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745Y1 -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745Y1
KR200273745Y1 KR2020020004054U KR20020004054U KR200273745Y1 KR 200273745 Y1 KR200273745 Y1 KR 200273745Y1 KR 2020020004054 U KR2020020004054 U KR 2020020004054U KR 20020004054 U KR20020004054 U KR 20020004054U KR 200273745 Y1 KR200273745 Y1 KR 200273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tection
rechargeable batteries
control unit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롬코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롬코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롬코아텍
Priority to KR2020020004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745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전 시 재난 대비용으로 사용되는 충전지(2)들의 이상유무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구성과 이러한 시스템에 적합한 통신방식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직렬 연결된 충전지들(2)의 이상유무 검출 및 자동 충전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각각의 충전지(2)에 검출 제어부(10) 및 통신부(14)로 구성된 검출장치(4)를 장착하고 충전지 플러스 단자(6)와 마이너스 단자(8)에 검출 제어부(10) 연결단자를 연결한다. 각 검출장치(4)의 검출 제어부(10)는 입력되는 충전지(2) 단자의 전압을 연산하여 통신부(14)에 전달하고 통신부(14)에서는 단일 통신선로(18)를 통하여 각 충전지(2)의 상태를 통신 주 제어장치(16)에 전송한다.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각 검출장치(4)들의 신호를 취합하고, 각 충전지(2)들의 상태를 연산한다. 또한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관리 컴퓨터(22)와 연결되어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며 관리 컴퓨터(22)의 명령을 받아서 충전 시스템을 제어한다.
본 고안에서는 직렬 연결된 충전지(2)들의 전위차로 인한 시스템 구현의 어려움을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24)와 포토 커플러(26)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장치(4)간의 접지를 분리하고 통신부(14)와 통신 주 제어장치(16)의 전위를 일치시킴으로서 전위 차이가 있는 충전지들(2)의 효율적인 검출 및 제어를 예시하였다.

Description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System of automatic diagnosis and recharge for series batteries.}
본 고안은 직렬 연결된 충전지(2)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 차단 시를 대비하여 주요 기반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지(2)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의 한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이러한 재난 방지용 충전지(2)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충전지(2)들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검출장치(4)에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8)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직결로 연결된 충전지(2)에 각각의 검출장치(4)를 연결할 경우 충전지(2) 각각의 기준 전위는 서로 상이한데 검출장치(4)의 기준 전위는 동일하므로 충전지(2)와 검출장치(4)의 연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로 구성된 검출장치(4)들과 통신 주 제어장치(16)간의 단일 통신선로(18) 통신망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의 전위를 분리하지 않으면 결국 통신망 구성에 있어서 검출장치(4)들의 전위가 동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서로 상이한 충전지(2)의 전위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불가능해 진다.
본 고안에서는 검출 제어부(10)의 구성에 있어서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24)를 이용한 회로구성을 함으로써 각 검출장치(4) 간의 검출 제어부(10) 전위를 분리하고,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간에는 포토커플러(26)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함으로서 각 통신부(14)와 통신 주 제어장치(16)를 연결한 통신선로(18)를 단일 전위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구현 방식인 충전지(2) 병렬 제어하는 방식에 비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충전지(2)들과 정류기(12)의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직렬로 연결된 충전지(2)들과 정류기(12)를 제어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현 방법인 충전지(2) 병렬 제어 방식에 비하여 시스템 구성의 복잡성을 낮추고 설치, 유지보수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충전지(2)의 접지를 각각 분리하고 검출된 신호를 단일 통신망을 구성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고안함으로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시스템 설치에 있어서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렬 연결 충전지(2)들의 상태검출 및 자동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충전지(2)들의 검출제어부(10)와 통신부(14)간에 사용된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24) 사용 예시도
도 3은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간의 신호 분리를 위한 포토 커플러(26) 회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충전지 4. 검출장치
6. 충전지 플러스 단자 8. 풍전지 마이너스 단자
10. 검출 제어부 12. 정류기
14. 통신부 16. 통신 주 제어장치
18. 통신선로 20. 구동장치
22. 컴퓨터 24.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
26. 포토 커플러 28.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30 마이콤 32. 메모리
34 통신칩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직렬 연결된 충전지(2)의 자동 진단 및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직렬 연결된 충전지(2)들 각각에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로 구성된 검출장치(4)를 장착하고, 충전지(2)의 플러스 단자(6)와 마이너스 단자(8)를 검출장치(4)의 검출 제어부(10)에 연결한다. 검출 제어부(10)에서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8) 회로를 구성하여 충전지(2)의 전압을 검출한다. 검출 제어부(10)에서 획득한 충전지(2)의 전압은 마이콤(30)에서 기준전압에 따른 디지털 값으로 연산하여 그 값을 검출 제어부(10)메모리(32)에 저장한다. 통신부(14)에서는 통신 주 제어장치(16)의 통신요구에 의하여 검출장치(4)의 식별자와 저장된 충전지(2) 전압의 디지털 값을 통신칩(34)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검출장치(4)의 구성에 있어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의 전원을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24)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각 충전지(2)들의 전압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포토 커플러(26)를 이용한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의 신호 분리로 인하여 검출장치(4) 내의 모든 통신부(14)와 통신주 제어장치(16)의 전위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단일 통신선로(18) 구성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회로구성은 전체 시스템 내에서 검출 제어부(10)는 각각의 독립된 전위를 사용하게되고 통신부(14)와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동일한 레벨의 전위를 갖게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병렬 통신선로 연결 방식에 비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에도 큰 강점이 있다.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각 검출장치(4)들의 식별자와 충전지(2)의 출력전압을 전송 받아서 전체 충전지(2) 중에서 방전, 오동작, 불량인 충전지(2)를 검색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관리 컴퓨터(22)에 전송한다. 또한 충전지(2) 상태를 엘씨디 등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며 에러 발생 시에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관리 컴퓨터(22)에서 입력되는 각종 제어신호, 충전상태 절환명령 등을 받아서 정류기(12) 및 검출장치(4)를 제어하고 비상 시 수동으로 충전상태를 절환 할 수 있는 절환 스위치를 내장한다.
관리 컴퓨터(22)는 통신 주 제어장치(16)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그 상태를 모니터에 표시하며 이상 발생 시에는 이를 모니터에 표시하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한 시스템의 설정값을 세팅할 수 있고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수집된 각종 데이터를 보고서로 작성하여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충전지(2)의 이상유무를 자동으로 검침하여 충전지(2)의 교체시기, 고장 등의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자동으로 충전상태를 절환할 수 있으므로 정류기(12) 관리자로 하여금 수십에서 수백개에 이르는 충전지(2)를 일일이 검침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이 적용되어지는 충전지(2)들은 철도, 발전소, 탄광, 지하철, 공장, 빌딩, 놀이공원 등에서 비상시 안전에 필수적인 구동장치(20)들에 공급되는 중요한 용도이며, 현재까지는 충전지(2)들의 점검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이 적용되면 충전지(2)의 오동작 및 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충전지(2) 시설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충전지(2) 제어 방식의 부재로 인하여 충전지(2) 상태의 정확한 파악 없이 수동으로 충전상태를 절환하고 있다. 충전지(2)의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면 충전지(2) 폭발의 위험성 때문에 충전지(2) 규격에 맞는 정격전압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충전지(2)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본 고안이 적용되면 충전지(2) 상태를 정확하게 점검,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충전지(2) 수명 연장, 시스템 구성의 복잡성 해소, 충전지(2) 오동작 및 불량으로 인한 사고 예방 등이 개선되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방법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다.

Claims (2)

  1. 직렬 연결된 충전지(2)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각 충전지(2)마다 검출장치(4)를 장착하여 이 검출장치(4)들과 통신 주 제어장치(16)를 단일 통신망으로 구성하며, 통신 주 제어장치(16)는 관리 컴퓨터(22)와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충전지 제어 시스템.
  2. 검출장치(4) 내에 접지 분리형 2극 트랜스포머(24)를 사용한 회로구성을 통하여 검출 제어부(10)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검출 제어부(10)와 통신부(14)의 신호를 포토 커플러(26)로 절연하여 단일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검출제어장치.
KR2020020004054U 2002-02-07 2002-02-07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KR200273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54U KR200273745Y1 (ko) 2002-02-07 2002-02-07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54U KR200273745Y1 (ko) 2002-02-07 2002-02-07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745Y1 true KR200273745Y1 (ko) 2002-04-27

Family

ID=7311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54U KR200273745Y1 (ko) 2002-02-07 2002-02-07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7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043B2 (en) Golf cart battery system
JP6232091B2 (ja) 車両適用のための高電圧バッテリシステム
US4763013A (en) Backup protection switch to prevent reverse power flow in a UPS
KR20190011567A (ko) 마스터 배터리 관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20190011568A (ko) 배터리 관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1086005B1 (ko) 태양광 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1641B1 (ko) 분산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023445B1 (ko) 태양전지모듈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EP3054553B1 (en) Cell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6025501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AU2015412894B2 (en) Wiring diagnostic apparatus, battery system, and power system
US10411459B2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the same
EP27987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phase neutral wiring in a power system
CN106774026B (zh) 一种智能线路控制器
KR200273745Y1 (ko) 직렬 연결된 충전지의 자동 진단 및 충전 시스템
JP6018421B2 (ja) 駐車場システムで使用可能な電源装置
JP7192691B2 (ja) 組電池監視装置
JP4999879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不良検出方法
JP2004013257A (ja) 火災受信機
KR101430110B1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와, 전력 변환 장치,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RU2779934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итанием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07589359A (zh) 两台绝缘监测装置自动并列运行方法
CN113176495B (zh) 一种集成故障检测的直流输出装置及控制方法
KR102501640B1 (ko) 분산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209992647U (zh) 一种智能旁路二极管模块及电池组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