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95Y1 -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 Google Patents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95Y1
KR200275995Y1 KR2020020004221U KR20020004221U KR200275995Y1 KR 200275995 Y1 KR200275995 Y1 KR 200275995Y1 KR 2020020004221 U KR2020020004221 U KR 2020020004221U KR 20020004221 U KR20020004221 U KR 20020004221U KR 200275995 Y1 KR200275995 Y1 KR 200275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wire mesh
support posts
mixture
transver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만
Original Assignee
윤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만 filed Critical 윤창만
Priority to KR2020020004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9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주행에 따른 소음이나 공장등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에 있어 방음벽의 표면에 채색이나 특정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 포스트를 다수 설치하고, 지지 포스트사이에 발포재(11) 예를 들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치로폼 등을 삽입하고, 스치로폼의 전후면에 그물형 철망(12)이 위치되도록 지지 포스트에 고정시킨 뒤 앞·뒤면의 철망(12)을 상기 발포재(11)를 관통하여 각각의 철망(12)을 밴딩하고, 철망(12)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포스트에 횡방향 프레임(13) 예를 들면 철근 혹은 철봉등과 같은 횡방향 프레임의 양단을 조립 고정시킨 뒤 그 표면에 방수 및 흡음재를 접착재와 혼합한 혼합물(soil mortar)를 분사하여 응고 및 건조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SOUND PROOF WALL}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주행에 따른 소음이나 공장등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에 있어 방음효과가 우수하고 시공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표면에 채색이나 그림등을 그려넣거나 자연석 혹은 모자이크 타일의 부착 등 보다 다양하게 주변 경관과 조화롭게 환경 친화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주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인근 주거지역의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해주고 혹은 절단된 산이나 언덕등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존의 방음벽은 소음 흡수형 방음벽, 반사형 방음벽, 투시형 방음벽 등이 있다. 특히 소음 흡수형 방음벽은 유리섬유(PVE 필름)를 흡음제가 내장되고 표면에 흡음공이 수 없이 뚫린 알루미늄판을 도로변에 연속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알루미늄의 사용으로 제작단가가 높고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는 한편 알루미늄 방음벽에 수많은 흡음공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재질이 금속인 관계로 흡음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소음이 많아 방음효과가 낮은 것이 단점이다. 상기한 종래의 방음벽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2348호에 상세히 예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양 기둥사이에서 블럭형 판넬을 적층형으로 삽입한 방음벽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방음벽은 국내 공개특허 제2001-28675호 "방음벽 시공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방음벽 설치비용을 저렴하지만, 첫째 시공기간이 매우 길고 둘째, 시공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셋째, 방음벽의 표면 형태를 다양화하기가 어렵워 환경친화적 혹은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구성할 수 없는 일률적인 형태로 시공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서, 도시미관이나 자연미관에 따라 그 패턴이나 모양을 다양화할 수 없어 일률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어 자연미가 떨어지고 주변환경과 조화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음벽의 설치환경에 맞게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또한 방음벽의 표면에 채색이나 그림등을 그려넣거나 자연석 혹은 모자이크 타일의 부착 등 주변 경관과 조화롭게 환경 친화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철재 지지 포스트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지지 포스트사이에 발포재 예를 들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치로폼등을 삽입하고, 스치로폼의 전후면에 그물형 철망을 고정시킨 뒤 압뒤면의 철망을 상기 발포재를 관통하여 각각의 철망을 밴딩하고, 철망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포스트에 횡방향 프레임의 양단을 고정시키뒤 그 표면에 방수 및 흡음재를 접착재와혼합한 혼합물를 분사하여 응고 및 건조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참고로, 방음벽 시공방법으로는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뒤 철근과 체결용 볼트를 구축하여 기단부를 구성한 뒤 그 위에 콘크리트반죽을 채워넣어 응고시키는 제1단계와;
응고된 기단부위로 돌출된 볼트에 지지 포스트를 일정간격으로 세워 고정시키는 제2단계;
상기 지지 포스트들 사이에 발포재 개입시키고 발포재의 앞뒤면에 철망을 위치시킨 뒤 철망을 상기 지지 포스트상에 고정시키고 발포재를 관통하는 밴딩을 통해 양 철망을 밴딩시켜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철망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 포스트들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프레임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제4단계;
상기 스치로폼, 철망, 횡방향 프레임의 표면위로 방수 및 흡음재를 접착재와 혼합한 혼합물를 분사하여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발포재에 의해 일차적으로 방음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이를 철망이나 횡방향 프레임를으로 고정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 및 흡음재를 접착재와 혼합한 혼합물을 분사함으로서 방음벽의 볼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모자이크 타일, 자연석, 도자기, 혹은 소망하는 그림이나 색상을 도색하여 시각적 효과를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의 시공에 따라 시공된 방음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부분 절단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시공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 포스트
11:발포재
12:철망
13:횡방향 프레임
14:혼합물
100∼500:제1내지 제5단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적 방음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환경 친화적 방음벽의 시공에 따라 시공된 방음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부분 절단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뒤 철근과 체결용 볼트를 구축하여 기단부를 구성한 뒤 그 위에 콘크리트반죽을 채워넣어 응고시킨다. 응고된 기단부 위로 돌출된 볼트에 단면이 H형상의 철재 지지 포스트(10)를 세워 지지 포스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 포스트(10)는 일정간격으로 소정의 길이로 설치된다.
그리고, 위 지지 포스트(10)에는 지지 포스트들 사이에 발포재(11)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치로폼이 개입되어 있다.
상기 스치로폼의 앞·뒤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물형태로 짜여진 철망(12)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철망(12)은 지지 포스트(10)상에 고정시키고 양측면의 각 철망을 횡방향 프레임나 철선등으로 발포재(11, 스치로폼)을 관통시켜 여러군데를 밴딩한다. 이와 같이 밴딩작업은 철망(12)과 스치로폼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이후의 방수 및 흡음재를 접착재와 혼합한 혼합물을 분사하였을 때 그 혼합물이 들뜨지 않도록 하고 그 혼합물가 발포재(11)나 철망(1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한 철망(12)위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한 지지 포스트(10)사이에 횡방향으로 횡방향 프레임(13)를 연결한다. 횡방향 프레임(13)는 지지 포스트와 지지 포스트간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여 철망(12)과 발포재(10)를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이후 횡방향 프레임(10), 발포재(11), 철망(12), 횡방향 프레임(13)의 표면위로 방수 및 흡음재를 점결재와 혼합한 혼합물 혹은 불연소재인 유리섬유와 콜타르 및 규사등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제조된 방음 및 방수용 혼합물을 분사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시킨다.
이때 도포되어지는 방수 및 흡음재를 점결재와 혼합한 혼합물의 두께는 소망하는 두께로 할 수 있으며, 그 두께에 따라 벽체를 돌출되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어 부조물 양각화가 용이하고, 투시형 창호설치를 설치함으로서 투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 방음벽의 상하단의 곡면처리를 자유롭게 예를 들면 전통가옥의 담장과 같은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음벽 전체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는데 거의 모든표현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한 혼합물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되어진다. 물론 건조된 표면에는 그림이나 다양한 색을 채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음벽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공정도로서, 방음벽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단계(a)로서,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뒤 철근(1)과 체결용 볼트(2)를 구성하고 그 위에 그 위에 콘크리트반죽을 채워넣어 기단부를 성형한다.
제2단계(b)로서, 응고된 기단부위로 돌출된 볼트(2)에 지지 포스트(10)를 일정간격으로 세워 고정시킨다.
제3단계(c)로서, 상기 지지 포스트(10)들 사이에 발포재(11)를 개입시키고 발포재(11)의 앞·뒤면에 철망(12)을 위치시킨 뒤 철망(12)을 지지 포스트(10)상에 고정시키고 발포재(11)를 관통하는 밴드(12a)로 양 철망(12)을 밴딩 고정시킨다.
제4단계(d)로서, 상기 철망(12)위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포스트(10)간에 횡방향 프레임(13)를 연결한다.
제5단계(e)로서, 상기 발포재(11), 철망(12), 횡방향 프레임(13)의 표면위로 방수 및 흡음재를 점결재와 혼합한 혼합물을 분사하여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이때 자연석 혹은 대리석, 모자이크 타일등을 적재적소에 부착시킨 상태로 혼합물을 도포할 수 있다. 참조번호 14는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된 혼합물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으며 필요시 방음벽의 혼합물내에 특정색상을 갖는 염료를 혼합하여 건조후 소망하는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음벽 표면에 혼합물을 분사할 때 그 두께를 달리함으로서 입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모자이크 타일, 자연석, 도자기, 창호 혹은 소망하는 그림이나 색상을 도색하여 시각적으로 조형물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방음벽의 상단에는 필요시 기와지붕과 같은 형태의 조형물을 설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방음벽을 조형물과 같이 설치함으로서 보다 더 주변의 풍경과 경관에 조화롭게 설치할 수 있어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음벽의 표면이 올록볼록하여 소음의 난반사작용으로 방음효과가 더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변의 풍경과 자연미를 다양하게 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어 조형물을 설치한 것과 같이 도시미관을 장식할 수 있으며, 시공이 빠르고 방음효과가 우수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 포스트(1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 포스트(10)사이에 발포재(11)를 삽입하고, 상기 발포재(11)의 전·후면에 철망을 위치시킨 뒤 앞·뒤면의 철망(12)은 상기 발포재(11)를 관통하여 서로 밴딩 고정되어지고, 상기 철망(12)위를 가압하도록 횡방향 프레임의 양단을 상기 지지 포스트(10)에 고정되어지며, 그 표면에 방음용 혼합물을 소정 두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12)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철망위로 상기 지지대(10)상에 철근, 철봉, 와이어등과 같은 횡방향프레임(13)을 더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상기 철망(12)위로 도포할 때 자연석이나 타일, 그림, 창호 등과 같은 입체물을 함께 부착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입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KR2020020004221U 2002-02-08 2002-02-08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KR200275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1U KR200275995Y1 (ko) 2002-02-08 2002-02-08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1U KR200275995Y1 (ko) 2002-02-08 2002-02-08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537A Division KR100441031B1 (ko) 2002-02-08 2002-02-08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995Y1 true KR200275995Y1 (ko) 2002-05-18

Family

ID=7311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21U KR200275995Y1 (ko) 2002-02-08 2002-02-08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069A (en) Prefabricated wall facing panels
US6237294B1 (en)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062772A (en) Plastic block retaining wall with attached keylock facing panels
US6460302B1 (en) Framework-free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2003504541A (ja) 建築パネル及びその製造設備
US7976938B2 (en) Lightweight decorative cementitious composite panel
KR100441031B1 (ko)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87818B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200275995Y1 (ko)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
CA2433505A1 (en) Rock facade pan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rock facade panel
US20020056835A1 (en) Solid-appearing fence system
CN203795463U (zh) 一种适用于泡沫混凝土路堤直立式浇筑的组合面板构件
KR101038148B1 (ko)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JP5686756B2 (ja) パネル塀
KR100772028B1 (ko) 입체 형상을 갖는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0916352B1 (ko) 발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방음벽
KR200389897Y1 (ko) 입체 형상을 갖는 방음벽
KR100934415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200313284Y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JPH0342109Y2 (ko)
KR20110072141A (ko) 방음벽 사이에 형성되는 석벽구조
KR100934412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JP3053768B2 (ja) 塀の施工法
KR200420187Y1 (ko) 투명방음판
JP2001097785A (ja) 擬態造形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