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52Y1 -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52Y1
KR200273652Y1 KR2020020000543U KR20020000543U KR200273652Y1 KR 200273652 Y1 KR200273652 Y1 KR 200273652Y1 KR 2020020000543 U KR2020020000543 U KR 2020020000543U KR 20020000543 U KR20020000543 U KR 20020000543U KR 200273652 Y1 KR200273652 Y1 KR 200273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uman body
controller
saving dev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세이브
이재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세이브, 이재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세이브
Priority to KR2020020000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유선방식 절수장치를 무선방식(고주파, 적외선) 절수장치로 변환하여 설치시 배선처리로 인한 불편함과 방수처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외관상 보다 미려한 형상의 절수장치가 구현되도록 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수조 외부에 장착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며, 절수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내에 구비되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감지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내에 장착되며, 상기 송신부에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해주는 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방식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므로, 기존과 같이 배선으로 인한 설치 시간의 지연, 방수의 어려움, 단선시 고장 수리 시간의 낭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Apparatus for saving water of radio method in a chamber pot}
본 고안은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유선방식 절수장치를 무선방식(고주파, 적외선) 절수장치로 변환하여 설치시 배선처리로 인한 불편함과 방수처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외관상 보다 미려한 형상의 절수장치가 구현되도록 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담긴 수조가 변기 본체의 후방에 장착되어 수조에 담긴 물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조에 담긴 물을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배수장치는, 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작동레버의 내측 후단부에 수조와 연통하는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변이 직접 연결되어 이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 변을 개방시키게 되면, 수조에 다긴 세척수가 배출된 후 폐쇄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좌변기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변후 세척할 경우에도 대변후 세척하는 경우와 동일한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근래에는 용변의 종류에 따라 대변일 경우 많은 량의 물을 배출하고, 소변일 경우 적은 량의 물을 배출하는 절수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제안된 자동 절수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감지부(40)는 좌변기(10)의 커버(30) 중앙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인체 감지부(40)의 장착 방법은, 후면 덮개의 외측 면에 접착제를 발라 변기 커버(30)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좌변기(10)의 성형시 인체 감지부(40)가 장착되는 부분을 볼록하게 성형하고, 데이터/전원선이 안내되는 부분에는 홈을 형성하고, 볼록하게 성형된 부분의 중앙은 관통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인체 감지 센서에서 투사되는 적외선이 외부로 투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인체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이 입사되도록 하여 방식으로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수동 조작을 위한 조작 레버를 나타내며, 20은 수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종래에 제안된 자동 절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40은 도 1에 도시된 인체 감지부(40)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0은 상기 수조(20)내에 장착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70은 사이폰 덮개(80)를 위로 올리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상기 인체 감지부(40)에서 발생된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60)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 배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 절수장치는, 먼저 인체감지부(40)에서 인체를 감지하게 되면 인체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인체 감지신호는 연결 배선(90)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60)에 전달된다.
메인 컨트롤러(60)는 그 전달되는 인체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배수시에는 구동부(70)를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60)의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사이폰 덮개(80)를 위로 올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사이폰 덮개(8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물론, 절수를 위해서는 대변 또는 소변에 따라 사이폰 덮개(80)의 들려지는 시간을 달리하여 절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 절수장치는, 인체감지부와 메인 컨트롤러간에 신호 전달을 연결 배선을 통한 유선방식으로 수행하므로, 유선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실은 습기가 많으며, 샤워 등을 할 경우에는 물이 튀는 경우가 많아 방수가 필요한 데, 결선 배선이 있어 방수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단선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발견하기가 어려워 수리 시간이 오래 걸리고인적 자원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선의 사용으로 인해 제품 설치 후 외형적인 모양도 좋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선방식 자동 절수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유선방식 절수장치를 무선방식(고주파, 적외선) 절수장치로 변환하여 설치시 배선처리로 인한 불편함과 방수처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외관상 보다 미려한 형상의 절수장치가 구현되도록 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는,
수조 외부에 장착되며 인체 감지 센서, 조절부, 센서 제어기를 구비하고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체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수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내에 구비되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감지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내에 장착되며, 상기 송신부에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해주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송신부는 상기 센서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신호를 변조한 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송신모듈과, 상기 고주파 송신모듈에서 출력되는 고주파를 공간상에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센서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신호를 광신호(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공간상에 송출하는 광 송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고주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주파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고주파 수신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광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유선방식 절수장치가 장착된 좌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유선방식 절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4a는 인체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b는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5a는 인체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 ..... 송신부
141 ..... 고주파 송신모듈
142 ..... 송신 안테나
210 ..... 수신부
211 ..... 수신안테나
212 ..... 고주파 수신모듈
150 ..... 광 송신모듈
240 ..... 광 수신모듈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의 구성을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인체를 감지하고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감지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공간상에 송출하는 인체감지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0은 상기 인체감지부(100)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며, 절수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0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리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는, 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인체감지부(100)에서 인체 감지센서를 통해 인체를 감지하게 되고,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무선신호로 변환을 공간상에 송출한다.
그러면 수조내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상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인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인체가 감지되면 알람 송출을 제어하고, 용변후 대변 또는 소변을 판별한 후 그에 대응하게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대응하여 사이폰 덮개(40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은 인체감지부와 메인 컨트롤러간의 신호 송수신에 있다. 기존에는 유선방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를 무선방식으로 대체하여 무선신호로 인체감지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4a는 인체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의 거리 및 감도 조절을 위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의 거리 및 감도를 조절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제어기(130)와, 상기 센서 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1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송신부는 상기 센서 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신호를 변조한 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고주파 송신모듈(141)과, 상기 고주파 송신모듈(141)에서 출력되는 고주파를 공간상에 방사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1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체 감지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1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센서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상기 센서 제어기(130)는 조절부(120)에서 출력되는 거리 및 감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되고, 이렇게 처리된 인체 감지 신호를 송신부(140)에 전달한다.
송신부(140)는 고주파 송신모듈(141)에서 상기 센서 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변조한 후 고주파(RF) 신호로 변환을 하게되고,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며, 송신 안테나(142)는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공간상에 방사한다.
그러면 수조내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이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4b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의 구성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100)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신호가 인체 감지 신호이면 사운드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용변후 대변 또는 소변이 판별되면 그에 대응하여 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20)와,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발생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30)와,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린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이폰 덮개(40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신부(210)는 상기 송신부(140)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211)와, 상기 수신안테나(211)에서 수신된 고주파수를 증폭하고 검파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제어기(220)에 전달하는 고주파 수신모듈(2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 동작에 따라 사이폰 덮개(400)를위로 올리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감속기(3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인 컨트롤러(200)는, 수신부(210)내의 수신안테나(211)에서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송신부(140)에서 송신된 고주파수를 수신하게 되고, 고주파 수신모듈(212)에서 상기 수신안테나(211)에서 수신한 고주파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제어기(220)에 전달한다.
제어기(220)는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 감지 신호이면 사운드 출력부(230)를 구동시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며, 이후 인체 감지가 되지 않으면, 대변 또는 소변 여부를 판별한 후 그에 대응하게 모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구동부(300)내의 모터(310)는 상기 모터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동작을 하게 되고, 감속기(320)는 상기 모터(310)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리게 된다. 이후 설정 시간이 되면 모터(310)는 역방향으로 동작하며 이에 대응하는 감속기(320)는 상기 위로 올린 사이폰 덮개(40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인체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의 거리 및 감도 조절을 위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의 거리 및 감도를 조절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 신호를출력하는 센서 제어기(130)와, 상기 센서 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광신호(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광송신모듈(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체 감지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1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센서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상기 센서 제어기(130)는 조절부(120)에서 출력되는 거리 및 감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되고, 이렇게 처리된 인체 감지 신호를 광송신모듈(150)에 전달한다.
상기 광송신모듈(150)은 상기 센서 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광신호(적외선 신호)로 변환을 하게되고, 이를 증폭하여 공간상에 방사한다.
그러면 수조내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이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5b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의 구성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100)에서 송신되는 광신호(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수신모듈(240)과, 상기 광수신모듈(240)에서 수신된 신호가 인체 감지 신호이면 사운드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용변후 대변 또는 소변이 판별되면 그에 대응하여 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20)와,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발생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30)와,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린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이폰 덮개(40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기(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 동작에 대응하여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리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감속기(3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인 컨트롤러(200)는, 광수신모듈(240)에서 상기 광송신모듈(150)에서 송신된 광신호(적외선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를 원래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기(220)에 전달한다.
제어기(220)는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 감지 신호이면 사운드 출력부(230)를 구동시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며, 이후 인체 감지가 되지 않으면, 대변 또는 소변 여부를 판별한 후 그에 대응하게 모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구동부(300)내의 모터(310)는 상기 모터 구동신호에 대응하게 동작을 하게 되고, 감속기(320)는 상기 모터(310)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사이폰 덮개(400)를 위로 올리게 된다. 이후 설정 시간이 되면 모터(310)는 역방향으로 동작하며 이에 대응하는 감속기(320)는 상기 위로 올린 사이폰 덮개(40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에 따르면, 인체감지부와 메인 컨트롤러간의 신호 연결을 무선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설치시배선정리가 필요 없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결선용 배선이 없으므로 제품의 방수가 용이하고, 외관이 깨끗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수조 외부에 장착되며 인체 감지 센서, 센서 제어기를 구비하고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체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수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내에 구비되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감지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내에 장착되며, 상기 송신부에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해주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센서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신호를 변조한 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송신모듈과, 상기 고주파 송신모듈에서 출력되는 고주파를 공간상에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센서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인체감지신호를 광신호(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공간상에 송출하는 광 송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고주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주파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고주파 수신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광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KR2020020000543U 2002-01-08 2002-01-08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KR200273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43U KR200273652Y1 (ko) 2002-01-08 2002-01-08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43U KR200273652Y1 (ko) 2002-01-08 2002-01-08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147A Division KR20020024814A (ko) 2001-12-26 2001-12-26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52Y1 true KR200273652Y1 (ko) 2002-04-26

Family

ID=7311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43U KR200273652Y1 (ko) 2002-01-08 2002-01-08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82B1 (ko) * 2002-04-17 2005-03-08 계림엔텍 주식회사 비데의 절수 방법
KR100701286B1 (ko) 2005-07-05 2007-03-2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자동 물내림/절수 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82B1 (ko) * 2002-04-17 2005-03-08 계림엔텍 주식회사 비데의 절수 방법
KR100701286B1 (ko) 2005-07-05 2007-03-2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자동 물내림/절수 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147A (en) Device and process for the contactless control of the flow of water in a sanitary appliance
US5651384A (en) Control for a sanitary fixture
CZ286125B6 (cs) Ovládací zařízení a způsob bezdotykového ovládacího zařízení, zejména sanitárního zařízení
KR100349756B1 (ko) 변기의 절수 장치 및 그 방법
JPH07100948B2 (ja) 自動給水装置における電力供給方法
KR101643093B1 (ko) 모션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자동수전
KR200273652Y1 (ko)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CN102373739A (zh) 坐便器自动排水阀及工作方法
KR20020024814A (ko) 좌변기의 무선방식 절수장치
KR100661800B1 (ko) 무선방식의 자동문 제어 시스템
KR100701286B1 (ko) 자동 물내림/절수 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187602Y1 (ko) 절수형 좌변기 자동 세척 장치
KR100430047B1 (ko) 자동절수 시스템이 구비된 양변기
KR100473182B1 (ko) 비데의 절수 방법
JP2003064741A (ja) 吐水制御装置
CN212912988U (zh) 一种食品加工机
JP2666029B2 (ja) 自動洗浄装置
JP2666028B2 (ja) 自動洗浄装置
JPH0483027A (ja) 自動水栓の制御方法
KR200405763Y1 (ko) 자동 물내림 및 절수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189856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KR200291588Y1 (ko) 플러시밸브 타입 변기의 절수장치
CN104746616B (zh) 一种自动感应装置、自动感应冲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213086959U (zh) 一种浊度传感器及检测装置和节水马桶
JPH04219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