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18Y1 -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18Y1
KR200276218Y1 KR2020020006050U KR20020006050U KR200276218Y1 KR 200276218 Y1 KR200276218 Y1 KR 200276218Y1 KR 2020020006050 U KR2020020006050 U KR 2020020006050U KR 20020006050 U KR20020006050 U KR 20020006050U KR 200276218 Y1 KR200276218 Y1 KR 200276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om mirror
lamp
specific par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근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알파 지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지이테크(주) filed Critical 알파 지이테크(주)
Priority to KR2020020006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18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랑의 룸미러에 있어서, 내부의 조명등이 소등인 경우에는 룸미러의 전체면이 통상의 룸미러처럼 작동하다가 내부의 조명등이 점등하면 룸미러의 특정부 내부에 설치된 장식물이 보이게 하는 장식물 겸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룸미러의 특정부위(1)를 제외한 부분(2)에는 통상의 룸미러 처럼 반사용 금속막을 두껍고 입자가 조밀하게 도포하고, 이 특정부위(1)에는 금속막을 얇고 입자가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여 룸미러용 거울 부위를 형성하고, 이 특정부위(1)의 후면에는 이 특정부위(1)를 비추도록 조명등(3)을 부착하며, 이 특정부위(1)의 조명등 후면에는 사진(4)을 부착하며, 이 룸미러의 후면에 이 조명등을 위한 밧데리(5)와 스위치(6)를 부착하며, 이러한 거울 부분(1, 2)과 사진(4)과 밧데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Room Mirror of Vehicle having Decoration}
본 고안은 차랑의 룸미러에 있어서, 내부의 조명등이 소등인 경우에는 룸미러의 전체면이 통상의 룸미러처럼 작동하다가 내부의 조명등이 점등하면 룸미러의 특정부 내부에 설치된 장식물이 보이게 하는 장식물 겸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미러(거울)는 투명유리의 후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을 도포하여 빛을 반사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통상의 미러는 빛을 전반사하기 때문에, 오직 미러로의 역할만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진 또는 광고물 등의 장식물을 차량의 운전석 앞에 붙이기 위해서는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거나, 소형 액자에 이러한 사진 또는 광고물을 넣고 이 액자를 적절한 장소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스티커 부착물이나 액자 등은 전면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거한 후 부착부위가 지저분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통 때에는 통상의 룸미러처럼 작동하다가 내부의 조명등이 점등시에는 일부분이 액자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특정부위 2 : 거울부위
3 : 조명등 4 : 사진
5 : 밧데리 6 : 스위치
통상의 룸미러(미러)의 경우에는 배면에 빛의 전반사를 위한 금속막이 두껍게 그리고 금속입자가 조밀하게 입혀져 있어 빛이 완전반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 금속막을 얇게 그리고 금속입자가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면, 앞에서 입사하는 빛의, 예를 들면 70%는 반사하고 30%는 투과하게 된다. 이 경우라도 70%의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전면에서 조사되는 자연광에 대해서는 70%가 반사가 되므로 통상의 미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 밀러의 후면에서 조명등에 의해 빛을 조사하면 조명등에 의한 내부의 빛이 전면으로부터의 자연광에 비하여 강하기 때문에, 이 금속막을 투과하는 빛의 대부분은 조명등에서 나온 것이고 이에 따라 만일 이러한 금속막 후면에 그림 등을 부착한다면 조명등을 점등할 때마다 이 그림이 보이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용 룸미러의 특정부위(1)를 제외한 부분(2)에는 통상의 룸미러 처럼 반사용 금속막을 두껍고 입자가조밀하게 도포하고, 이 특정부위(1)에는 금속막을 얇고 입자가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여 룸미러용 거울을 형성하고, 이 특정부위(1)의 후면에는 이 특정부위(1)를 비추도록 조명등(3)을 부착하며, 이 특정부위(1)의 조명등(3) 후면에는 사진(4)을 부착하며, 이 룸미러의 후면에 이 조명등(3)을 위한 밧데리(5)와 스위치(6)를 부착하며, 이러한 거울 부분(1, 2)과 사진(4)과 밧데리(5)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부착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평상시에는 이 스위치(6)를 오프하여 조명등(3)이 소등됨에 따라 룸미러의 후면에서 조사되는 빛이 없어 이 특정부위(1)와 이외의 부분(2)이 모두 거울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그림을 보기 위해 스위치(6)를 온하면 조명등(3)이 비추게 되므로 금속막이 얇고 입자가 조밀하지 않은 특정부위(1)를 통해 조명등(3)이 나오기 때문에, 이 특정부위(1) 후면에 있는 사진(4)이 운전자에게 보이게 된다.
또한, 부분(2)에는 금속막이 두껍고 조밀하게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등(3)의 빛이 금속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거울의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밧데리 대신에 차량의 담배 라이터 단자의 전원을 사용해도 되고, 사진 대신에 광고물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진 등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장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OHP 용지와 같은 투과성 필름에 투과성 용액으로 그려진 그림의 경우에는 조명들 전면에 설치할 수 있고, 투과성 용액으로 거울 후면에 바로 그림을 그려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부위(1)의 테두리에 조명등(3)의 빛이 반사되는 반사차단막을 둔다면 조명등(3)의 빛이 전방으로 집중될 수 있어 보다 선명한 그림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을 하면, 평상시에는 룸미러 전체가 거울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조명등이 점등시에는 특정부위에서는 내부의 그림이 보이고, 이외의 부분에서는 여전히 거울 역할을 하므로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가 된다.

Claims (3)

  1. 룸미러에 있어서,
    룸미러의 전면 유리의 배면에, 특정부위는 금속막이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고 이외의 부분에는 금속막이 조밀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형성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의 후면에 상기 특정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조명등이 점등시 내부의 그림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경용 차량용 룸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룸미러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이 밧데리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경용 차량용 룸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룸미러에 있어서,
    상기 그림이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하는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경용 차량용 룸미러.
KR2020020006050U 2002-02-28 2002-02-28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KR200276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50U KR200276218Y1 (ko) 2002-02-28 2002-02-28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50U KR200276218Y1 (ko) 2002-02-28 2002-02-28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18Y1 true KR200276218Y1 (ko) 2002-05-18

Family

ID=7308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50U KR200276218Y1 (ko) 2002-02-28 2002-02-28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6430A (en) Back up rear view mirror light
US5546687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lluminated image including light intensifier and method therefor
US20060186314A1 (en) Partially transparent mirror having selectively activated light portion
NO980992L (no) Belyst skilt tilh÷rende skiltplate
SE9002133D0 (sv) Spegel- och belysningsenhet foer motorfordon
ATE316018T1 (de) Aussenspiegel
JP2003051206A (ja) 自動車用の照明及び表示装置
EP0936107B2 (fr) Dispositif de rayonnement pour un système d'aide à la vision nocturne pour véhicule
JP2002133920A (ja) 自動車用の照明または表示装置
KR200276218Y1 (ko)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KR200356463Y1 (ko) 장식물 겸용 차량용 룸미러
EP0931697A3 (en) Lighting fixture equipped with reflex reflector, for vehicles
WO2004081648A3 (en) Lighting device mountable ona camera with flashl ight, and method therefor
JP2764548B2 (ja) 内部照明式案内標識
FR3057336A1 (fr) Module d'emission lumineuse a modules a miroirs
KR200208899Y1 (ko) 반사겸용 장식체
NO994979L (no) Avskjermingsanordning for et kjöretöys bakspeil
KR100700895B1 (ko) 자동차용 테일램프 커버
EP0930457A3 (en) Polarized headlamps and rear view mirrors
IT1320470B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utilizzabile particolarmente perl'illuminazione di un pannello o simile, oppure come fanale di
JPH05262136A (ja) ミラー付サンバイザ
KR200222904Y1 (ko) 입체조명액자
KR920008024Y1 (ko) 자동차용 리어 어플리케의 발광장치
KR200328479Y1 (ko) 승용차의 새로운 실내 조명장치
JPS6343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