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07Y1 - 생활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생활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07Y1
KR200276507Y1 KR2020020005275U KR20020005275U KR200276507Y1 KR 200276507 Y1 KR200276507 Y1 KR 200276507Y1 KR 2020020005275 U KR2020020005275 U KR 2020020005275U KR 20020005275 U KR20020005275 U KR 20020005275U KR 200276507 Y1 KR200276507 Y1 KR 200276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t
exercise
predetermin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덕기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오덕기
오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덕기, 오용석 filed Critical 오덕기
Priority to KR2020020005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07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소정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공과, 상기 공이 구름 접촉되면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면조도를 유지하고 소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며 진행중인 상기 공이 원하는 지점에 머물 수 있도록 그 선단부측 표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목표홀이 형성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시작선상에 놓인 공을 상기 목표홀쪽으로 구름 회전할 수 있도록 타격하기 위한 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신체에 무리를 주는 과도한 동작은 피할 수 있으면서도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정한 운동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특히 어린이나 부녀자 또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 남녀노소 누구나가 흥미를 갖고 지속적으로 체력을 보강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집중력과 자제력을 배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 및 치매 예방에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생활운동기구{Sporting goods for slight exercise}
본 고안은 생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신체 각 부위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정한 운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므로 꾸준한 체력증진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집중력과 자제력 배양은 물론,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 및 치매 예방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생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어린이나 부녀자 또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과 같은 체력이 약한 노약자가 할 수 있는 정도의 운동으로는 게이트볼 정도가 있다.
상기 게이트볼은 당구와 골프를 조합한 듯한 운동기구 및 방식으로 진행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스포츠의 일종으로서, 가로 20m, 세로 15m의 장방형의 경기장에서, 각 팀당 5∼7명이 'T'자형의 스틱으로 당구공과 같은 흰색 및 붉은색 공을 각각 나눠 가지고 자기 팀의 공을 쳐서 상대팀의 다른 색상의 공을 맞혀 밀어내기도 하면서 경기장 내 3개의 게이트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자기 팀의 공을 상대팀보다 먼저 골폴에 명중시키는 팀이 승리하는 방식의 구기 종목이다.
상기의 게이트볼은 꾸준한 걷기 운동과 함께 스틱으로 볼을 타격할 때 집중력을 요하므로 정신수양에 좋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과도한 체력을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가볍게 수행할 수 있는 운동이어서 노약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는 생활스포츠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게이트볼은 일정 규격의 경기장이 갖춰져야 하므로 실내에서 운동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된 생활운동기구는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고자 할 때 장소의 제약을 받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운동 효과를 보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신체 각 부위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정한 운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므로 꾸준한 체력증진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집중력과 자제력 배양은 물론,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 및 치매 예방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외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간편히 운동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생활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는, 소정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공과, 상기 공이 구름 접촉되면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면조도를 유지하고 소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며 진행중인 상기 공이 원하는 지점에 머물 수 있도록 그 선단부측 표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목표홀이 형성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시작선상에 놓인 공을 상기 목표홀쪽으로 구름 회전할 수 있도록 타격하기 위한 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은 통상의 포켓볼 공과 유사한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것으로,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개수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의 각 목표홀은 각각 상기 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부분 구형 오목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목표홀들은 통상의 볼링핀의 배열구조와 유사한 삼각형 배열을 이루되 타격된 공의 진행방향 쪽으로 삼각형 일측 꼭지점쪽의 목표홀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에는 그 일측에 다수의 공을 안치하여 모아둘 수 있도록 부분 구형 오목홈을 이루는 다수의 안치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틱은, 통상의 게이트볼 스틱과 유사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공을 타격하기 위한 원통체형 해머형상의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T'자형으로 소정길이 만큼 신장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용의 손잡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의 일측에는 경기자의 점수를 기록 및 계수하여 합산할 수 있는 점수판이 별도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에 적용된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에 사용되는 공을 한곳으로 쉽게 수집하기 위한 수집전용 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매트 101 ; 목표홀
102 ; 시작선 103 ; 안치홀
104 ; 공 110 ; 스틱
111 ; 헤드 112 ; 샤프트
113 ; 손잡이 120 ; 점수판
121 ; 프레임 122 ; 발판
123 ; 높이조절대 124 ; 계수알
125 ; 기록판 130 ; 삽
131 ; 삽 본체 132 ; 밀대
133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의 각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에 적용된 매트(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Ⅱ-Ⅱ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는, 소정 규격의 공(104)과, 상기 공(104)을 구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롤 형태로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매트(100)와, 상기 공(104)을 상기 매트(100)상에서 구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타격하기 위한 스틱(110)을 구비함을 필수 구성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는, 소정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공(104)과, 상기 공(104)이 구름 접촉되면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면조도(表面粗度)를 유지하고 소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며 진행중인 상기 공(104)이 원하는 지점에 머물 수 있도록 그 선단부측 표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목표홀(101)이 형성된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의 시작선(102)상에 놓인 공(104)을 상기 목표홀(101)쪽으로 구름 회전할 수 있도록 타격하기 위한 스틱(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104)은 통상의 포켓볼 공과 유사한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것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공(104)을 한 세트로 한다. 상기 공(104)은 10개 단위로 상기 매트(100)의 일측에 놓여진 후 상기 매트(100)의 시작선(102)상에 하나씩 올려놓고 상기 목표홀(101)을 향해 조준한 다음 상기 스틱(110)으로 타격한다.
상기 매트(100)의 각 목표홀(101)은 각각 상기 공(104)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부분 구형 오목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목표홀(101)들은 통상의 볼링핀의 배열구조와 유사한 삼각형 배열을 이루되 타격된 공의 진행방향 쪽으로 삼각형 일측 꼭지점쪽의 목표홀(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100)에는 그 일측에 다수의 공(104)을 안치하여 모아둘수 있도록 부분 구형 오목홈을 이루는 다수의 안치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100)는 경기 완료 후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스틱(110)은, 통상의 게이트볼 스틱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공(104)을 타격하기 위한 원통체형 해머형상의 헤드(111)와, 상기 헤드(111)로부터 'T'자형으로 소정길이 만큼 신장된 샤프트(112)와, 상기 샤프트(112)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용의 손잡이(113)가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동일 형상의 예비용 스틱(110)이 하나 더 구비된다.
상기의 매트(100) 및 스틱(110)의 재질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매트(10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인조잔디로 제작하고, 상기 스틱(110)은 그 헤드(111)를 나무 또는 PVC, 샤프트(112)를 금속 또는 합성플라스틱, 그립을 위한 손잡이(113)를 고무 재질로 제작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100)의 일측에는 경기자의 점수를 기록 및 계수하여 합산할 수 있는 점수판(120)이 별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점수판(12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그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즉, 상기 점수판(12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치형의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을 수직상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그 양 하단부에 결합된 발판(122)과, 상기 프레임(121)을 가로지르는 수평바아에 꿰어져 경기자의 점수를 계수하기 위한 다수의 계수알(124)과, 상기 프레임(121)의 상부에 마련되어 경기자의 성명 및 점수 등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판(125)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1)의 중간부에는 나사식으로 회동시켜 조절하는 높이조절대(123)가 조립되어 있어 사용자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계수알(124)은 당구장 등에 설치된 것과 같이 점수를 단단위 및 십단위 등으로 구분하여 계수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운동기구를 사용한 경기 진행시 적용되는 규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 인원수를 두 팀 또는 여러 팀으로 나눈 후 각 팀별 선수의 순번을 정하고, 한 사람씩 교대로 경기에 임하여 각자 배당된 10개의 공(104)을 차례로 타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목표홀(101)에 넣는 것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목표홀(101)에 수용된 공(104)의 고유번호와 해당 목표홀(101)의 고유번호를 곱 또는 합의 계산 방식으로 조합하여 점수화하고, 각자의 점수를 팀별로 합산하여 총점이 높은 팀이 이기는 경기방식이다.
이때, 상기 10개의 목표홀(101)과 공(104)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고유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점수 산출이 가능한 것이며, 특히, 목표홀(101)의 번호와 이에 수용된 공(104)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목표홀(101)에 한해서 2배수의 보너스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운동은 경기자가 10개의 공(104)을 모두 타격한 후 그 최종 상태를 기준하여 합산점수를 부여하게 되므로 일단 목표홀(101)에 수용된 공(104)이라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서는 후속 공(104)에 의해 충돌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므로 이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하는 것도 고득점을 획득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수 있다.
이상, 상기한 경기방식은 기본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경기자간의 약속에 의해 점수산정 방식 등을 임의로 변경하여 진행하면 더욱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운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공(104)을 타격하고 난 후 흩어진 다수의 공(104)들을 1회의 퍼올림 작업으로 동시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삽(130)이 별도로 제공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삽(130)은, 다수의 공(104)들을 동시에 퍼 올릴 수 있도록 양단부가 절반 가량 막혀있는 반원통관 형상을 이루는 삽 본체(131)와, 상기 삽 본체(131)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T'자형으로 소정길이 만큼 신장된 밀대(132)와, 상기 밀대(132)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133)가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삽 본체(131)는 소정길이의 원통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단부가 막혀있는 대략 반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 경기자가 게임을 완료한 후 외부로 흩어진 공(104)들을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반원호 형상보다 다소 더 구부러진 개방형 원호를 형성토록 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삽 본체(131)의 길이는 대략 10개의 공(104)들을 일렬로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삽(130)을 사용하여 10개의 공(104)들을 상기 삽 본체(131)의 내측에 수용한 후, 상기 매트(100)의 일측에 형성된 10개의 안치홀(103)에 부으면, 수집된 상기 공(104)들을 상기 각 안치홀(103) 내에 각각 동시에 안착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골프와 게이트볼 및 당구 등의 각 종목이 갖는 운동 효과를 고루 발휘할 수 있으므로 팔, 다리, 허리 및 각부 관절 등을 움직이게 되어 전신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에 무리를 주는 과도한 동작은 피할 수 있으면서도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정한 운동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특히 어린이나 부녀자 또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의 노약자가 흥미를 갖고 지속적으로 체력을 보강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고 인원 제한이 전혀 없으므로 건전한 가족 단위의 레저로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집중력과 자제력을 배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노인의 치매 및 성인병 예방에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실·내외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간편히 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생활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경기방식이 간단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간결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고장의 염려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운동 후에는 각 부분을 분해 또는 말아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점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소정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공;
    상기 공이 구름 접촉되면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면조도를 유지하고 소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며 진행중인 상기 공이 원하는 지점에 머물 수 있도록 그 선단부측 표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목표홀이 형성된 매트; 및
    상기 매트의 시작선상에 놓인 공을 상기 목표홀쪽으로 구름 회전할 수 있도록 타격하기 위한 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은 통상의 포켓볼 공과 유사한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것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각 목표홀은 각각 상기 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련번호가 부여된 10개의 부분 구형 오목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목표홀들은 통상의 볼링핀의 배열구조와 유사한 삼각형 배열을 이루되 타격된 공의 진행방향 쪽으로 삼각형 일측 꼭지점쪽의 목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그 일측에 다수의 공을 안치하여 모아둘 수 있도록 부분 구형 오목홈을 이루는 다수의 안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통상의 게이트볼 스틱과 유사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공을 타격하기 위한 원통체형 해머형상의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T'자형으로 소정길이 만큼 신장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용의 손잡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일측에는 경기자의 점수를 기록 및 계수하여 합산할 수 있는 점수판이 별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운동기구.
KR2020020005275U 2002-02-22 2002-02-22 생활운동기구 KR200276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75U KR200276507Y1 (ko) 2002-02-22 2002-02-22 생활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75U KR200276507Y1 (ko) 2002-02-22 2002-02-22 생활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525A Division KR20030069628A (ko) 2002-02-22 2002-02-22 생활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07Y1 true KR200276507Y1 (ko) 2002-05-24

Family

ID=7311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275U KR200276507Y1 (ko) 2002-02-22 2002-02-22 생활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7348A (en) Catching post and projectile
US7367907B1 (en) Tri-surface table tennis game
US4145053A (en) Golf course
US5692980A (en) Kick bag game and apparatus kit
US3515389A (en) Game club and ball of butyl rubber
KR200276507Y1 (ko) 생활운동기구
RU2428238C1 (ru) Площадка для спортивной игры &#34;щит персея&#34;
KR20030069628A (ko) 생활운동기구
JP7020680B2 (ja) パワフルバルーン
US7104902B2 (en) Throw and catch game and method of playing same
US20180250583A1 (en) Corner Kick Game
JP3216541U (ja) ステックボーリング用具
JP4806833B2 (ja) 球技用具
JP3235263U (ja) 球技用マット
RU92802U1 (ru) Площадка для спортивной игры с мячом в радиальный баскетбол &#34;грандпитербаскет&#34;
RU2359727C2 (ru) Игра в теннис
AU2022203162A1 (en) A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172664Y (zh) 门球装置
JP3151556U (ja) 手投げボールゲーム器具
RU22257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грающих в футбол в инвалидном кресле
US5827138A (en) Ball game and bat for use therewith
JP3186565U (ja) 遊技用マット
JP2024054793A (ja) 競技用具セット及び競技方法
JP5853259B2 (ja) 転がしボール競技用得点シート
CN2691661Y (zh) 对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