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98Y1 -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98Y1
KR200274398Y1 KR2020020004994U KR20020004994U KR200274398Y1 KR 200274398 Y1 KR200274398 Y1 KR 200274398Y1 KR 2020020004994 U KR2020020004994 U KR 2020020004994U KR 20020004994 U KR20020004994 U KR 20020004994U KR 200274398 Y1 KR200274398 Y1 KR 200274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shape deformation
deformation material
compu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Priority to KR2020020004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98Y1/ko

Link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하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마우스를 제작하여 주어,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사용도중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컴퓨터의 입력 및 선택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이 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 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로 제작되어 있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충격흡수쿠션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MOUSE FOR USING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하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마우스를 제작하여 주어,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사용도중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한 컴퓨터 조작이 일반화됨에 따라 마우스는 컴퓨터의 필수 입력기기인 키보드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되는 입력기기로 자리잡게 됐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빠져서는 않될 중요 구성물로 자리잡은 마우스는 컴퓨터 입력장치로서의 기능적 측면에서만 인식이 되어 왔을 뿐 그 이상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아 기능과 편의성을 염두에 둔 개발이 사실상 미진하게 진행되고 있는 물품이다.
이에 따라 모니터에 의한 시력보호 못지 않게 마우스로 인한 손관절의 직업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컴퓨터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마우스의 생산은 전무한 상태이다.
참고로 VDT(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증후군은 비디오 영상장치 단말기 증후군 또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데 TV, 비디오 게임기, 컴퓨터 등을 장기간 사용 후에 생길 수 있는 여러 증상의 복합적 증후군을 말한다.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반복적인 수작업을 행하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으며, 부자연스러운 자세나 불충분한 휴식, 적절치 못한 조명환경등이 그 원인이 된다.
즉, 고정된 자세로 근육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눈의 장애, 근골격계의 주된 건강 장애를 나타내는데 주로 경(頸), 견(肩), 완(腕) 및 수부의 만성적인 동통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 끝이나 손바닥이 쑤시고 저릴 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혈액순환 장애로 생각하기 쉬우나, 이런 증상은 통계적으로 80%이상이 말초신경이나 근골격계 질환이며, 컴퓨터 사용자나 설거지, 청소 등 반복적인 일을 하는 주부에게 자주 나타나므로서 요즈음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골격계 질환이란 손가락, 손, 손목, 팔, 팔꿈치, 어깨, 목에 나타나는 통증, 저림 및 뻐근한 불쾌감을 말하며 근막통증후군, 수근관증후군(손목굴증후군), 거북목증후군, 근육과다사용증후군(건초염, 오십견, 관절통), 요통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질환 중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과, 근육과다사용증후군(Muscle Overuse Syndrome)은 마우스가 주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먼저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손목의 수근 인대 사이를 주행하는 신경(정중신경)을 인대가 압박하여 손가락이 마비되거나 따끔거림을 호소하게 되고, 노화, 골절, 관절염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근육과다사용증후군(Muscle Overuse Syndrome)은 장시간 동안 단조로운 반복동작을 하는 컴퓨터 사용자가 손, 팔, 어깨, 통증과 불쾌감을 호소하게 되고, 오십견, 건초염, 관절염을 유발시킨다.
이처럼 마우스는 오늘날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빠져서는 안될 매우 중요 구성물이지만 그 관심의 소홀과 그에 따른 개발의 소홀로 인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면에서는 여러 가지의 문제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 이외에도 사용자의 손과 접하는 상부 케이스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일정기간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분비되는 땀과 이물질 접촉에 의해 얼룩과 같은 불결한 상태를 띄게 되므로 관리여하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모품으로 전락되어 사용자의 불이익은 물론이고, 폐제품 처리에 따른 공해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작시 사용자의 송에서 발생되는 땀에 의해 조작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 등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탄력을 취하는 실리콘 재질을 본 고안의 기술인 마우스와 유사하게 적용한 제품이 제작되어 일부 시판되고는 있으나, 이는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땀에 의해 미끄러지는 문제 현상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고 제작하여 주어, 오히려 기존 마우스 보다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현상을 초래시켰음은 물론이고, 실리콘을 사용자의 손 모양이나 특성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기보다는 단지 탄력성만을 지니고 있어 사용자의 초기에 목적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 증대를 꾀하지는 못하고 흥미 유발만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하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마우스를 제작하여 주어,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사용도중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의 입력 및 선택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이 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 케이스의 상면과 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 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로 제작되어 있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충격흡수쿠션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우스 12 : 상부 케이스
14 : 하부 케이스 16 : 선택버튼
18 : 형상변형소재 20 : 이중 피복
22 : 내피 24 : 외피
26 : 충격흡수쿠션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16)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 케이스(12)의 상면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변형소재(18)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18)를 마감토록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22)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24)로 제작되어 있는 이중 피복(20)이 접합 처리된 충격흡수쿠션부(26)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쿠션부(26)가 선택버튼(16)과 상부 케이스(12)의 상면에 구비되는 마우스(10)는 실조작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상면에 위치된 충격흡수쿠션부(26)를 통해 얹혀지는 사용자의 손바닥 곡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취하며 긴밀하게 밀착되게 되어, 사용시 마우스(10)가 손에서 이탈되므로 인한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이 충격흡수쿠션부(26)를 마감 구성하는 이중 피복(20) 중 외피(24)에 해당하는 천소재가 조작시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조작시 땀에 의해 손이 미끄러지게 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버튼(16)의 상부에 위치된 충격흡수쿠션부(26)를 통해서는 연속 반복적으로 클릭 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인지와 중지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토록 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 현상을 최소화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 마우스에 비해 잡는데 있어 매우 편리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마우스는 조작을 취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양측에 위치되는 엄지와 약지만의 악력을 통해 마우스를 쥘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엄지와 약지의 관절에 상당한 피로감을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반해, 본 고안의 마우스(10)는 선택버튼(16)과 상부 케이스(12)의 상면에 상부로 만곡진 돌출형상을 취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충격흡수쿠션부(26)에 의해 마우스의 양측에 위치되는 엄지와 약지 뿐만 아니라 손바닥과 검지 및 중지에 의해서도 마우스(10)를 쥐는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엄지와 약지만의 악력을 통해 마우스를 쥘 수 있도록 제작된 종래의 마우스에 비해 손 전체를 통해 쥐는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쥐는 자세를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변형소재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를 마감토록 하는 이중 피복이 접합 처리된 마우스를 제작하여 주어,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사용도중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컴퓨터의 입력 및 선택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이 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시 인지와 중지가 접하게 되는 선택버튼(16)과 손바닥이 접하는 상부 케이스(12)의 상면에 내측에는 겔타입의 형상 변형소재(18)가 일정량 위치되어 있되, 이 외측에는 이 형상변형소재(18)를 마감토록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22)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24)로 제작되어 있는 이중 피복(20)이 접합 처리된 충격흡수쿠션부(2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KR2020020004994U 2002-02-20 2002-02-20 컴퓨터용 마우스 KR200274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94U KR200274398Y1 (ko) 2002-02-20 2002-02-20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94U KR200274398Y1 (ko) 2002-02-20 2002-02-20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98Y1 true KR200274398Y1 (ko) 2002-05-04

Family

ID=7311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994U KR200274398Y1 (ko) 2002-02-20 2002-02-20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450A1 (en) * 2002-09-13 2004-03-25 Jungwoo It Co.,Ltd. Computer mouse with a f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450A1 (en) * 2002-09-13 2004-03-25 Jungwoo It Co.,Ltd. Computer mouse with a f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3365B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6664947B1 (en) Safe and handy pointing device
US20190227633A1 (en) Haptic device, for interaction wit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060007152A1 (en) Computer finger mouse
US7006075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120305715A1 (en) Wrist Support
KR200274398Y1 (ko) 컴퓨터용 마우스
EA002610B1 (ru) Координатно-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анных в компьютер, управляемое с помощью большого пальца
US20080142672A1 (en) Laptop Palm Support
CN203105722U (zh) 清洁触控手套
KR20000010446U (ko) 내츄럴마우스
CN107368209A (zh) 具有掌垫的人体工程学光电鼠标
CN215769676U (zh) 一种新型鼠标
CN205158302U (zh) 一种预防鼠标手的鼠标
KR200307277Y1 (ko)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는 마우스
CN209980210U (zh) 一种多功能人体工学鼠标
KR200377873Y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101331272B1 (ko) 버티컬 마우스
KR20080055406A (ko) 옥달린 마우스
KR200262391Y1 (ko)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CN201259661Y (zh) 一种符合人体工学的鼠标
CN204576442U (zh) 一种鼠标
KR200229826Y1 (ko) 옥을 구비한 컴퓨터용 마우스
KR20230046550A (ko) 지압 마우스
KR20000002168U (ko)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