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03Y1 -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203Y1
KR200275203Y1 KR2020020000821U KR20020000821U KR200275203Y1 KR 200275203 Y1 KR200275203 Y1 KR 200275203Y1 KR 2020020000821 U KR2020020000821 U KR 2020020000821U KR 20020000821 U KR20020000821 U KR 20020000821U KR 200275203 Y1 KR200275203 Y1 KR 200275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fixed
connector
device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혁
오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
Priority to KR2020020000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FA설비, 서버와 벤더, PLC, PC(PC), 센서, 액츄에이터 등의 제어 기기간의 상호 복잡한 I/O단자의 접속을 푸쉬버튼에 의한 원터치방식으로 접속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제어기기 상호간의 네트워킹 연결작업과 네트워크의 레이아웃 설정이나 변경을 공구등을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I/O단자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방상하에 I/O단자 삽입구를 형성하고 좌우측판 양측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대치시켜 형성한 합성수지제본체와, 본체 전후방에 삽치핀을 형성한 고정단자와 고정단자 전방하부에 스프링으로 탄설된 가동단자와 가동단자를 압압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좌우 연속하여 가감하면서 배치함과 동시에 원터치방식으로 I/O단자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A I/O terminal connector for field bus of device network}
본 고안은 FA설비, 서버와 벤더, PLC, PC(PC), 센서, 액츄에이터 등의 제어 기기간의 상호 복잡한 I/O단자의 접속을 푸쉬버튼에 의한 원터치방식으로 접속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제어기기 상호간의 네트워킹 연결작업과 네트워크의 레이아웃 설정이나 변경을 공구등을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I/O단자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A설비의 현대화와 컴퓨터제어방식에 의한 자동화등으로 인하여 서버와 벤더, PLC, PC(PC), 센서, 액츄에이터 등의 제어 기기간에 상호 데이타 등을 주고 받기 위한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를 사용하고 있음은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필드버스, 즉 디바이스넷(Device net)에 사용되는 I/O단자 컨넥터는 상호 네트워크상으로 접속되는 각종 제어기기 배선의 간편성과 배선의 오류방지 및 보수의 용이성 등의 신뢰성과 특성으로 인하여 개방된 네트워크구성에 널리 적용되고 있음도 물론이다.
그러나 각종 제어기기로 부터 인출되는 각각의 I/O단자는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배선상태가 복잡하게 되고, 작업시 이를 일일이 컨넥터에 접속시켜 구성하게 되는데, 종래의 필드버스용 입출력단자(I/O단자) 콘넥터에 있어서는 각각의 I/O단자를 상하 1쌍으로 배치된 터미널단자에 나사결합상태로 결속하여 연결하므로서 배선작업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필요이상으로 요하게 되어 작업이 더디고 비능률적인 단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미숙이나 불안정한 작업시 접속상태가 불량하여져 오류를 발생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결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I/O단자가 접속되는 나사접속식 터미널이 고정상태로 구성되게 되므로서 접속되는 배선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나사접속식 터미널을 준비하여야 하는 제작상의 불편과 I/O단자의 확장에도 제한을 받게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방식으로 푸쉬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삽입구측으로 I/O단자를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I/O단자를 간편하고 정위치에 확실하게 접속시켜 배선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서 디비이스넷, 즉 필드버스의 배선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네트워킹 구성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하에 I/O단자 접속터미널을 각각 형성한 본체를 좌우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시켜 배치하게 하여 I/O단자의 설치수에 따라 I/O단자 접속터미널의 개수를 임의로 간편하게 가감하여 네트워크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I/O단자의 수에 따라 결합된 I/O단자 접속터미널의 고정단자의 삽치편으로 PCB자체에 천공된 핀홀 또는 PCB에 배치된 소켓에 삽치하는 작업만으로 I/O단자 접속터미널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서 제작공정이 대폭 생략되고 이에 따라 제작비를 크게 절감시켜 출 수 있는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I/O단자 접속 연결시 I/O단자의 선단부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단자와 가동단자 사이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접속불량이나 접속 불안정으로 인한 데이터의 오류를 완벽하게 방지하고, 수시 점검과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상하에 I/O단자 삽입구를 형성하고 좌우측판 양측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대치시켜 형성한 합성수지제본체와, 본체 전후방에 삽치핀을 형성한 고정단자와 고정단자 전방하부에 스프링으로 탄설된 가동단자와 가동단자를 압압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좌우 연속하여 가감하면서 배치함과 동시에 원터치방식으로 I/O단자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가)도는 I/O단자 결합전 상태도
(나)도는 동 결합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삽입구 3,4:단자삽치홈 5:결합돌기 6:결합홈 7:합성수지제본체
8,9:고정단자 10,11:삽치홈 12,13:스프링 14,15:가동단자
16,17:축돌조 18,19:푸쉬버튼 20:복개편 21,22:I/O단자
8a,9a:삽치핀단자 8b,9b:접속편 20a:삽치공
A:슬레이브장치 B:디바이스넷포트컨넥티 C:확장용콘넥터 D:개폐판
T:I/O단자터미널 P:커버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필드버스용 I/O단자 컨넥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가)도는 I/O단자 결합전 상태도이고, (나)도는 동 결합 후 상태도이다.
도 1내지 도 3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 장치를 네트워킹하여 제어하는 디바이스넷의 슬레이브장치(A)는 대체로 본체 내부에 모듈(PCB)과, 디바이스넷포트 컨넥터 (B)와, 다른 슬레이브장치(A)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확장용콘넥터(C)와, I/O단자를 접속연결하는 I/O단자 터미널(T)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는 힌지결합되어 I/O단자 터미널(T)을 복개하는 여닫이식 개폐판(D)과 모듈작동상태 표시램프(LED1)와 네트워크동작상태 표시램프(LED2)를 구비한 커버(P)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디바이스넷의 슬레이브장치(A)중 I/O단자 터미널(T)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4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넷의 슬레이브장치(A)의 I/O단자 터미널(T)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에 상하 2단으로 I/O단자 삽입구(1),(2)를 천설한 단자삽치홈(3)(4)을 일측벽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고 좌우측벽 양측에 각각 서로 일치하는 결합돌기(5)와 결합홈(6)을 대치시켜 형성한 합성수지제본체(7)를 구비하고, 합성수지제본체(7) 전후 단자삽치홈(3)(4)에 삽치핀단자 (8a)(9a)를 외부로 하향돌설하고 상부에 접속편(8b)(9b)을 형성한 고정단자(8)(9)를 삽치홈(10)(11)에 끼워 고정한 다음, 고정단자(8)(9)의 상부 접속편(8b)(9b) 하부에 스프링(12)(13)으로 탄설된 가동단자(14)(15)를 축돌조(16)(17)에 회동가능하게 형성하고, 가동단자(14)(15)상부에 이를 압압하는 푸쉬버튼(18)(19)을 구비함과 동시에 최외곽 개방부를 복개하기 위한 삽치공(20a)을 천공한 복개편(20)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1,22는 I/O단자이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의 매 I/O단자 터미널(T)은 도 3 및 도 4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본체(7)에 상하 2단으로 I/O단자 삽입구(1),(2)를 천설한 단자삽치홈(3)(4)을 구성하되 일측벽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폐쇄된 상태로 구성하고 있어 단자삽치홈(3)(4)의 일측이 전면 개방되어 있으므로서 단자삽치홈(3)(4)내에 고정단자(8)(9)와 스프링(12)(13)및 가동단자 (14)(15)의 부품설치를 개방된 공간내에서 이루어 지게 되어 이의 조립제작을 극히 간편하게 수행하게 되고, 이와 같이 조립된 각각의 I/O단자 터미널(T)은 좌우 양측에 서로 일치하게 대치되어 형성된 결합돌기(5)와 결합홈(6)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요구되는 수만큼 결합하고 최외단에 위치하는 I/O단자 터미널(T)의 개방측은 삽치공(20a)을 천공한 복개편(20)으로 복개하여 밀폐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제 본체(1)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개방측은 결합되는 다른 합성수지제 본체(1)의 폐쇄측면과 연접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개방된 단자삽치홈(3)(4)이 외부와 차폐되어 이에 장설된 고정단자(8)(9)와 스프링(12)(13)및 가동단자 (14)(15)의 부품이 흐트러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없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셋트화돤 I/O단자 터미널(T)을 견고하게 조립하게 되며, 이와 같이 조립완성한 후 I/O단자 터미널(T)의 하부로 돌출된 고정단자(8)(9)의 삽치핀단자(8a)(9a)을 슬레이브장치(A)의 모듈(PCB)의 핀홀이나 모듈(PCB)에 설치된 소켓(도시없음)에 프러그 인(PLUG-IN)타입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한 후 매 I/O단자 터미널(T)에 I/O단자(21)(22)를 접속하고져 할 때에는 도 4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단자삽치홈(3)(4)상부에 돌출된 푸쉬버튼(18)(19)를 누르면 스프링 (12)(13)에 의하여 상향 탄설되어 서로 접촉하고 있던 고정단자(8)(9)의 접속편 (8b)(9b)과 가동단자(14)(15)이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이 사이에 I/O단자(21)(22)를 삽입한 후 푸쉬버튼(18)(19)의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가동단자(14)(15)가 스프링(12)(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I/O단자(21)(22)를 고정단자(8)(9)의 접속편 (8b)(9b)과 가동단자(14)(15)사이에 견고하게 접속,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 후 I/O단자 터미널(T)중 일부가 불량이 난 경우 등과 같이 이를 교체하거나 I/O단자(21)(22)의 변경 또는 교체시에는 결합돌기(5)와 결합홈 (6)에 의하여 결합된 I/O단자 터미널(T)를 해체한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푸쉬버튼(18)(19)를 눌러 주는 작업만으로 I/O단자(21)(22)의 변경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방식으로 푸쉬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삽입구측으로 I/O단자를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I/O단자를 간편하고 정위치에 확실하게 접속시켜 배선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서 디비이스넷의 필드버스의 배선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네트워킹 구성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하에 I/O단자 터미널을 각각 형성한 본체를 좌우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시켜 배치하게 하여 I/O단자의 설치수에 따라 I/O단자 터미널의 개수를 임의로 간편하게 가감하여 네트워크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I/O단자의 수에 따라 결합된 I/O단자 터미널의 고정단자의 삽치편으로 PCB자체에 천공된 핀홀 또는 PCB에 배치된 소켓에 삽치하는 작업만으로 I/O단자 터미널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서 제작공정이 대폭 생략되고 이에 따라 제작비를 크게 절감시고, I/O단자 접속 연결시 I/O단자의 선단부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단자와 가동단자 사이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접속불량이나 접속 불안정으로 인한 데이터의 오류를 완벽하게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복잡한 네트워킹 설비에도 간편하게 적용하여 경제적으로 각종 설비 네트워크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디바이스넷의 슬레이브장치(A)의 I/O단자 터미널(T)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에 상하 2단으로 I/O단자 삽입구(1),(2)를 천설한 단자삽치홈(3)(4)을 일측벽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고 좌우측벽 양측에 각각 서로 일치하는 결합돌기(5)와 결합홈(6)을 대치시켜 형성한 합성수지제본체(7)를 구비하고, 합성수지제본체(7) 전후 단자삽치홈(3)(4)에 삽치핀단자 (8a)(9a)를 외부로 하향돌설하고 상부에 접속편(8b)(9b)을 형성한 고정단자(8)(9)를 삽치홈(10)(11)에 끼워 고정한 다음, 고정단자(8)(9)의 상부 접속편(8b)(9b) 하부에 스프링(12)(13)으로 탄설된 가동단자(14)(15)를 축돌조(16)(17)에 회동가능하게 형성하고, 가동단자(14) (15)상부에 이를 압압하는 푸쉬버튼(18)(19)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I/O단자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I/O단자 터미널(T)연속 결합시 최외곽 개방부를 복개하기 위한 삽치공(20a)을 천공한 복개편(20)을 더 구비하여서 되는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I/O단자 콘넥터.
KR2020020000821U 2002-01-10 2002-01-10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KR200275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821U KR200275203Y1 (ko) 2002-01-10 2002-01-10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821U KR200275203Y1 (ko) 2002-01-10 2002-01-10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203Y1 true KR200275203Y1 (ko) 2002-05-17

Family

ID=7307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821U KR200275203Y1 (ko) 2002-01-10 2002-01-10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2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08Y1 (ko) 2008-12-30 2010-11-02 주식회사 크래비스 필드버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08Y1 (ko) 2008-12-30 2010-11-02 주식회사 크래비스 필드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6497B2 (en) Electronics housing
US9104383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component with assembly alignment features
US10368458B2 (en) Rail-mounted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mounting
US5235494A (en) Electrical controller having pivotally mounted circuit board support
US11953869B2 (en) Modular load control
US10446337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0275203Y1 (ko) 디바이스넷의 필드버스용 입출력 콘넥터
US11304283B2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312687B1 (en) On machine input/output (i/o) system with modular connections
JP2002231385A (ja) ユニットの連結構造
CN101017937A (zh) 将电线连接到电子板的电连接器
JP2003229219A (ja) 基板用コネクタ
JP4534161B2 (ja) 制御装置
US11088474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CN220139924U (zh) 一种刀片式可编程控制器
WO2020056499A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20139921U (zh) 一种刀片式可编程控制器模块
CN218244054U (zh) 一种便于维护的温控仪结构
CN219872181U (zh) 一种时序控制继电器
US667971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ching mechanism
JP4293479B2 (ja) 配線器具
CN116648015A (zh) 一种刀片式可编程控制器
KR200419472Y1 (ko) 커넥터의 방수처리구조
JP3664293B2 (ja) 電子機器セット
TW202145658A (zh) 連接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