되어 문 내·외측 패널(220, 210) 사이에 도어록 본체(100)는 들어가고 문 내측 패널(220)에 노출된 손잡이(4)처럼 회전 또는 상·하 조작에 따라 괘정 걸림축이 작동하면서 괘·해정되는 것에 있어서, 자물쇠(3)를 부착한 자물쇠실(160)과 삽입부(13) 및 부착부(12)와 경첩(9) 일측인 경첩부(19)를 형성한 하부판(1)과 하부판 경첩부(19)와 맞물리며 경첩핀(10)이 꼽히는 경첩 일측인 경첩부(29)를 부착 또는 형성하고 손잡이(4)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거나 걸리게 하여, 자물쇠(3)의 걸편(31)이 걸리는 걸림부(5)를 형성한 덮개(2)로 구성되어, 하부판(1)과 덮개(2)의 경첩부(19, 29)를 경첩핀(10)으로 결합하고, 하부판의 삽입부(13)에 손잡이(4)가 달린 도어록 본체(100)를 집어넣고 하부판(1)의 부착부(12)를 패널(220)에 부착한 후 덮개(2)를 닫고 열쇠(33)를 자물쇠(3)에 꼽고 회전시키면 걸편(pawl ; 31, 37)이 걸림부(5)에 걸리며 괘정되어 덮개(2)에 가려져 있는 도어록의 손잡이(4)를 조작하지 못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부(12)를 포함한 하부판(1)과 도어록 본체(100)가 하나가 되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판의 삽입부(13)에 손잡이(4)를 집어넣고 하부판(1)을 패널(220)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판(1)의 자물쇠(3)를 덮개(2)에 부착하고, 걸림부(5)를 하부판(1)에 부착 또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2)가 자물쇠실(160)을 포함해서 덮고 자물쇠실에 부착된 자물쇠의 열쇠구멍(32)과 일치되게 덮개(2)의 열쇠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부판(1)과 덮개(2) 및 경첩(9)이 하나로 일체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7. 청구항7는 삭제 되었습니다.
  8. 청구항8는 삭제 되었습니다.
  9. 청구항9는 삭제 되었습니다.
  10. 청구항10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19990006816U 1998-04-28 1999-04-23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KR2002765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39U KR19980024989U (ko) 1998-04-28 1998-04-28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KR2019980006739 1998-04-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730U Division KR200317835Y1 (ko) 1998-04-28 2001-07-09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09U KR19990034809U (ko) 1999-09-06
KR200276541Y1 true KR200276541Y1 (ko) 2002-05-24

Family

ID=494095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39U KR19980024989U (ko) 1998-04-28 1998-04-28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KR2019990006816U KR200276541Y1 (ko) 1998-04-28 1999-04-23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KR20-2001-0020730U KR200317835Y1 (ko) 1998-04-28 2001-07-09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39U KR19980024989U (ko) 1998-04-28 1998-04-28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730U KR200317835Y1 (ko) 1998-04-28 2001-07-09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99800249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143A (ko) * 2002-09-10 2004-03-18 안병현 절단 방지용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09U (ko) 1999-09-06
KR19980024989U (ko) 1998-07-25
KR200317835Y1 (ko) 2003-06-27
KR20010002243U (ko)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686A (en) Door closure assembly
US7255375B2 (en) Reach out lock
GB2271606A (en) Slide fastener for a cabinet door.
US4334705A (en) Door lock
CA2354227C (en) Door latching system
US5150591A (en) Norden double door lock
CA2210187C (en) Latch security device
KR200276541Y1 (ko)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US5551739A (en) Chain lock for trailer doors or mobile home doors
US20060179905A1 (en) Latch protector
KR200224430Y1 (ko) 미닫이덮개를장설한도어록해정방지장치
GB2270537A (en) Lock
US20050086879A1 (en) Retainer for prehung door
US5509701A (en) Door bracing apparatus
KR100283426B1 (ko) 덮개를 장설한 도어록 해정 방지 장치
US6655178B1 (en) Door lock and latch assembly
JP3066531U (ja) ドアの閂受具
JPS5815563Y2 (ja) 門扉用打掛金具
JPH0229762Y2 (ko)
JPH0421967Y2 (ko)
JP3067969U (ja) 施錠構造
JP3094144U (ja) 空き巣防止施錠カバー
KR200331955Y1 (ko) 문 경첩을 분해 했을시 출입문 강제 오픈 방지장치.
GB2429035A (en) Lock assembly casing fastening
KR20170000113A (ko) 실내 및 실외에서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