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33Y1 -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3633Y1 KR200273633Y1 KR2020010039480U KR20010039480U KR200273633Y1 KR 200273633 Y1 KR200273633 Y1 KR 200273633Y1 KR 2020010039480 U KR2020010039480 U KR 2020010039480U KR 20010039480 U KR20010039480 U KR 20010039480U KR 200273633 Y1 KR200273633 Y1 KR 2002736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ms
- synthetic resin
- load
- artificial reef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조물에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인 인공어초의 외부 기둥은 철재빔으로 제작하고, 하중을 많이 받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합성수지재의 빔을 사용하는 한편 인공어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어초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하중지지 목적으로 기둥과 보들로 설치되는 하중부재들, 상기 하중부재들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재 빔들; 상기 합성수지재빔들과 상기 하중부재들에 부착되는 메쉬상으로 형성된 판상부재와 로프들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공적으로 해양에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빔으로 이루어진 기둥 또는 보들로 외부 형틀을 유지하고 내부 기둥 또는 보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조립형으로 제작되며, 이들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판재와(또는) 로프들을 연결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공어초는 콘크리트나 철재빔으로 이루어진 골조물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어초는 재료비 및 인건비가 많이 들게되어 필요한 만큼 원활하게 공급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공어초는 철재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중이 많이 나가게 되어 제작후 설치장소까지 이동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인공어초는 무게중심이 낮지 않아 파도가 센 바다에서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조물에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철재빔이나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진 하중부재를 사용하고, 하중을 많이 받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합성수지재의 빔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대폭 줄인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의 빔은 상기 하중부재 및 타 합성수지재의 빔들과 조립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정 및 인건비등을 감소시킨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조물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물속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빔들 사이에 또는 합성수지재빔과 하중부재사이에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부재를 설치하고 여기에 인공해초들을 부착함으로서 골조물에 음영을 형성하고 와류를 발생시켜 어류의 적절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빔들 사이에 또는 합성수지재빔과 하중부재사이에 로프를 연결하고 여기에 인공해초들을 부착함으로서 골조물에 음영을 형성하고 해양생물의 부착성을 높이는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빔들 사이에 또는 합성수지재빔과 하중부재사이에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부재와 로프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각 부재의 장점을 지닌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하부면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빔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격자형 합성수지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와류발생용 합성수지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격자형과 와류발생용이 혼용된 복합형 합성수지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에 로프를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에 판상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판상부재가 설치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인공어초에 부착하는 어류 은둔, 산란 혹은 패류 양식 용도의 함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중지지 목적으로 기둥과 보들로 설치되는 하중부재들, 상기 하중부재들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재 빔들; 상기 합성수지재빔들과 상기 하중부재들에 부착되는 판상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판상부재는 일정폭의 띠로 이루어지는 메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판상부재에는 여러 형상의 와류발생용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합성수지재 빔은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양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판상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판상부재는 상기 합성수지재 빔의 모서리홈과 모서리 양단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4개의 모서리중 하나의 모서리의 판재가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인공어초의 저면은 H빔의 하중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H빔의 보들로 이루어진 공간들에 선택적으로 콘크리트가 장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하중부재의 보들과 기둥, 이들에 연결된 합성수지재 빔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벽면들에 판상부재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하중부재의 보들과 기둥, 이들에 연결된 합성수지재 빔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벽면들에 로프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로프와 합성수지재의 판상부재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보, 기둥 또는 상기 합성수지재 빔에 패류를 양식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양식수단들이 적재된 적재함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합성수지재 빔과 상기 판상부재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3열, 3횡의 격자를 형성하도록 된 인공어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인공어초의 제작 목적에 따라 열과 횡수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 목적에 적합한 크기의 인공어초를 제작할 수 있다. 기본 골조로는 철제빔(H빔)들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서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기본 골조는 H빔들로 이루어진 외측면을 형성하는 네 모서리의 기둥들(1), (2), (3), (일부 미도시)과 이들 기둥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기둥들(8), (9), (10), (11), (일부 미도시)과, 이들을 연결시키는 보들(12), (13), (14), (15)과, 상, 하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는 기둥들의 위에 결합되는 모서리 보들(4), (5), (6), (7)(일부 미도시)과, 상기 모서리 보들 사이에 종, 횡 설치된 보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하부면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하부면에 설치되는 보들(6), (7)에는 H빔이 모두 2 단배치되고, 보들 사이에 철근(21)들이 용접되고, 이들에 콘크리트를 장입시킨다. 인접된 보들 또는 인접된 기둥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격막을 셀(sell)이라 할 때, 하부면의 셀은 투하 지역의 조류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중량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콘크리트가 장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면에 장입되는 콘크리트는 인공어초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바다속에서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빔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합성수지재빔(30)은 보들과 기둥들에 결합되거나 타 합성수지재빔들과 결합되어 셀을 형성하게 된다. 합성수지재빔(30)은 양단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남겨두고, 4개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4각 홈(31), (32), (33), (일부미도시)이 형성되어져 있어 다른 판상부재의 끝단이 4각 홈(31), (32), (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합성수지재 빔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와 같이, 폐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제조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합성수지재 빔(40), (41), (42), (43), (44), (45)의 끝 단부면을 서로 마주보게 대향시키고, 합성수지재 빔(41), (43)의 측부에 L 자 형상의 고정쇠(46)를 대접시키고, 합성수지재 빔(41), (44)에 고정쇠(47)을 대접시키고, 고정쇠(46)에 볼트(48)를 넣고, 합성수지재 빔(41)과 고정쇠(47)를 관통시켜 고정쇠(47) 외측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쇠(46), (47)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쇠와 고정쇠사이에 합성수지재 빔을 위치시키고, 고정쇠 외측에 볼트를 삽입하여 다른 고정쇠의 외측에 너트를 체결하여 인접되는 합성수지재 빔들을 결합시킨다.
도5는 본 고안품의 일실시예에서 기둥과 보들에 설치되는 격자형 판상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격자형 판상부재(50)는 일정폭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51)가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4개의 모서리중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되지 않은 모서리는 도 3의 도시된합성수지재빔(30)의 모서리홈(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격자형 판상부재(50)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정 크기의 격자형 판상부재
(50)들을 상호간을 결합시켜 크기를 배가시킬 수 있다.
격자형 판상부재(50)는 조류가 느려 와류 발생을 기대하기 어려운 어초 제작용에 사용되며 격자를 형성하는 띠 형상 부재(51)에 인공해초를 부착시켜줌으로서 인공어초에 음영 효과를 주어 어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인공해초는 전선용 타이 등을 사용하여 묶을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품의 일실시예에서 기둥과 보들 사이에 놓이는 와류발생용 판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와류발생용 판상부재(60)는 판상부재에 일정 크기의 원통홀(61) 또는 임의의 형상의 홀을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조류가 센 해저에서는 조류의 흐름을 막아줌으로서 판재에 뚫린 홀(61)을 통한 조류의 속도차로 와류발생이 일어난다. 이러한 와류 생성으로 바닷물의 산소 발생을 촉진시켜 어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와류 발생용 홀(61)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각 셀 모서리 기둥 부분에 구멍을 뚫어 인공해초를 부착함으로서 어초로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품의 일실시예에서 기둥과 보 사이에 놓이는 또 다른 형태의 합성수지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판재부재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일부 와류 발생용 판재와 일부 격자형 판재가 혼용된 형태로 각각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에 로프를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 도6, 도7에서 설명한 합성수지 판재 대신에 로프를 직접 합성수지재빔에 연결시켜 망상을 형성함으로서 판상부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합성수지 재빔(34)의 측벽(81)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82)을 뚫어 상하좌우의 인접되는 합성수지재빔에 뚫린 관통공들에 로프(83)를 연결시켜줌으로서 로프(83)에 의한 망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로프의 경우 재질에 따라 해초의 부착성이 좋아 어초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인공해초의 부착도 쉽다. 또한 이러한 로프망은 도5, 도6, 도7의 합성수지 판재와 같이 사용함으로서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합성수지재 빔에 격자형 판상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판상부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도5, 도6, 도7에서 설명한 형태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빔과의 연결 방법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격자형 판재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합성수지재 빔(30)의 모서리 홈(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상부재(90)들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판상부재(9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격자가 형성되지 않도록 절개되어 합성수지재 빔(30)의 모서리 홈에 결착될 때, 홈이 형성되지 않은 단부에 의하여 들뜨지 않도록 한다. 판상부재(90)는 합성수지재 빔(30)에 결착될 뿐만 아니라 인접되는 타 합성수지재 빔(34)의 모서리 홈(35)에도 결착된다. 따라서 판상부재(90)의 모서리에 띠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넓이는 이들 모서리홈(31), (35)이 형성되지 않는 합성수지재 빔들(30), (34)의 단부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합성수지재 빔(30)에 판상부재(90)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U자형상 고정쇠(91)를 이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재 빔(30)의 모서리 홈(31)에 판상부재(90)의 끝단띠
(93)를 거치시키고, 고정쇠(91)의 볼트공(92)가 끝단띠(93) 보다 앞에 오도록 설치하고, 볼트(94), 너트(95)를 체결시킨다. 체결방식은 U볼트(96)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판상부재(90)를 합성수지재 빔(30)의 모서리홈(31)에 거치시키고, U볼트(96)을 밀어 전면에서 고정판(97)에 형성된 관통공을 U볼트(96)에 끼우고, 너트(98), (99)를 U볼트(96)에 체결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판상부재가 설치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셀의 크기에 따라서 판상부재는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여러개를 밴드로 결합하여 다수개를 하나의 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판상부재는 인공어초가 물속에 있을 때, 음영을 주고, 어류의 이동로를 유도하며, 다이버들이 유영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전체 셀에 설치하는 것보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걸러, 즉,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부재 대신 로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로프를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부재와 로프에는 인공해초를 부착시켜줌으로서 음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어류 은둔, 어류 산란 혹은 패류 보관 및 양식용 함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보들사이에, 보와 기둥사이에 거치될 수 있는 판상의 돌출부들이 상면에 연장 형성된 적재함(111)이 H빔이나 합성수지재 빔에 거치되고, 나사등에 의해서 조여짐으로써 구조물에 고정된다.
적재함(111)의 내부에는 어류의 이동로, 어류의 산란 장소, 패류의 양식, 저장 등을 위하여 원통형의 구조물(112)들이 복수층으로 놓여져 있다. 이때 구조물
(112)은 사용목적에 따라서 양단부가 개방 또는 패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져 있다.
또한, 판상부재 또는 인공어초의 어느 부위를 이용하여 해류에 유동될 수 있는 어초를 매달아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에 따르면,
(1) 인공어초의 기본 골조만을 H빔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하고, 기본골조를 연결시키는 연결보, 기둥을 합성수지재 빔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하중을 줄여이동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2) 보들, 기둥들, 보와 기둥으로 형성되는 격벽면에 판상부재를 부착하거나 로프를 망상으로 연결하여 인공어초에 음영을 제공하여 어패류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판상부재와 로프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어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합성수지재 빔에 양단부를 제외한 모서리에 판상부재의 모서리가 거치될 수 있도록 모서리홈을 형성함으로써 판상부재가 안정적으로 합성수지재 빔에 부착되도록 한다.
(4) 인공어초의 골조에 양식수단들이 적재된 적재함으로 설치하여 양식함의 목적에 따라서 어류의 이동로, 산란장소, 패류를 저장 또는 양식 가능하도록 한다.
(5) 본 고안에서 판상부재 및 합성수지재 빔을 폐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조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Claims (10)
- 하중지지 목적으로 기둥과 보들로 설치되는 하중부재들, 상기 하중부재들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재 빔들; 상기 합성수지재빔들과 상기 하중부재들에 부착되는 판상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빔은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양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판상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일정폭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합성수지판에 임의의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의 저면은 H빔의 하중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H빔의 보들로 이루어진 공간들에 선택적으로 콘크리트가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재의 보들과 기둥, 이들에 연결된 합성수지재 빔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벽면들에 판상부재 또는 로프가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빔과 상기 하중부재들에 어류 은둔, 산란용으로 이용되거나 패류를 양식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수단들이 적재된 적재함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하중지지 목적으로 기둥과 보들로 설치되는 하중부재들, 상기 하중부재들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재 빔들; 상기 합성수지재빔들과 상기 하중부재들로 이루어진 보와 기둥들간에 상호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로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빔에는 일정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프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9480U KR200273633Y1 (ko) | 2001-12-20 | 2001-12-20 | 인공어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9480U KR200273633Y1 (ko) | 2001-12-20 | 2001-12-20 | 인공어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1597A Division KR100424708B1 (ko) | 2001-07-12 | 2001-12-20 | 인공어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3633Y1 true KR200273633Y1 (ko) | 2002-05-03 |
Family
ID=7311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9480U KR200273633Y1 (ko) | 2001-12-20 | 2001-12-20 | 인공어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363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3951B1 (ko) * | 2002-12-02 | 2005-06-10 | 세기건설 주식회사 | 다면체 셀로 이루어진 인공어초 |
KR101037976B1 (ko) | 2009-08-07 | 2011-05-30 | 통영시 | 조립식 강재 인공어초 |
-
2001
- 2001-12-20 KR KR2020010039480U patent/KR2002736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3951B1 (ko) * | 2002-12-02 | 2005-06-10 | 세기건설 주식회사 | 다면체 셀로 이루어진 인공어초 |
KR101037976B1 (ko) | 2009-08-07 | 2011-05-30 | 통영시 | 조립식 강재 인공어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4253B1 (ko) | 문어서식 및 산란용 인공어초 | |
KR101868222B1 (ko) | 벤치형 어초 | |
KR100543688B1 (ko) | 다기능성 고층어초 | |
KR200273633Y1 (ko) | 인공어초 | |
JP2008029267A (ja) | 魚礁 | |
KR100838714B1 (ko) |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 |
KR100424708B1 (ko) | 인공어초 | |
KR100996879B1 (ko) |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 |
KR102225234B1 (ko) |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 |
KR100464669B1 (ko) | 피라미드식 강제어초 | |
JP2006345721A (ja) | 餌料生物増殖構成体、餌料生物増殖装置及び集魚装置 | |
KR100493951B1 (ko) | 다면체 셀로 이루어진 인공어초 | |
KR100580546B1 (ko) | 고기능성 강제어초 | |
KR100474559B1 (ko) | 폐 콘크리트 침목과 형강을 이용한 인공어초 | |
JP2003038060A (ja) | 人工魚礁 | |
JPH029650Y2 (ko) | ||
KR200306256Y1 (ko) | 다면체 셀로 이루어진 인공어초 | |
CN212393611U (zh) | 一种多功能人工鱼礁 | |
EP1116437A2 (en) | Cage for fish-farming | |
KR200271829Y1 (ko) | 착저 채롱식 가두리 양식 장치 | |
KR20130091155A (ko) | 중층 가두리 전복양식용 쉘터 조립구조물 | |
JPS6040137Y2 (ja) | 魚礁 | |
CN220308131U (zh) | 双层塔式八边形中空诱集礁 | |
KR100729494B1 (ko) |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한 인공어초 | |
CN219593402U (zh) | 一种井字型堆积的鱼礁组合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