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805Y1 - 펜던트형 목걸이 - Google Patents

펜던트형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805Y1
KR200275805Y1 KR2020020003699U KR20020003699U KR200275805Y1 KR 200275805 Y1 KR200275805 Y1 KR 200275805Y1 KR 2020020003699 U KR2020020003699 U KR 2020020003699U KR 20020003699 U KR20020003699 U KR 20020003699U KR 200275805 Y1 KR200275805 Y1 KR 200275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rnament
necklace
ring
pe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박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운 filed Critical 박상운
Priority to KR202002000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805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펜던트형 장식구를 갖는 목걸이에 있어서, 장식구와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목걸이를 착용한 후, 여기에 미치는 부하에 따라 장식구의 고리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적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펜던트형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장식구의 상부에 용접되는 엔드리스 링형 고리;
하부가 개구된 판형으로써 개구된 내측면 대응위치에 각각 핀홀과 핀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을 이루는 편형의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끼워서 목걸이를 형성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구의 개구 하부 일측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되기도 한다.

Description

펜던트형 목걸이{PENDANT TYPE NECKWEAR}
본 고안은 펜던트형 장식구를 갖는 목걸이에 있어서, 장식구와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목걸이를 착용한 후, 여기에 미치는 부하에 따라 장식구의 고리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적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펜던트형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는 단순히 체인으로만 된 체인형 목걸이와 펜던트를 장식으로 매다는 팬던트형 목걸이로 크게 대별된다.
이러한 팬던트형 목걸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장식구(100)의 상부에 용접설치하되 절단부(111)를 갖는 고리(110);
상기 고리(110)의 절단부 (111)를 통하여 결합되는 엔드리스 편형의 연결구(200); 및
상기 연결구(200)에 끼워서 목걸이를 형성하는 체인(300)으로 완성된다.
물론 상기 장식구(100)나 체인(300)은 꼭 도면에 도시한 것에 국한되어 한정되는 것만은 아닐 것으로 주지의 어떤 형태라도 미적인 것과,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된 것이라면 다 포함된다 할 것이다.
즉 이러한 목걸이에 있어서, 연결구(200)는 장식구(100)와 체인(300)의 연결을 위한 기능으로 작용된다. 예컨대 장식구(100)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110)가 크다면 장식구(100)의 미적인 면이 해를 입게되어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구(200)는 작을 수도 있으나 체인의 크기 등을 다양하게 수용하기에 적당하도록 고리보다는 비교적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장식구의 고리(110)와 연결구(200)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고리의 절단부(111)를 벌려서 끼워 넣고 복귀시켜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은 장식구(100)가 바른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체인(300)에 의해 힘을 받거나 또는 연결구(200)로부터 직접 받거나 비틀림 힘이 작용될 때 비교적 얇은 고리(110)가 뒤틀리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절단부(111)가 벌어져서 장식구(100)를 포함한 고리(110)가 체인(300)으로부터 이탈 탈락될 수가 있는 것이다.
설령 이탈되지 않는다손 치더라도 잦은 벌어짐과 원위치를 위한 반복 휨 작용으로 고리(111)가 망실되어 결국 장식구(100)를 수리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팬던트 장식구(200)가 크면 클수록 그 비틀림 모멘트가 크게작용되어 더 할 것이다. 또한 연결구(200)는 단순히 연결구로 만의 기능을 가질 뿐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가 개구된 판형 연결구의 개구 대응위치에 암수 핀 결합에 의한 연결 고정으로 장식구의 고리에 연결되게 하여 비교적 내구성이 약한 고리의 절단부 설계를 피함과 동시에 일측 개구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내구성이 강한 펜던트형 목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장식구의 상부에 용접되는 엔드리스 링형 고리;
하부가 개구된 판형으로써 개구된 내측면 대응위치에 각각 핀홀과 핀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을 이루는 편형의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끼워서 목걸이를 형성하는 체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연결구의 개구 하부 일측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뒤틀림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은 장식구(10)의 상부에 용접되는 엔드리스 링형 고리(11);
하부가 개구된 판형으로써 개구된 내측면 대응위치에 각각 핀홀(21)과 핀(22)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을 이루는 편형의 연결구(20); 및
상기 연결구(20)에 끼워서 목걸이를 형성하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연결구(20)의 개구 하부 일측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23)를 구비해서 본 고안의 기능적 면에 부가하여 미적인 면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핀(22)은 핀홀(21)에 강제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들이 원치않은 가운데 해제되는 문제를 일소하며, 이러한 본 고안은 비교적 얇은 링구조의 고리(11)에 절단부가 없는 엔드리스 구조로 구현 가능함으로써 장식구(10)와 체인 또는 연결구(20)간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연결부착을 구현하는 효과를 달성하면서 보석 세팅부(23)를 구현하는 효과로써 보다 미적인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하부가 개구된 판형 연결구의 개구 대응위치에 암수 핀 결합에 의한 연결 고정으로 장식구의 고리에 연결되게 하여 비교적 내구성이 약한 고리의 절단부 설계를 피함과 동시에 일측 개구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내구성이 강한 펜던트형 목걸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식구(10)의 상부에 용접되는 엔드리스 링형 고리(11);
    하부가 개구된 판형으로써 개구된 내측면 대응위치에 각각 핀홀(21)과 핀(22)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을 이루는 편형의 연결구(20); 및
    상기 연결구(20)에 끼워서 목걸이를 형성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팬던트형 목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20)의 개구 하부 일측 전면을 활용하여 보석 세팅부(23)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펜던트형 목걸이.
KR2020020003699U 2002-02-05 2002-02-05 펜던트형 목걸이 KR200275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99U KR200275805Y1 (ko) 2002-02-05 2002-02-05 펜던트형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99U KR200275805Y1 (ko) 2002-02-05 2002-02-05 펜던트형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805Y1 true KR200275805Y1 (ko) 2002-05-17

Family

ID=7311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99U KR200275805Y1 (ko) 2002-02-05 2002-02-05 펜던트형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8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D531078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 pin
US5161234A (en) Hanging ornaments for eyeglasses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0431088Y1 (ko) 귀걸이
USD522906S1 (en) Jewelry clasp
KR200275805Y1 (ko) 펜던트형 목걸이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CN208160224U (zh) 一种新型首饰卡扣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400292Y1 (ko) 악세사리용 체결구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JP2003102524A (ja) ネックレスの如き身飾品の止め具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USD506156S1 (en) Jewelry link for bracelet or necklace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US11284683B2 (en) Decorative connector for jewelry
CN212814819U (zh) 一种首饰隐藏卡扣结构及首饰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62214Y1 (ko) 팔찌
CN219229208U (zh) 一种带嵌套锁扣的扁平型手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