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99Y1 -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99Y1
KR200273699Y1 KR2020020002143U KR20020002143U KR200273699Y1 KR 200273699 Y1 KR200273699 Y1 KR 200273699Y1 KR 2020020002143 U KR2020020002143 U KR 2020020002143U KR 20020002143 U KR20020002143 U KR 20020002143U KR 200273699 Y1 KR200273699 Y1 KR 200273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gital data
analog signal
voice analo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랜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랜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2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99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MFC 전화단말기로 전송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 및 퍼스널 컴퓨터의 LAN 카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LAN 케이블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하며, 허브, IP 공유기 등의 지능형 장치의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외형이 깨끗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자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네트워크의 LAN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국선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부가 장치가 장착된 보조기판이 결합되는 제3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기; 상기 혼합기로부터 출력되는 혼합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4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혼합기가 장착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Voice Analog Signal/Digital Data Signal Integrated Distribution Frame}
본 고안은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MFC 전화단말기로 전송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 및 퍼스널 컴퓨터의 LAN 카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LAN 케이블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하며, 허브, IP 공유기 등의 지능형 장치의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외형이 깨끗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축되는 싸이버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실 건물은 처음 건물을 지을 때부터 LAN 케이블을 포설하고, 바닥 면적 6 내지 7평 당 1개 정도의 LAN 접속 월잭(RJ45 키스톤 잭)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각 아파트 세대마다 혹은 일정 규모의 사무 공간마다 세대 통신 단자시스템을 설치한다. 세대 통신 단자시스템에는 전화 인입 케이블, 데이터 인입 케이블, 각 전화 접속 월잭으로 나가는 옥내 전화 케이블, 각 데이터 접속 월잭으로 나가는 옥내 LAN 케이블 등 복수의 케이블이 집중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30여평의 아파트의 경우 전화 인입 케이블 1개, 데이터 인입 케이블 1개, 옥내 전화 케이블 6개, 옥내 데이터 케이블 6개 등 모두 14개의 케이블이 세대 통신 단자시스템에 집중된다.
이렇게 많은 수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세대 통신 단자시스템에는 1) 110C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단자시스템, 2) 일반 패치 패널을 이용한 단자시스템,2) 허브 일체형 단자시스템 등 주로 3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먼저, 110C 커넥터 블록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은 110 커넥터 블록을 사용하여 전화 케이블의 선을 1:1로 한가닥 씩 연결한 것이다. 110 커넥터 블록은 미국의 ATT 사에 의하여 원래 C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며, 커넥터 블록의 위, 아래 양쪽에 칼날이 형성된 탈피기술(IDT: insulation Displacement technology, 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밀어 넣으면 저절로 피복이 벗겨지면서 접점이 형성되는 방식)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아래 칼날에는 인입선을 밀어 넣고 위 칼날에는 옥내 선을 밀어 넣어 인입선과 옥내선을 1:1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110C 커넥터 블록을 사용하면 접점이 매우 견고하게 안정된다는 장점이 있고, 선을 1:1로 연결하는 전화 연결방식에는 적합하지만, 데이터 전송을 위한 LAN 케이블의 허브 방식 연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이 방식의 단자시스템에 허브 등 통신 장비를 연결하려면, 허브쪽으로는 RJ45 플럭이 달려있고, 반대편은 그냥 선들이 나와 있는 케이블들을 여러 가닥 준비하고, 사용자가 직접 커넥터의 홈에 순서를 맞추어 선들을 하나 하나 끼워 넣어야 하므로, 통신 공사 경험이 풍부한 숙련 기능공이 아닌 일반 사용자가 이 작업을 한다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렵다. 도 1은 110C 커넥터 블록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C 커넥터 블록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은 지나치게 많은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이를 정비하거나 조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일반 패치 패널 시스템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은 옥내 포트(월잭)로 나가는 연결은 110D 커넥터를 사용하여 접점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입 쪽 연결은 RJ45(데이터의 경우)잭, 혹은 RJ11(음성의 경우) 잭을 이용함으로서,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연결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110D 커넥터의 상부는 110C 커넥터와 동일하지만, 하부는 110C의 경우 칼날로 되어 있음에 반하여, 110D는 PCB 기판에 납땜할 수 있는 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반 패치 패널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은 PCB 기판의 한편에는 110D 커넥터를 부착하고, 다른 한편에는 RJ45 혹은 RJ11 잭을 부착하여 잭과 커넥터 사이를 1:1로 연결시킨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인입 포트 1개에 옥내 포트 1개를 1:1로 매칭시킨다.
이와 같은 일반 패치 패널 시스템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은 대형 건물이나 혹은 사무실에서 통신 분배/접속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보다 훨씬 규모가 작은 수십평 규모의 일반 사무실 건물이나, 혹은 아파트의 세대별로 구축되는 통신 단자 시스템에 일반 패치 패널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각 세대 단자함마다 RJ45잭, 혹은 RJ11잭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세대 단자함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일반 소형 사무실 공간이나 아파트 세대의 경우, 일단 연결 후에 단자의 뚜껑을 닫고, 장기간 방치하기 때문에 RJ45잭과 RJ11 잭의 접점이 느슨해지면서 접촉불량이 일으켜 통신장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대형 건축물이나 대형 사무실의 네트워킹 시스템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패치 패널에 허브 등 통신 장비를 연결할 때에는 양쪽에 RJ45 잭이 달린 케이블들을 준비하여, 한편은 패치 패널에 꼽고 다른 한편은 통신 장비에 꼽아 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케이블들은 수작업으로 소량 생산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고 일반 사용자가 구하기가 쉽지 않다. 나아가 일반 가정 같은 경우에는 단자시스템 바깥에 허브 등 통신장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통신 장비와 단자 시스템 사이를 복수의 케이블들로 연결하여야 하나, 이와 같이 연결된 통신 장비 및 케이블들을 보호할 수 있는 함 혹은 망을 설치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허브 일체형 단자 시스템은 최근 일부 사이버 아파트에 종종 적용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허브 모듈과 전화 케이블들을 연결해주는 전화 회선 분배 모듈의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옥내의 LAN 케이블은 모두 허브의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허브 일체형 시스템은 데이터와는 전혀 별개로 전화 연결을 위한 포트들을 가지고 있어서 옥내 전화 수구(월잭)에서 나온 케이블들은 모두 단자시스템의 전화 연결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허브 일체형 단자시스템은 각 디지털 데이터 신호 및 각 음성 아날로그 신호마다 케이블을 별도로 사용하므로 단자시스템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도 2는 이와 같은 허브 일체형 단자 시스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일체형 단자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자 시스템의 배선이 매우 복잡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 소형 사무실 공간이나 아파트 세대의 경우, 일단 연결 후에 단자함의 뚜껑을 닫고 장기간 방치하기 때문에 RJ45 잭과 RJ11 잭의 접점이 느슨해지면서 접촉불량이 일어나서 통신장애를 유발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허브의 성능을 높이기 어렵다. 또한, 정보통신 1등급 인증의 경우나 고화질 TV의 경우 인입에서부터 월잭까지 20Mbps 이상 100Mbps까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요구하고 있는데 허브 일체형 시스템의 경우 일반 가정에서 갖추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고가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는 한 각 포트별로 월잭까지 100Mbps의 전속송도를 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형 및 배선이 깨끗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브, IP 공유기 등의 지능형 장치의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방치하더라도 접촉불량 및 통신장애를 유발할 우려가 없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아날로그 신호 전달을 위한 별도의 포트 및 실내 전화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110C 커넥터 블록을 사용한 단자시스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통상적인 허브 일체형 단자 시스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에 사용되는 변형된 110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 혼합기의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네트워크 LAN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국선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부가 장치가 장착된 보조기판이 결합되는 제3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기; 상기 혼합기로부터 출력되는 혼합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4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혼합기가 장착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기판에는 상기 제3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5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5 커넥터는 보드-투-보드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4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메인 기판에 고정되며 타단에 도전성 관통홀이 형성된 보조 커넥터와, 일단에 상기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상기 헤더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이 결합되는 메인 커넥터로 이루어진 변형된 110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자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네트워크(이더넷 망 등 광역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의 LAN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10)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국선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외부 광역 통신망으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고, 제2 커넥터(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전화국 등 외부 음성망으로부터 국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0, 12)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IDT(Insulation Displacement Technology) 커넥터의 한 종류인 110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110커넥터는 전화선 또는 통신 LAN선을 물릴 때 탈피하지 않고 물리더라도, 물리는 과정에서 저절로 탈피되어 전도 접점이 형성되는 형식의 커넥터로서, 접점이 매우 튼튼하고 안정되어,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접점의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110 타입의 커넥터 중, 110D 타입은 윗부분은 "칼날"형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에 LAN선이나 전화선이 물리고, 아랫부분은 "핀" 형식으로 성형되어 있어 인쇄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14) 상에 용접되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110D 타입의 커넥터는 인쇄회로 기판(14)에 직접 납땜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110D 타입의 커넥터에 전화선 또는 LAN 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기판(14)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기판(14)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10, 12)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110 커넥터(10, 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자시스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변형된 110커넥터(10, 12)는 기판(14) 상에 형성된 도전 접점(7)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커넥터(20)와, 일단이 헤더핀(21)에 의해 보조 커넥터(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8개의 스트랜드를 가지는 LAN선에 물리는 메인 커넥터(22)로 이루어져 있다. 보조 커넥터(20)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 내부에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 내에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핀단자(11)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핀단자(11)의 다른 부분은 보조커넥터(20) 외부로 약 3mm 정도 돌출되어 기판(14)의 접점(7)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커넥터(2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110D 타입의 커넥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체 및 몸체를 관통하면서 일단에서 돌출된 다수의 헤더핀(21) 및 몸체의 타단에 설치되어 다수의 헤더핀(21)을 격리시키기 위한 돌출분리부(25)로 이루어졌으며, 다만, 몸체를 관통하면서 몸체의 상면(23) 밖으로 돌출되어 보조 커넥터(20)의 관통홀로 삽입되는 다수의 헤더핀(21)이 종래의 것보다 길게 설계된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종래의 110D 타입의 커넥터에서는 헤더핀의 길이가 대략 3mm 정도이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헤더핀(21)이 관통홀을 통하여 핀단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관통홀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작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mm 정도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더핀(21)의 수, 핀단자(11)의 수 및 관통홀의 수는 메인 커넥터(22)에 연결되는 LAN 또는 전화선의 스트랜드의 수에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된 110 커넥터(10, 12)를 사용하면 보조 커넥터(20)가 납땜 등에 의해기판(14)에 완전히 고정 연결되더라도, 메인 커넥터(22)가 보조 커넥터(20)에 연결되어야만 기판(14)과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판(14)에 납땜으로 연결된 보조 커넥터(20)와 메인 커넥터(22)가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커넥터(20)의 돌출 분리부(25) 사이에 케이블을 물린 다음, 보조 커넥터(20)에 메인 커넥터(22)를 삽입하여 기판(14)과 케이블을 연결시킬 수 있고, 보조 커넥터(20)와 메인 커넥터(22)를 필요에 따라 착탈시킴에 의하여 기판(14)과 케이블과의 연결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커넥터(22)의 일단에 케이블을 물릴 때 110C 커넥터 사용 시에 사용하는 펀칭 툴을 이용하여 메인 커넥터(22)에 강한 충격을 가하더라도 기판(14)이 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다수의 보조 커넥터(20)가 기판(14)상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 있는 보조 커넥터(20)에 메인 커넥터(22)를 연결함으로써, 기판(14)과 LAN 케이블과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넥터(10)를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2 커넥터(1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제3 커넥터(16), 및 상기 제3 커넥터(16)와 짝을 이루는 제5 커넥터(52)를 통하여 상기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부가 장치(54)가 장착된 보조 기판(50)으로 전송된다. 상기 부가 장치(5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분산시키는 허브, IP 공유기 등이 있으며, 제3 및 제5 커넥터(16, 52)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부가장치(54)에서 적절히 처리되어 다시 제3 및 제4 커넥터(16, 52)를 통하여 기판(14)의 혼합기(18)로 공급된다. 만일 특정 기능을 가지는 부가장치(54)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보조 기판(50)으로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 및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아무 처리를 거치지 않고 단순히 혼합기(18)로 공급되도록 보조 기판(50)이 더미(dummy)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부가장치(54)는 단순히 신호 전송 배선이 된다. 상기 메인 기판(14)과 보조기판(50)을 연결하는 제3 및 제5 커넥터(16, 52)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32핀 보드-투-보드(board-to-board)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기판(50)을 통하여 메인 기판(14)으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혼합기(18)에서 혼합된다. 도 5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18)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통상 8선(8 strand)을 통하여 혼합기(18)로 입력되고,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4선(4 strand)을 통하여 혼합기(18)로 입력되며, 혼합기(18)의 하이 패스 필터(32) 및 로우 패스 필터(34)에서 각각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음성 대역 저주파 신호인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고주파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배선에 의하여 혼합되어 혼합기(18)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혼합기(18)는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각각 별도로 입력되는 경우(inbound, 즉 외부의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들을 혼합하는 기능을 하며, 혼합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반대방향에서 입력되는 경우(outbound, 즉 사용자의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들을 분리하는 스플리터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혼합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제4 커넥터(19)로 전송되며, 제4 커넥터(19)에 연결된 LAN선을 통하여 세대의 각 방이나 각각의 사무실로 전송된다. 상기 제4 커넥터(19)로는 제1 및 제2 커넥터(10, 12)와 동일한 종류의 110 타입의 커넥터, 또는 변형된 110 타입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커넥터(19)에 연결된 LAN선을 통하여 세대의 각 방이나 각각의 사무실로 전송된 신호는 각 방이나 각각의 사무실에 설치된 월잭에서 다시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사용자 컴퓨터 및 MFC 전화기로 공급되며, 이 경우 월잭에는 상기 혼합기(1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는 스플리터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신호분리용 월잭은 본 고안의 단자시스템의 구조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 고안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1-32563호에 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에 개시된 내용은 본 고안의 단자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참고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와 혼합기가 장착되는 상기 메인 기판(14)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쇄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커넥터와 혼합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시스템은 전화의 음성 신호를 옥내 LAN 케이블에 함께 싣기 때문에 옥내 전화 케이블 설치 필요성을 제거하며, 따라서 전화 케이블링 및 그 연결 작업에 수반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허브 혹은 IP 보드를 커넥터 (board-to-board)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가 싸고 편하게 허브 혹은 IP 공유기를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신 장비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전화 음성 통신이 장애를 일으키거나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탈착가능한 형태로 변형된 110커넥터를 사용하므로 케이블 연결시의 충격으로 시스템의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중에 일반 사용자가 직접 포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110 커넥터를 사용하므로 장시간 방치하더라도 접촉불량 및 통신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자시스템의 외형 및 배선이 깨끗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네트워크의 LAN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국선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부가 장치가 장착된 보조기판이 결합되는 제3 커넥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기;
    상기 혼합기로부터 출력되는 혼합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4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혼합기가 장착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에는 상기 제3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5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5 커넥터는 보드-투-보드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4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메인 기판에고정되며 타단에 도전성 관통홀이 형성된 보조 커넥터와, 일단에 상기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상기 헤더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이 결합되는 메인 커넥터로 이루어진 변형된 110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는 허브 또는 IP 공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KR2020020002143U 2002-01-23 2002-01-23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KR200273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43U KR200273699Y1 (ko) 2002-01-23 2002-01-23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43U KR200273699Y1 (ko) 2002-01-23 2002-01-23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99Y1 true KR200273699Y1 (ko) 2002-04-27

Family

ID=7311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43U KR200273699Y1 (ko) 2002-01-23 2002-01-23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095A (en) Enhancement of 10 base T networks
US7480233B2 (en)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ver local area network wiring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EP0966147A2 (en) Indoor XDSL splitter assembly
EP0724365A2 (en) A communications wiring system including a reconfigurable outlet assembly
US20060276144A1 (en) Modular electrical component system combining power line voltage and low voltage elements
JP2009535877A (ja) パワー−オーバー−イーサネットコネクションを可能にするアセンブリー
US20140211809A1 (en) Network switch with integrated cable termination locations
US5207583A (en) Network interface unit
JP2763274B2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6535579B1 (en) Network interface device with disconnectable half-ringer
US20020111077A1 (en) Universal splitter for xDSL modems
KR200273699Y1 (ko)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KR200276712Y1 (ko) 음성 아날로그신호/ 데이터 디지탈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JPH10172696A (ja) 埋め込み配線用lan機器
US6570965B1 (en) Configurable telephone line distribution modules for designating primary and secondary telephone lines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US7408753B2 (en) Surge-protected networking power strip
GB2361590A (en)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telephones using a single eight-wire cable
JP3856010B2 (ja) 配線装置
KR200311814Y1 (ko) 티형 멀티잭
KR200394067Y1 (ko) 옥내통신 단자함용 단자 블록
KR200360782Y1 (ko) 다기능 커플러
KR200282516Y1 (ko) 음성 아날로그신호/ 데이터 디지털 신호 통합 배선방식에 적합한 키스톤형 월잭
JP4113771B2 (ja) 分岐モジュラー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