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68Y1 -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68Y1
KR200273568Y1 KR2020020003062U KR20020003062U KR200273568Y1 KR 200273568 Y1 KR200273568 Y1 KR 200273568Y1 KR 2020020003062 U KR2020020003062 U KR 2020020003062U KR 20020003062 U KR20020003062 U KR 20020003062U KR 200273568 Y1 KR200273568 Y1 KR 200273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rtition
container
storage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0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02000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68Y1/en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에서 벼를 수확한 논이나 밭 또는 집의 마당이나 주변 빈터에 이동설치하여 수확한 벼를 자연풍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콘테이너를 이용한 벼 자동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출입문과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콘테이너 지붕에서 벼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와; 콘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된 출입문을 기준하여 그 내부를 출입공간과 저장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바닥에서부터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구획칸막이와;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높이로 콘테이너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저장공간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바닥체 위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낱알이 빠지지 않게 저장된 벼를 받쳐주는 지지망체와;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에 벼의 저장량에 따라 적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상으로 적층 및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와; 상기 적층칸막이들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탈할 수 있는 끼움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며, 출입공간측 상부에서 적층칸막이를 삽탈시킬 수 있게 하는 삽탈공간이 형성되도록 길고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양측에 각기 한쌍씩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저장공간측 콘테이너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뚫어진 구멍에 쥐 및 각종 해충의 침입은 차단하면서 외부 공기의 도입은 허용하는 차단망체가 설치된 통풍공과; 상기 통풍공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공간으로 송풍시켜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벼를 건조시키는 송풍기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automatic dryer using a container designed to dry the harvested rice in a natural wind by moving it to a rice field or a field or a house yard or surrounding vacant land where rice was harvested in rural areas. An inlet for injecting rice from the roof of a conventional container; A partition partition installed at a low height from the bottom to divide the interior into an access space and a storage space based on an entrance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A support net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a support bottom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t an upper height of the partition partition to support the stored rice so that the grain does not fall out; A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artition partition so as to be stacked and disassembl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adjust the stacking height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rice; It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insertion gap that can be slidably inserted both ends of the laminated partition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nd has a long and short length to form an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the laminated parti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space. And door fram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partition partition; A ventilation hole provided with a blocking network to allow the introduction of outside air while preventing the invasion of rats and various pests into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n the storage space side; It is designed to be fixed to the ventilation hole to suck the outside air to blow into the storage space to configure a blower for drying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Description

콘테이너를 이용한 벼 자동건조기{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Automatic rice dryer using container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본 고안은 농촌에서 벼를 수확한 논이나 밭 또는 집의 마당이나 주변 빈터에 이동설치하여 수확한 벼를 자연풍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콘테이너를 이용한 벼 자동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automatic dryer using a container designed to dry the harvested rice in a natural wind by moving installed in the yard or surrounding vacant land of rice fields or fields or homes harvested from rural areas.

일반적으로 벼 수확기에 논에서 수확한 벼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가 되게 건조하고 있다.In general, since the rice harvested from the paddy field during the rice harvester contains a lot of moisture, it is dried to a state that contains a suitable moisture.

종래 농촌에서는 수확한 벼를 농로나 도로에 펼쳐놓는 수단으로 벼를 햇볕과 자연바람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보일러가 설치된 건조구조물을 이용하여 열풍으로 건조하고 있다.Conventionally, in the rural areas, the rice is dried by sunlight and natural wind by means of spreading the harvested rice on farm roads or roads, or by hot air using a drying structure in which a boiler is installed.

전자의 경우는 수확한 벼를 농로 및 도로까지 운반한 후 벼를 펼쳐주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벼가 농로 및 도로를 점령하게 되므로 인해서 경운기를 비롯하여 차량의 통해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농로 및 도로에 벼를 건조하고 있는 도중에 날씨가 급변하여 비라도 올 경우에는 펼쳐놓았던 벼를 신속하게 거두어야 하는 불편이 뒤따랐으며, 농로 및 도로에서 벼를 건조할 때에는 그 주변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많이 묻게되어 건조 후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도로를 통행하는 경운기 또는 차량이 건조 중인 벼를 밟고 지나가는 사례도 종종 발생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In the former case, it i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spread the rice after transporting the harvested rice to the farm roads and roads, and also because the rice occupies the farm roads and roads, there are many obstacles to the cultivator and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weather is suddenly changed during the drying of the rice paddies on the farm roads and roads, it is inconvenient to quickly collect the rice that has been laid out in the rain, and when the rice is dried on the farm roads and roads.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ot of dust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area, so that it is cumbersome to remove the dust after drying, and in particular, a cultivator or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road often steps on the rice being dried.

후자의 경우는 건조구조물에 벼를 저장한 상태에서 건조작업을 진행하므로 벼를 안전에게 보호하면서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은 제공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건조구조물은 일정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논에서 수확한 벼를 건조구조물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되며, 특히 보일러를 가동하는데 소요되는 연료비가 많이 들게되어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보일러의 열풍으로 건조하기 때문에 벼의 수분을 적당히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가 발생되어 벼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In the latter case, since rice is stored in the dry structure, the drying work is carried out, so that the rice can be safely protected and dried. However, since most dry structures are fixedly installed in a fixed place, The inconvenience of transporting the harvested rice to the dry structure is accompanied, and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due to the high fuel cost to operate the boiler, and also because it is dried by the hot air of the boiler It is pointed out that a problem occurs that the quality of the rice can not be controlled properly, which can reduce the quality of ri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이동설치가 용이한 콘테이너를 이용함에 있어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자연바람으로 벼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건조된 벼를 장기간동안 저장도 할 수 있는 벼 자동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fficient drying of rice by the natural wind blown from the blower without using fuel in using a container tha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in view of the above matters, and simultaneously to dry the dried rice for a long time. It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n automatic rice dryer for storag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출입문과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콘테이너 지붕에서 벼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와;An inlet through which rice can be fed from a common container roof where doors and windows are installed;

콘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된 출입문을 기준하여 그 내부를 출입공간과 저장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바닥에서부터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구획칸막이와;A partition partition installed at a low height from the bottom to divide the interior into an access space and a storage space based on an entrance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높이로 콘테이너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저장공간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바닥체 위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낱알이 빠지지 않게 저장된 벼를 받쳐주는 지지망체와;A support net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a support bottom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t an upper height of the partition partition to support the stored rice so that the grain does not fall out;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에 벼의 저장량에 따라 적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상으로 적층 및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와;A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artition partition so as to be stacked and disassembl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adjust the stacking height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rice;

상기 적층칸막이들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탈할 수 있는 끼움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며, 출입공간측 상부에서 적층칸막이를 삽탈시킬 수 있게 하는 삽탈공간이 형성되도록 길고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양측에 각기 한쌍씩 설치되는 문틀과;It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insertion gap that can be slidably inserted both ends of the laminated partition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nd has a long and short length to form an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the laminated parti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space. And door fram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partition partition;

상기 저장공간측 콘테이너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뚫어진 구멍에 쥐 및 각종 해충의 침입은 차단하면서 외부 공기의 도입은 허용하는 차단망체가 설치된 통풍공과;A ventilation hole provided with a blocking network to allow the introduction of outside air while preventing the invasion of rats and various pests into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n the storage space side;

상기 통풍공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공간으로 송풍시켜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벼를 외부 공기로 건조시키는 송풍기;A blower fixedly installed at the ventilation hole to suck outside air and blow air into the storage space to dry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ith outside air;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벼 자동건조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rice automatic drye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적층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aminated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콘테이너 2 : 투입구1: container 2: inlet

3 : 구획칸막이 4 : 지지바닥체3: partition partition 4: support bottom body

5 : 지지망체 6 : 문틀5: support network 6: door frame

6a,6b : 기둥 7 : 적층칸막이6a, 6b: pillar 7: laminated partition

8 : 통풍공 9 : 송풍기8: ventilator 9: blower

11 : 출입문 12 : 창문11: door 12: window

13 : 하부 지지골조 15 : 출입공간13: lower support frame 15: access space

16 : 저장공간 17 : 지붕16: storage space 17: roof

18 : 바닥 19 : 통풍공간18: floor 19: ventilation space

21 : 뚜껑 61 : 삽탈공간21: lid 61: inserting space

62 : 끼움틈새 81 : 차단망체62: fitting gap 81: blocking network

91 : 지지대91: support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벼 자동건조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적층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1 is a front view of a rice automatic drye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aminated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 1은 콘테이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콘테이너(1)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테이너와 같이 철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으로, 전면의 일측에는출입문(11)이 형성되어 있고, 벽면에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된 창문(12)이 선택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지지골조(13)에는 지게차로의 이동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포크끼움공(14)이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ontainer, and the container 1 is made of a steel structure like a conventionally used container, and an access door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d a sliding door or a sliding door is formed on a wall. The window 12 is installed in the selected position, the lower support frame 13 is formed with a fork fitting hole 14 to enable the transport of the forklift.

상기 콘테이너(1)의 내부는 출입문(11)을 기준하여 출입공간(15)과 저장공간(16)으로 구분되는데, 상기한 출입공간(15)은 출입문(11) 내측에 비교적 좁은 공간으로 형성되는 한편, 저장공간(16)은 출입문(11)을 벗어난 콘테이너(1) 내부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하여 비교적 많은 량의 벼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 is divided into an access space 15 and a storage space 16 on the basis of the door 11, wherein the access space 15 is form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inside the door 11. 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space 16 is formed so as to occupy mos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1 outside the door 11 to sto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ice.

또한 상기한 출입공간(15)은 출입문(11)을 통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면서 건조가 다된 벼를 인출시키는 공간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access space 15 is used as a space for drawing out the dried rice while freely entering and exiting the worker through the door (11).

상기 콘테이너(1)의 저장공간(16)측 지붕(17)에는 건조하고자 하는 벼를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구(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2)는 뚜껑(21)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roof 17 of the storage space 16 side of the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an inlet (2) for injecting the rice to be dried, the inlet (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lid (21) It is configured to.

상기 콘테이너(1)의 출입공간(15)과 저장공간(16)을 구획하는 경계부분의 바닥(17)에는 낮은 높이의 구획칸막이(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칸막이(3)의 높이를 기준하여 저장공간(16) 하측에는 지지바닥체(4)가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바닥체(4)는 저장공간(16)에 저장되는 벼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각목(角木)이나 철제로 된 앵글(ㄱ자형 철제)이나 찬넬(ㄷ자형 철제) 또는 철제파이프 등이 격자형의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A partition divider 3 having a low height is provided on the bottom 17 of the boundary partitioning the access space 15 and the storage space 16 of the container 1, and the height of the partition divider 3 is increased. On the basis of the storage space 16, the support bottom body 4 is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support bottom body 4 is provide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sufficiently. Wood, iron angle (A-shaped iron), channel (C-shaped iron), or steel pipe are installed in a lattice structure.

상기 지지바닥체(4)의 상면에는 벼의 낱알이 빠지지않도록 하면서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에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그물망체로 된 지지망체(5)가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ttom body 4, a support mesh 5 made of a mesh is provided horizontally so as to smoothly supply air to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while preventing the grain of rice from falling out.

상기 구획칸막이(3)의 상단 양측에는 각기 한쌍으로 된 길고 짧은 두개의 기둥(6a)(6b)이 서로 마주하는 구조의 문틀(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문틀(6)을 이루는 두개의 기둥(6a)(6b)들 중에서 저장공간(16)측에 위치하는 일측 기둥(6a)는 그 상단이 지붕(17)에 맞닿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출입공간(15)측에 위치하는 타측 기둥(6b)은 그 상단이 지붕(17)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삽탈공간(6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ition 3, a door frame 6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pairs of long and short pillars 6a and 6b face each other is installed, and two pillars forming the door frame 6 are formed. Of the (6a) and (6b), one side of the pillar (6a) located on the storage space 16 side has a long length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roof 17, and the entrance space (15) The other column (6b) having a short length so that the upp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roof 17 at an appropriate interval so that the insertion space 61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문틀(6)을 형성하는 양측 기둥(6a)(6b)들 사이에는 후술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7)의 양단을 삽입시킬 수 있고 또 빼낼 수 있는 끼움틈새(6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tting gap 62 is formed between both pillars 6a and 6b forming the door frame 6 so th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removed.

상기 양측 문틀(6)에는 다수의 적층칸막이(7)가 설치되는데, 상기 적층칸막이(7)들 각각은 삽탈공간(61)을 통해 끼움틈새(62)로 자유롭게 삽탈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면서 또한 양단이 끼움틈새(62)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줄 수 있는 두께로 된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laminated partitions 7 are installed in both side door frames 6, each of the laminated partitions 7 having a height that can be fre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ap 62 through the insertion space 61, and also Both ends are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that can b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so as to fit the gap (62).

상기 다수의 적층칸막이(7)는 벼의 저장량에 따라서 양측 문틀(6)에 상,하 다단상으로 적층 설치되어 저장공간(16)에 투입된 벼를 안정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장공간(16)에서 건조된 완료된 벼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최상단에 적층된 적층칸막이(7)부터 차례로 문틀(6)에서 분리하여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를 상층부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7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6 in an upper and lower multi-stage phase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rice to stably store ric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6, and a storage space 16. In order to withdraw the dried rice dried in th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door frame 6 in order from the laminated partition (7) stacked on the topmost to extract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from the upper layer.

상기 저장공간(16)이 형성된 콘테이너(1)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공(8)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통풍공(8) 각각에는 쥐나 각종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차단망체(81)가 설치되어 있다.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8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in which the storage space 16 is formed, and each of the ventilation holes 8 is provided with a blocking network 81 to prevent invasion of rats or various pests. It is.

그리고 상기 통풍공(8) 각각의 저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공간(16)을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기(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9)는 지지대(91)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And the bottom of each of the ventilation holes (8) is provided with a blower (9) for sucking the outside air to blow toward the storage space 16, the blower (9) is fixed structure by the support (91) It is installed.

상기 송풍기(9)에서 송풍된 외부 공기는 통풍공(8)을 통해 저장공간(16)의 바닥을 이루는 지지망체(5)와 콘테이너(1)의 바닥(18) 사이에 형성된 통풍공간(19) 전체로 확산되면서 저장공간(16)의 바닥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망체(5)를 통해 저장된 벼 낱알들 사이의 공극을 통해 상향으로 유동하면서 벼를 건조시키게 되며, 저장된 벼의 상층부로 유동하면서 벼를 건조시킨 공기는 저장공간(16)측 및 출입공간(15)측 각각에 설치된 창문(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The outside air blown by the blower (9) is the entire ventilation space (19) formed between the support mesh (5) forming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6 and the bottom (18) of the container (1) through the vent hole (8) The rice is dried while flowing upward through the pores between the stored rice grains through the support mesh 5 forming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6 while being diffused into the dried rice and drying the rice while flowing to the upper layer of the stored ric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s 12 installed on each of the storage space 16 side and the access space 15 side.

한편, 상기 콘테이너(1)의 벽면에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된 설치된 창문(12)들 각각의 내측에는 방충망(120)을 설치하여 파리, 모기 등 각종 해충 및 곤충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the insect repellent screen 120 on the inside of each of the windows 12 of the opening or sliding doors on the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1) is configured to prevent infestation of various pests and insects, such as flies, mosquitoes d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벼를 건조하는 작용을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of drying the ri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콘테이너(1)는 통상과 마찬가지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수확한 벼의 운반이 용이한 논이나 밭으로 운반설치하거나 또는 집의 마당이나 집주변의 빈터 등에 운반설치함에 있어 콘테이너(1)의 바닥(18)에 설치된 통풍공(8)을 통해 외부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도록 지상바닥(G)에서 돌출시킨 고임용돌출부(g)에 콘테이너(1)의 하부 지지골조(13)를 지지되게 하므로서 상기 콘테이너(1)의 바닥(18)이 지상바닥(G)에서 적당한 떨어진 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하부 지지골조(13)와 지상바닥(G) 사이에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As the container 1 can be moved and transported using a forklift as usual, the container 1 can be transported and installed in rice fields or fields where the harvested rice can be easily transported, or installed in a yard of a house or a vacant lot around the house. By supporting the lower support frame 13 of the container (1) to the high hire projection (g) protruding from the ground floor (G) to facilitate the intake of external air through the vent hole (8) installed in the bottom 18 of the Since the bottom 18 of the container 1 is a suitable distance from the ground floor (G), a space for smoothly inflowing outside air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pport frame (13) and the ground floor (G). do.

상기와 같이 콘테이너(1)를 설치한 다음에는 출입문(11)을 열고들어가 출입공간(15)측에서 다수개로 분할된 다수의 적층칸막이(7)를 양측 문틀(6)에 상,하 다단으로 적층시키는데, 상기 적층칸막이(7)들은 출입공간(15)측에 설치된 짧은 길이의 기둥(6b) 상단에 형성된 삽탈공간(61)을 통해서 끼움틈새(62)에 끼워주는 수단으로 원하는 갯수의 적층칸막이(7)들을 문틀(6)에 차례로 적층시키게 되면 상기 문틀(6)에 상,하로 적층설치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7)들은 출입공간(15)과 저장공간(16)을 구획하게 되면서 저장공간(16)의 벽을 형성하게 된다.After the container 1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11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7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on the door space 6 ar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6 in up and down steps. The laminated partitions (7) are a means of fitting the desired number of laminated partitions (62) through the insertion space (61) formed on the top of the short-length column (6b) installed on the entrance space (15) side ( When the 7 is laminated to the door frame 6 in turn, a plurality of laminated partitions 7 stacked up and down on the door frame 6 may divide the access space 15 and the storage space 16 into a storage space ( 16) will form the wall.

상기 적층칸막이(7) 다수개를 적당한 높이까지 적층시킨 후에는 콘테이너(1)의 지붕(17)에 형성된 투입구(2)의 뚜껑(21)을 열고 건조하고자 하는 벼를 투입시키는데, 이때 투입구(2)로 투입되어 저장공간(16)에 쌓이는 벼의 저장량은 그 상층부가 상기 저장공간(16)측에 설치된 창문(12)과 양측 문틀(6)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최상단 적층칸막이(7)보다 낮은 상태가 되게 저장한다.After stacking the plurality of laminated partitions 7 to a suitable height, the lid 21 of the inlet opening 2 formed in the roof 17 of the container 1 is opened and the rice to be dried is introduced. The amount of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and accumulated in the storage space 16 is lower than that of the uppermost stacked partition 7 in which the upper layer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the window 12 and the both side door frames 6 installed on the storage space 16 side. Save the state.

상기와 같이 콘테이너(1)의 저장공간(16)에 건조하고자 하는 벼의 저장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투입구(2)의 뚜껑(21)을 닫아주는 한편, 저장공간(16) 및 출입공간(15)측 각각에 설치된 창문(12)은 열어놓은 상태에서 송풍기(9)를 가동시킨다.After completing the storage operation of the rice to be dried in the storage space 16 of the container 1 as described above, while closing the lid 21 of the inlet 2, the storage space 16 and the access space 15 Each of the windows 12 installed at the) side operates the blower 9 in the open state.

상기 송풍기(9)가 작동하게 되면 외부 공기는 송풍기(9)의 흡입구로 흡입됨과 동시 배출구를 통해 통풍공(8)쪽으로 배출되며, 상기 통풍공(8)으로 배출된 공기는 차단망체(81)를 통과하여 지지망체(5)쪽으로 송풍되는 것이며, 이렇게 송풍된 공기는 통풍공간(19) 전체로 확산되면서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들의 낱알과 낱알 사이에 생긴 공극(틈)을 통해 상향으로 유동하면서 벼를 건조시키게 되므로서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 전체를 고르게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blower 9 is operate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inlet of the blower 9 and discharged toward the ventilation hole 8 through the simultaneous outlet,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ventilation hole 8 passes through the blocking net 81. Air is blown toward the support network 5, and the air blown in such a manner is diffused upwardly through the air gaps (gaps) formed between the grains and the grains of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while spreading throughout the ventilation space 19. As the rice is dried, the entir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is evenly dri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송풍기(9)를 작동시켜서 벼를 건조할 때에는 항시 창문(12)을 열어놓도록 하여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를 건조하면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창문(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하므로서 송풍기(9)에 의하여 송풍되는 바람이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 전체에 고르게 퍼친 상태로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향해 흐르는 작용이 원활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rice is dried by operating the blower 9 as described above, the window 12 is always opened so that air flowing upward while drying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is provided through the window 12. The wind blown by the blower 9 is evenly spread over the entir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ction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ppears smoothly.

한편, 상기와 같이 콘테이너(1)의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를 대기로 건조시키기 때문에 벼의 건조작동은 대체로 맑고 건조한 날씨에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데 이는 맑고 건조한 날씨의 대기에는 수분함량이 적은 상태이므로 벼의 건조가 잘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대기의 수분함량이 많은 습한 날씨에는 건조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습한 날씨의 경우에는 송풍기(9)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습한 상태이므로 벼를 건조하는 작용보다 오히려 벼에 습기를 제공하는 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of the container 1 is dried to the atmosphere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operation of the rice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in a clear and dry weather, which is the moisture content in the atmosphere of clear and dry weather In this state, rice can be dried well. However, it is advisable to temporarily stop the drying operation in humid weather whe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tmosphere is high, because in the case of wet weather, the wind blown from the blower 9 is humid, providing moisture to the rice rather than drying the rice. Care must be taken because there is a risk of action.

그리고, 콘테이너(1)의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벼의 건조작업이 완료되면 출입공간(15)측에서 양측 문틀(6)에 다단으로 적층 설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7)의 최상단의 것부터 상향으로 이동시켜 삽탈공간(61)을 통해 해체하게 되면저장공간(16)에 저장된 상층부의 벼부터 출입공간(15)으로 쏟아지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출입공간(15)에서 벼를 포대에 담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drying operation of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of the container 1 is completed, from the top of the plurality of laminated partitions 7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both side door frames 6 at the access space 15 side. When dismantled through the inserting space 61 by moving upwards, since the upper part of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6 is poured into the access space 15, the worker puts the rice in the bag in the access space 15. It can be done conveniently.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저장공간(16)에 벼를 자동으로 퍼올리는 버켓승강기 등을 설치하게 되면 저장공간(16)에서 건조가 완료된 벼의 수거작업과 포대에 담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if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6, such as a bucket lift to automatically spread rice in the storage space (16) more than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finished rice and the bagging operation It can be done convenient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벼를 건조하는 건조기 자체를 기존의 콘테이너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논이나 밭 또는 집의 마당이나 주변에 이동 및 운반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벼의 건조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기에는 공터에 설치하여 별도의 보관창고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벼를 건조하는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건조된 벼를 출하할 때까지 보관하는 동안에 쥐나 각종 해충이 콘테이너로 침입하지 못하게 할 수 있어 벼 및 기타 보관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벼를 건조할 때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기의 송풍작동만으로 외부 공기를 콘테이너의 저장공간 내부로 송풍시켜서 저장된 벼 사이로 고르게 유동되게 하는 작용으로 벼를 자동 건조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벼를 건조할 수 있게 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대기를 이용하여 벼를 건조시키게 되므로 벼가 과건조되는 사례없이 수분이 적절하게 함유된 상태로 건조할 수 있게 되어 건조과정을 거친 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yer itself to dry the rice using the existing container, it is not only easy to move and transport and install in the yard or around the paddy field, field or house, but also to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of the rice. When not in use, it can be installed in a vacant lot and used as a separate storage warehouse. Also, it can prevent rats and various pests from entering the container during the period of drying rice as well as until it is shipped. And other storages can be stored safely, especially when drying the rice to blow the outside air into the container storage space by using only the blower operation of the blower without using a separate fuel to flow evenly between the stored rice Rice can be dried automatically with low cost Antistatic effect can be expected. Also, since the rice is dried using the air, the rice can be dried with adequate moisture without overdrying the ric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dried rice. It is a practical design tha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ect an effect.

Claims (1)

출입문과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콘테이너 내부에 벼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구와;An inlet provided on the roof to inject rice into a common container in which doors and windows are installed; 콘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된 출입문을 기준하여 그 내부를 출입공간과 저장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바닥에서부터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구획칸막이와;A partition partition installed at a low height from the bottom to divide the interior into an access space and a storage space based on an entrance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높이로 콘테이너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저장공간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바닥체 위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낱알이 빠지지 않게 저장된 벼를 받쳐주는 지지망체와;A support net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a support bottom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t an upper height of the partition partition to support the stored rice so that the grain does not fall out;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에 벼의 저장량에 따라 적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상으로 적층 및 단계적으로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적층칸막이와;A plurality of stacked partition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artition partition so as to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dismantled in stages so as to adjust the stacking height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rice; 상기 적층칸막이들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끼움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며, 출입공간측 상부에서 적층칸막이를 삽탈시킬 수 있게 하는 삽탈공간이 형성되도록 길고 짧은 길이를 가지는 두개의 기둥들이 상기 구획칸막이의 상단 양측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는 문틀과;It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fitting gap that can accommodate both ends of the laminated partitions slidably up and down, and has a long and short length to form an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and removing the stacked parti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access space side. A door frame in which two pillar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partition; 상기 저장공간측 콘테이너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뚫어진 구멍에 쥐 및 각종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 공기의 도입은 허용하는 차단망체가 설치된 통풍공과;A ventilation hole provided with a blocking network to allow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air while preventing the invasion of rats and various pests into at least one hole drilled in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side container; 상기 통풍공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공간으로 송풍시켜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벼를 외부 공기로 건조시키는 송풍기;A blower fixedly installed at the ventilation hole to suck outside air and blow air into the storage space to dry r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ith outside air;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를 이용한 벼 자동건조기.Rice automatic drying machine us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KR2020020003062U 2002-01-31 2002-01-31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KR2002735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62U KR200273568Y1 (en) 2002-01-31 2002-01-31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62U KR200273568Y1 (en) 2002-01-31 2002-01-31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68Y1 true KR200273568Y1 (en) 2002-05-03

Family

ID=7311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62U KR200273568Y1 (en) 2002-01-31 2002-01-31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6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6372A (en) * 2024-03-19 2024-04-19 江西工业贸易职业技术学院(江西省粮食干部学校、江西省粮食职工中等专业学校) Tedding device for grain storage
CN117906372B (en) * 2024-03-19 2024-05-31 江西工业贸易职业技术学院(江西省粮食干部学校、江西省粮食职工中等专业学校) Tedding device for grain sto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6372A (en) * 2024-03-19 2024-04-19 江西工业贸易职业技术学院(江西省粮食干部学校、江西省粮食职工中等专业学校) Tedding device for grain storage
CN117906372B (en) * 2024-03-19 2024-05-31 江西工业贸易职业技术学院(江西省粮食干部学校、江西省粮食职工中等专业学校) Tedding device for grain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402B2 (en) Crop cover
US20220039333A1 (en) Greenhouse sidewall ventilation system
AU20142594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viary
FI125104B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the window arrangement in a farm production building
US4483127A (en) Cotton module cover
KR101749512B1 (en) A bee house container structure
KR200273568Y1 (en) Auto Rice dryer using container
US1732400A (en) Sheet-metal grain bin
US6360493B1 (en) Weep hole insect barrier
EP1553816B1 (en) Method of removing warm and/or moist air from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greenhouse
CN209806606U (en) Prevent typhoon and prevent insect pest heat dissipation lift removal organic vegetable planting canopy
CN103190254B (en) Ventilating bins for processing wet grains of farmers
US20070189642A1 (en) Firewood container
CN203152063U (en) Ventilation bin of wet grain treatment for farmer
EP1177721A3 (en) Adjustable row crop enclosure system
US20120291371A1 (en) Portable Storage Structure
CN206078170U (en) Many function combination formula grain storage device
CN216796461U (en) Flue-cured tobacco leaf storage bin
CN216834866U (en) Storage device that ginger cellar for storing things preserved ginger and prevent mouldy
CN218219561U (en) Wardrobe with ventilation and moisture-proof functions
US7000753B2 (en) Bulkhead-mounted wood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JPS6323336B2 (en)
KR102633993B1 (en) Window structure for both sliding type insect screen and fine net
CN108457580A (en) A kind of mosquito-proof ventilation fence
JPS5920628Y2 (en) Grass storage device in the grass drying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