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66Y1 -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66Y1
KR200276266Y1 KR2020010041085U KR20010041085U KR200276266Y1 KR 200276266 Y1 KR200276266 Y1 KR 200276266Y1 KR 2020010041085 U KR2020010041085 U KR 2020010041085U KR 20010041085 U KR20010041085 U KR 20010041085U KR 200276266 Y1 KR200276266 Y1 KR 200276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strengthening
urinary incontinence
strengthening exercise
pelvic muscle
pelv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202001004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66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넓이로 벌린 두 발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요도, 질, 항문 주위를 감싸고 있는 골반근육과 괄약근을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시켜줌으로써 요실금, 성기능 및 성감 향상에 관련된 골반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두 개의 회전판과, 상기 두 개의 회전판이 일정 폭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160도 이상 번갈아 돌리거나, 또는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뒤꿈치가 모아지도록 양 발을 반대 방향으로 90도 이상 돌리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골반저근, 질 근육, 요도 및 항문 괄약근 등과 같이 요실금이나 성기능 또는 성감을 높여줄 수 있는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of Strengthening Pelvic muscles for Curing and Protecting Urinary incontinence}
본 고안은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넓이로 벌린 두 발을 좌우방향으로 90도 내지 160도 이상 돌림으로써 허리 아래의 골반근육을 강하게 수축, 이완시켜 요실금, 성기능 및 성감향상에 관련된 근육들을 강화시켜 주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요도를 통해 나오는 증상을 말하며, 크게 긴장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긴장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이라고도 하며 가장 흔한 요실금으로 대개 출산이나 수술 폐경 등으로 인한 호르몬 작용의 차단 등으로 인하여 방광경부와 요도 주위 근육들의 해부학적 지지구조가 손상되거나 요도괄약근이 느슨하게 됨으로써 발병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크게 웃거나 기침, 재채기를 하면 복압이 증가되어 소변이 유출되게 된다.
이러한 요실금의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수술치료 및 골반근육 강화운동법이 있다. 약물치료법은 증상이 가벼울 때 시행되며 효과가 일시적이고 부작용이 생기기도 한다. 수술치료법은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 따를 위험성이 있으나 효과가 확실하다. 그리고 골반근육 강화운동법은 기존 약품치료 시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수술 및 마취 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골반기저부의 근육결손으로 오는 자궁, 방광, 직장 탈출증을 예방할 수을 뿐만 아니라 성기능 장애의 치료와 성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손쉬운 치료법이다.
이러한 골반근육 강화운동법은 요도, 질, 항문 주위를 감싸고 지탱하는 골반근육을 환자 스스로 힘껏 수축시켜 골반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무릎과 손바닥을 바닥에 대거나, 똑바로 눕거나 또는 엉덩이를 대고 다리를 벌린 채 앉아서 골반저근을 수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골반근육 강화운동법은 대부분 앉거나 누워서 하는 것이고 또 아무런 도구 없이 환자 스스로 하는 것이므로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기 쉽고 장소나 시간에 따른 제약이 많아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도에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운동할 수 있으며 운동에 대한 흥미를 지속할 수 있는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앉거나 눕지 않고 서서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저렴하면서도 골반근육의 강화효과가 큰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지지대가 설치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회전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7a 및 7b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30 : 베이스
50 : 회전판 53 : 볼록부
55 : 중심축 60 : 요홈부
63, 64 : 지압용 돌기 70 : 지지대
73 : 손잡이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양 발을 나란하게 하여 같은 방향으로 160도 이상 돌리거나, 또는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뒤꿈치가 모아지도록 양 발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회전판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운동하는 사람을 지탱해 주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허리 살을 빼거나 유연성을 기르기 위해 상체와 하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운동기구(일명 트위스터)와 달리 상체를 고정시키고 양쪽 다리를 일정 폭으로 벌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허리 아래의 골반저근, 질 근육, 요도 및 항문 괄약근 등과 같이 요실금이나 성기능 또는 성감을 높여줄 수 있는 근육을 수축 및 이완시켜 이들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판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1)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 위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회전판(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30)는 납작하고 평평하며 바닥에 놓여질 수 있는 형태이고, 상기 회전판(50)은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 양쪽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릴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하나의 회전판은 적어도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50)에는 다수의 지압용 돌기(63, 65)가 형성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50)의 중심에는 다리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발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홈부(60)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수의 돌기(63,65)를 배열하여 발이 안착될 수 있는 요홈부(60)를 형성한다. 따라서 두 개의 회전판(30)에 각각 한쪽 발을 올려놓고 상체는 전면을 향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 발을 나란하게 하여 같은 방향으로 160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반복하거나, 또는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 발을 좌우방향으로 90도 이상 돌려 양 발의 뒤꿈치가 서로 닿도록 한 다음 다시 나란하게 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게 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회전판(50)이 베이스(3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50)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회전 중심축(5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30)에는 상기 중심축(55)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판(50)의 저면에 볼록부(5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53)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상기 중심축(55)이 삽입되는 축구멍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회전판(50)의 회전을 부드럽게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50)을 금속재질로 가공할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판(5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 것이고 이러한 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게 매우 쉬운 것이므로 다양한 구조와 회전방식을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회전판의 구조 및 회전방식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구조 및 회전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에 부응할 수 있는 두 개의 회전판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 및 회전방식은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의 구조 및 회전방식은 종래의 허리운동기구 즉, 트위스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트위스터는 두 발을 동시에 하나의 회전판에 올려놓고 허리를 돌려 허리 살을 빼거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허리 아래의 골반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방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이제까지 두 개의 회전판을 나란하게 배치한 트위스터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즉, 트위스터는 허리를 좌우로 돌리기 위해 두 다리를 모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양 발을 하나의 회전판에 올려놓는데 대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허리 아래의 골반근육을 수축, 이완시키기 위해 두 다리가 어깨 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다른 방향으로 돌리거나 각각 별도로 돌림으로써 골반근육 등을 압박하거나 잡아당기는 것이므로 반드시 두 개의 회전판을 설치하여 양 발을 각각 하나의 회전판에 올려놓게 된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베이스(30)에 지지대를 설치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방법은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모으거나 160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균형을 잡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30)에 지지대(70)를 일체로 설치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70)는 허리 정도의 높이에 설치된 손잡이(73)와 상기 손잡이(73)를 베이스(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7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73)와 다리(75)는 운동에 방해되지 않는 형태로 단단히 고정시키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좋도록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 및 구조는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는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이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40)은 상부 회전판(43)과 하부 지지판(45)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회전판(43)의 저면에는 중심축(47)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43)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다수의 회전구(49)를 배열하며, 상기 하부 지지판(45)에는 상기 중심축(47)이 결합되는 축 구멍(48)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상기 회전구(49)가 구름 이동할 수 있는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46)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판(45)을 베이스에 고정시키고 다음 그 위에 상기 상부 회전판(43)을 설치하면 회전판이 완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회전판(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로서, 저면을 볼록하게 돌출시키고 그 중심에는 중심축(53)을 형성하여 베이스(30)의 오목부(33)와 축 구멍(38)에 설치하되 상기 회전판(50)과 베이스(30)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중심축(35)에 소정의 베어링(37)을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9는 중심축(53)을 가압하기 위한 브레이크 수단으로서 원하는 운동량을 얻기 위해 중심축(53)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7a 및 도7b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한 골반근육 강화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7a는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나란히 벌린 다음 같은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이고 도7b은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나란히 벌린 다음 양 발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이다.
먼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상체는 정면을 바라보며 양 팔은 자연스럽게 수평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균형 잡기 어려운 경우에는 양 손으로 지지대를 가볍게 붙잡은 상태에서 회전판에 얹혀진 두 발을 각각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각도에 따라 발의 위치와 상체의 위치가 변하게 되면서 하복부의 근육과 다리 관절 및 근육이 수축되거나 이완되게 된다. 예를 들어, 양 발이 좌측으로 90도로 돌아가면 우측 발이 좌측 발의 뒤꿈치 쪽에 위치되고 상체는 우측으로 약45도 정도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양 발을 더욱 회전시켜 160~180도로 회전시키면, 우측 발과 좌측 발은 후방 쪽을 바라보게 되는데, 이때에는 하복부 및 허리 아래쪽의 모든 근육도 같은 정도로 돌아가기 때문에 골반근육과 요도 및 항문 괄약근이 강하게 압축되거나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태를 약5-10초간 유지한 후 같은 방법으로 양 발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골반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강하게 된다.
이어 도7b를 참조하여 다른 운동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각각의 회전판에 올려놓은 두 발을 좌우측의 바깥쪽으로 돌려 뒤꿈치가 서로 닿도록 한다. 이때에는 발의 앞쪽을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회전판의 중심축 즉, 발의 중심을 중심으로 돌려야 운동효과 좋게 된다. 이와 같이 발뒤꿈치가 모아진 상태에서는 요도 및 항문 괄약근과 질 근육 등이 강하게 수축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약 5-10초간 유지한 후 다시 두 발을 나란하게 하는 운동을 반복하면 골반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운동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발뒤꿈치를 5~10cm 정도 위로 올려붙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양쪽 발을 어깨만큼 벌린 상태에서 다리와 상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하복부와 다리의 근육이 수축시키거나 이완시키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골반근육 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부피가 작고 서서 운동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은 물론 성감을 높여주거나 남성의 정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갖는 판형태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양 발을 나란하게 하여 같은 방향으로 160도 이상 돌리거나 또는 양 발의 발뒤꿈치가 모아지도록 양 발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두 개의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운동하는 사람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지탱해 주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적어도 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그 저면에 형성된 볼록부의 중심에는 중심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도록 오목부와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이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다수의 지압용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는 얹혀진 발이 좌우로 회전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가 다수의 지압용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그 저면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다수의 회전구가 배열된 상부 회전판과, 상기 상부 회전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이 결합되는 축 구멍과 상기 회전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링 형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20010041085U 2001-12-31 2001-12-31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0276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85U KR200276266Y1 (ko) 2001-12-31 2001-12-31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85U KR200276266Y1 (ko) 2001-12-31 2001-12-31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9016A Division KR100869178B1 (ko) 2001-12-31 2001-12-31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66Y1 true KR200276266Y1 (ko) 2002-05-22

Family

ID=7307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85U KR200276266Y1 (ko) 2001-12-31 2001-12-31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12A (ko) 2017-11-24 2019-06-03 우경식 요실금과 불감증이 좋아지는 글로뮈 운동기
KR20200079590A (ko) 2018-12-26 2020-07-06 임종합 하체 및 골반 균형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12A (ko) 2017-11-24 2019-06-03 우경식 요실금과 불감증이 좋아지는 글로뮈 운동기
KR20200079590A (ko) 2018-12-26 2020-07-06 임종합 하체 및 골반 균형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US5169363A (en)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6808476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10287908A1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WO2013187421A1 (ja) 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50181914A1 (en) Portable, intussusceptible exercise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kicking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KR20120044838A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276266Y1 (ko)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US4979732A (en) Exercise and rehabilitativ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ing
JP2022017841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873064B1 (ko) 하체강화 겸용 등 지압기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US5060937A (en) Exercise and rehabilitativ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ing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운동기구
JPH0975414A (ja) 足裏マッサージ兼下肢のための健康器具
KR20020025307A (ko) 전신 운동기구
JPH11319145A (ja) 脚部および腹部の美容運動具
RU22592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KR200334081Y1 (ko) 회전의자 겸용 신체단련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