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486Y1 - 간편한 복합 이음관 - Google Patents

간편한 복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486Y1
KR200273486Y1 KR2020020001314U KR20020001314U KR200273486Y1 KR 200273486 Y1 KR200273486 Y1 KR 200273486Y1 KR 2020020001314 U KR2020020001314 U KR 2020020001314U KR 20020001314 U KR20020001314 U KR 20020001314U KR 200273486 Y1 KR200273486 Y1 KR 200273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outlet
joint pip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옥
Original Assignee
이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옥 filed Critical 이재옥
Priority to KR2020020001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486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입구와 출구가 각각 한개인 이음관과는 달리 입구와 출구가 각각 두개로 이루어져 복잡한 형태의 배관 구성 작업을 쉽게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복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입구와 출구가 각각 한개인 "L"자형 이음관(엘보)을 쌍으로 복합 구성하여 입구와 출구가 두개인 이음관을 구성하고 그 일측면에 펌프, 파이프 등의 구성요소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기름, 전기겸용 난방장치 등의 복잡한 배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시공하는데 있어 간편하고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편한 복합 이음관{A handy compound pipe for joining}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입구와 출구가 각각 한개인 이음관과는 달리 입구와 출구가 각각 두개로 이루어져 복잡한 형태의 배관 구성 작업을 쉽게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복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음은 배관 공정에 있어서 편리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되므로 배관 구성에 맞는 적절한 형태의 이음관을 사용하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입구와 출구가 각각 한개씩 구비되어 두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L"자형 또는 일자형 이음관이나 세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T"자형 이음관이 주로 쓰이고 있으므로 기름, 전기겸용 난방장치 등의 복잡한 배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이음관이 없어서 시공에 어려움이있었다.
특히,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보일러(9), 난방배관(11), 펌프(12) 등으로 구성되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름보일러(9) 난방장치에 전기보일러(10)를 추가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전기겸용 난방장치를 구성하려고 할 때에는 난방배관(11)의 일부를 여러번 절단하여 전기보일러(10)에 연결되는 두개의 파이프와 난방배관(11)의 절단된 부분을 각각 연결하여야 했으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크며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름, 전기겸용 난방장치 등의 복잡한 배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시공하는데 있어 간편하고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편리성을 주는 복합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구와 출구가 각각 한개인 "L"자형 이음관(엘보)을 쌍으로 복합 구성하여 입구와 출구가 두개인 이음관을 구성하고 그 일측면에 펌프, 파이프 등의 구성요소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플랜지를 형성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을 위에서 본 설명도
1B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을 앞에서 본 설명도
1C는 도 1 A의 A-A'선의 단면도
1D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의 우측면도
1E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의 좌측면도
1F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을 밑에서 본 설명도
도 2A는 설치된 기름보일러 난방장치에 전기보일러를 겸용으로 추가 설치하기 전의 상태도
2B는 종래의 기름, 전기 겸용 난방장치의 개략도
2C는 본 고안 복합 이음관을 이용한 기름,전기 겸용 난방장치의 개략도
<본 고안의 주요부의 부호 설명>
1 : 좌측엘보 2 : 우측엘보
3a, 3b : 입구 4a, 4b : 출구
5 : 수나사부 6a, 6b : 암나사부
7 : 플랜지 8a, 8b : 체결용 볼트구멍
9 : 기름보일러 10 : 전기보일러
11 : 난방배관 12 : 펌프
13 : 전기보일러의 출수파이프 14 : 전기보일러의 입수파이프
15 : 난방 출수파이프 16 : 난방 입수파이프
100 : 복합 이음관
본 고안의 복합 이음관(100)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복합 이음관(100)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엘보(1)와 우측엘보(2)가 서로 등을 맞대고 있는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다.
좌측엘보(1)에는 입구(3a)와 출구(4a)가 구비되어 있으며, 입구(3a)의 내주면에는 파이프 등의 수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출구(4a)의 외주면에는 보일러, 물탱크, 파이프 등의 암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5)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엘보(2)에는 입구(4b)와 출구(3b)가 구비되어 있으며, 입구(4b)에는 펌프, 파이프 등의 구성요소들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랜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7)에는 체결용 볼트구멍(8a)(8b)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3b)의 내주면에는 파이프 등의 수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6b)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좌측엘보(1)의 입구(3a)와 출구(4a)는 서로 그 기능이 바뀔수 있으며, 우측엘보(2)의 입구(4b)와 출구(3b)도 서로 그 기능이 바뀔 수 있다.
본 고안의 복합 이음관(100)을 기름, 전기 겸용 보일러에 적용한 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름보일러(9) 난방장치의 난방배관의 한 곳을 절단하여, 본 고안의 복합 이음관(100)의 좌측엘보(1)의 입구(3a)는 전기보일러의 출수파이프(13)와 연결하며, 좌측엘보(1)의 출구(4a)는 기름보일러(9)측의 난방 입수파이프(16)와 연결하고, 우측엘보(2)의 입구(4b)는 펌프(12)측에서 나오는 난방출수파이프(15) 또는 펌프(12)와 직접 연결하며, 우측엘보(1)의 출구(3b)는 전기보일러의 입수파이프(14)와 연결되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전기 겸용 난방장치가 구성된다.
본 고안은 통상의 입출구가 각각 한개인 이음관과는 달리 한 쌍의 "L"자 형의 이음관(엘보)을 서로 등을 맞대고 있는 모양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펌프, 파이프 등의 구성요소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기름, 전기겸용 난방장치 등의 복잡한 배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편리성을 제공하며, 특히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름보일러 난방장치에 전기보일러를 추가하여 기름, 전기 겸용 난방장치를 구성할 때 난방배관의 일부를 여러번 절단할 필요 없이 단 한번의 절단작업으로 편리하게 기름, 전기 겸용 난방장치가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잡한 배관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좌측엘보(1)와 우측엘보(2)가 서로 등을 맞대고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엘보(1)에는 입구(3a)와 출구(4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3a)에는 파이프 등의 수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구(4a)에는 보일러, 물탱크, 파이프 등의 암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엘보(2)에는 입구(4b)와 출구(3b)가 구비되어 있고 입구(4b)의 외주에는 볼트구멍(8a)(8b)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3b)에는 암나사부(6b)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복합 이음관.
KR2020020001314U 2002-01-16 2002-01-16 간편한 복합 이음관 KR200273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14U KR200273486Y1 (ko) 2002-01-16 2002-01-16 간편한 복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14U KR200273486Y1 (ko) 2002-01-16 2002-01-16 간편한 복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486Y1 true KR200273486Y1 (ko) 2002-04-26

Family

ID=7305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14U KR200273486Y1 (ko) 2002-01-16 2002-01-16 간편한 복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9739B2 (en) Corrugated tubing fitting
US6832790B2 (en) Water tight three piece coupling for electrical conduits
WO2004046602A8 (en) Clamping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KR200273486Y1 (ko) 간편한 복합 이음관
US6695353B1 (en) Sealed fitting for use with corrugated tubing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CN210263294U (zh) 一种市政用下水道
US20160010774A1 (en) Nipple with flanged end to couple urinal to waste line
CA2092728A1 (en) Stab joint coupler
AU1257601A (en) A conduit for plumbing fittings
JP2002048416A (ja) 浴槽配管接続装置
KR200270224Y1 (ko) 수도배관 고정구
ATE254221T1 (de) Anschluss für einen wasserzähler
CN215172977U (zh) 输液管道系统
JPH0237889Y2 (ko)
JPH08270848A (ja) カウンターにおける配管構造
JP4120995B2 (ja) 管接続装置
KR200234948Y1 (ko) 이음관의 유동 방지장치
KR200226892Y1 (ko) 접이형 플랜지가 일체로 부착된 관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960000444Y1 (ko) 배관 연결구조
KR200251315Y1 (ko) 냉.온수도전의연결구조
KR200357103Y1 (ko) 배관의 분기관 연결피팅
KR880000489Y1 (ko) 펌프용 흡입 및 토출구의 관체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