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296Y1 - 생수 안전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생수 안전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296Y1
KR200273296Y1 KR2020020000416U KR20020000416U KR200273296Y1 KR 200273296 Y1 KR200273296 Y1 KR 200273296Y1 KR 2020020000416 U KR2020020000416 U KR 2020020000416U KR 20020000416 U KR20020000416 U KR 20020000416U KR 200273296 Y1 KR200273296 Y1 KR 20027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bottled
water
discharge hole
pack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포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포유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포유통
Priority to KR2020020000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296Y1/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생수통을 생수배출기에 정착할 때 개폐부재를 눌러주어 생수가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된 생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끼움식 누름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해지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수 안전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생수통 입구에 씌워진 상태로 생수배출기의 투입부에 얹혀지는 생수통받침대의 하단에는 생수배출공을 갖는 마개부재가 결합되고, 마개부재의 생수배출공에는 승하강 가능하게 개폐부재가 탄성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끼워지며, 생수배출기의 투입부에는, 그 테두리가 생수배출기의 투입부에 걸려 지지되면서 생수통받침대와 밀착·패킹시키며 하부 중앙에 생수배출공이 형성된 호퍼형의 패킹커버가 끼워지는 생수배출장치에 있어서, 패킹커버의 생수배출공에는,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각 날개의 사이로 생수배출구를 이루며 생수통을 생수배출기에 정착할 때 적어도 그 상단부가 생수통받침대의 개폐부재를 눌러줄 수 있는 높이만큼 상단부로부터 내려온 위치에는 패킹커버의 생수배출공 입구 측벽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누름부재를 상부로부터 끼워 구성하며, 패킹커버의 생수배출공 하부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외측에 냉수통과 온수통으로 생수를 분지시키기 위한 분지관을 끼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수 안전배출장치{Apparatus to exhaust natural water safely}
본 고안은 생수 안전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통 조립체를 생수배출기에 정착할 때 누수방지캡의 개폐부재를 눌러주어 생수가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된 생수가 하부의 냉수통 또는 온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끼움식 누름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해지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생수는 미생물과 광물성 미네랄 등의 무기질을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활수인 반면에 끓인 물과는 달리 생수배출기를 통하여 저장, 배출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인 세균이 증식되기에 가장 좋은 환경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생수는 생수통에 담겨져 밀봉된 상태로 업소나 가정에 공급되고 별도의 생수배출기의 투입부에 생수통을 개봉하여 얹어 넣고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하여 음용하고 있으나, 생수배출기에 생수통을 뒤집어 얹는 과정에서 대부분은 불가분 물을 흘리게 되고, 생수배출기의 물받이 부위가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있어 생수통을 올려놓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생수를 여러 차례 배출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생수통 내부로 유입되어 생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1-78227 호에서 생수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와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관을 갖는 생수통받침대를 생수통에 씌워 구성하고, 생수배출기의 투입부에 씌워지는 별도의 패킹커버를 마련하되, 패킹커버의 테두리에는 생수통과 밀착·패킹시킬 수 있도록 패킹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며, 패킹커버의 중앙부에는 생수를 생수배출기의 온수통 또는 냉수통으로 분지시키는 분지관을 나합하여 분지관의 상단부가 생수통받침대의 개폐부재를 눌러주어 생수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킹커버에 의해 생수배출기의 투입부가 완전 밀폐되어 세균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공기유입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적인 생수배출기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패킹커버에 분지관이 삽입 고정되므로 생수배출기로부터 인출되는 별도의 물배출관이 필요없어져 컴팩트한 생수배출구조를 가질 수 있는 생수 안전배출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1-78227 호에 따른 생수 안전배출장치는 생수를 냉수통과 온수통으로 분지시켜주는 분지관을 구성함에 있어, 관 상단부는 폐쇄되게 하고, 측벽에는 다수의 물배출공이 형성되게 하며, 그 하부 외측에 나사가 형성되게 하는 것임은 물론 생수통받침대의 개폐부재를 눌러주어야 하므로 관 전체가 어느 정도의 강성을 보장해야 하는 것이므로 분지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고 고가의 재질이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증가되었으며, 또한 분지관의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패킹커버의 하단 중앙부 내측에도 나사를 형성해야 하므로 이 역시 그 제작이 어려워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패킹커버는 호퍼형으로 그 하부 중앙에 생수배출공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패킹커버의 생수배출공 내측에는 생수가 하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날개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그 중간부에는 생수배출공 입구 측벽에 걸리도록 걸림턱을 형성한 누름부재를 삽입 설치하며, 패킹커버의 생수배출공 하부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분지관을 끼워 구성함으로써 생수의 배출은 원활히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패킹커버, 분지관의 구조가 간단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수 안전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 안전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받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커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유입방지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 안전배출장치가 설치된 생수배출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생수통 2 : 생수배출기 3 : 투입부
4 : 생수통받침대 5 : 공기필터 6 : 공기유입관
7,17 : 생수배출공 8 : 마개부재 9 : 개폐부재
10 : 탄성부재 11 : 패킹커버 11a : 돌출부
12 : 플렌지 13 : 패킹부재 14 : 냉수통
14a,15a : 안전밸브 15 : 온수통 16 : 분지관
18 : 석영관 19 : 자외선램프 20 : 리드선
21 : 피복관 22 : 캡부재 23 : 볼부재
24 : 공기유통공 25 : 격리판 26 : 스토퍼
27 : 지지대 101 : 누름부재 102 : 날개
103 : 생수배출구 104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생수 안전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특허출원 제 2001-78227 호와 동일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생수통(1)의 입구에 씌워진 상태로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얹혀지는 생수통받침대(4)의 하부에는 생수통(1) 내부를 살균시키는 살균수단과, 일단부에 공기필터(5)를 가지고 타단부에 생수유입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생수통(1)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며 생수통받침대(4)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다단 절곡된 공기유입관(6)이 각각 결합되고, 생수통받침대(4)의 하단에는 소정 공간을 두고생수배출공(7)을 갖는 마개부재(8)가 결합되며, 마개부재(8)의 생수배출공(7)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9)가 압축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10)를 개재한 상태로 생수배출공(7)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씌워지는 호퍼형의 패킹커버(11)가 마련되어 여기에 생수통(1)과 생수통받침대(4)가 얹혀지게 되며, 패킹커버(11)의 테두리에는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 테두리에 걸리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플렌지(12)가 형성되고, 플렌지(12)의 상부에는 생수통받침대(4)와 밀착·패킹시킬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유연한 합성수지 등으로 되어 패킹성능을 갖는 패킹부재(13)가 일체로 형성되며, 패킹커버(11)의 하부 중앙에는 생수배출공(17)이 형성된다.
이때, 살균수단은 공지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석영관(18)의 내측에 자외선램프(19)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 리드선(20)은 생수통받침대(4) 측벽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피복관(21)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고, 생수유입방지수단은 도 4와 같이 공기유입관(6)의 토출측 단부에 나선 체결되는 중공의 캡부재(22)와, 캡부재(22)내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 볼부재(23)와, 볼부재(23)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공기유통공(24)을 갖는 격리판(25)과, 볼부재(23)의 유동 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2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본 고안의 특징부를 이루는 하기와 같은 구성이 부가된다.
즉,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에는, 도 5와 같이 적어도 3방향 이상, 바람직하게는 3방향의 날개(102)가 형성되어 각 날개(102)의 사이로 생수배출구(103)을 이루며 생수통(1)을 생수배출기(2)에 정착할 때 적어도 그 상단부가 생수통받침대(4)의 개폐부재(9)를 눌러줄 수 있는 높이만큼 상단부로부터 내려온 위치에는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 입구 측벽에 걸리도록 걸림턱(104)이 형성된 누름부재(101)를 상부로부터 끼워 구성하며,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 하부측으로 돌출부(11a)를 형성하여 그 외측에 냉수통(14)과 온수통(15)으로 생수를 분지시키기 위한 분지관(16)을 끼워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4a, 15a는 냉수통과 온수통에 각각 결합되어 과도한 압력이 걸릴 때 그 압력을 외측으로 빼내주어 적정압력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안전밸브를 나타내고, 27은 석영관과 공기유입관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생수 안전배출장치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수통(1)을 개봉하여 살균수단과 공기유입관(6)을 갖는 생수통받침대(4)를 씌우게 되면 개폐부재(9)는 탄성부재(10)의 탄성력에 의하여 마개부재(8)의 생수배출공(7)을 막아주는 상태에 있게 되며, 생수유입방지수단의 볼부재(23)는 공기유입관(6) 내부의 수압에 의하여 밀려 격리판(25)의 공기유통공(24)을 막아주게 되므로 공기유입관(6) 내부로의 생수 유입도 방지된다.
한편, 생수통(1)이 얹혀지는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는 패킹커버(11)를 씌우게 되는데, 패킹커버(11)를 씌우기 전에 미리 분지관(16)의 하부 양측을 냉수통(14)과 온수통(15)에 각각 고정하고 상부 합관 부위는 패킹커버(11)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11a)의 외측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패킹커버(11)를 형성할 때에는 별도의 나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제작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분지관(16)은 특별한 형상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원활한 삽입을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면 되므로 그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패킹커버(11)에 분지관(16)을 완전히 삽입한 후에는 패킹커버(11)의 분지관(16) 삽입위치 반대측으로부터 누름부재(101)를 그 걸림턱(104)이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 입구부에 걸릴 때까지 끼우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패킹커버(11)를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얹어놓아 패킹커버(11)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플렌지(12)가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 테두리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누름부재(101)는 그 끼움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면서 각 날개(102)의 사이로 생수배출구(103)를 형성해야 하므로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날개(102)를 갖게 구성할 수 있는데, 구조적인 안정성, 안정적인 개폐부재(9) 누름동작 및 생수 배출동작, 제조공정 등을 감안하여 3방향으로 날개(10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생수통받침대(4)가 씌워진 생수통(1)을 뒤집어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얹어놓게 되면 생수통받침대(4)의 외곽면이 패킹커버(11)의 테두리와 접촉할 때 패킹커버(11)의 플렌지(12)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재(13)를 그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눌러주게 되므로 생수통받침대(4)와 패킹커버(11)의 사이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어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를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세균의 오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생수통(1)을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 엄밀히 말하면 패킹커버(11)의 상부에 얹어놓게 되면 이와 동시에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에 돌출되게 끼워진 누름부재(101)의 상단부가 생수통받침대(4)의 개폐부재(9)를 눌러주게 되므로 마개부재(8)의 생수배출공(7)이 개방되어 생수통(1)으로부터 생수가 1차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배출된 생수는 누름부재(101)의 각 날개(102) 사이의 생수배출구(103)를 통해 2차 배출되어 분지관(16)을 통해 냉수통(14) 또는 온수통(15)으로 분지되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생수통(1)으로부터 생수가 원활히 배출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며, 이러한 외부공기의 유입은 공기유입관(6)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생수통(1) 내부의 생수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유입관(6)의 유입측 단부에는 공기필터(5)를 채용하여 항상 세균오염이 없는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공기유입관(6)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공기유입관(6)의 토출측 단부에 채용된 생수유입방지수단의 볼부재(23)가 밀려 올라가 공기유통공(24)을 개방시킴으로써 신선한 외부공기가 생수통(1)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어 생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것이다. 이는 생수가 배출될 때 생수통(1)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생수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공기가 공기필터(5)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화된 상태이므로 생수통(1)으로 유입되는 공기에는 세균이 전혀 없어 생수통(1)에 담겨진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면서 사용하더라도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살균수단인 자외선램프(19)에 의해 지속적으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수통(1)에 담겨있는 생수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생수가 배출될 때에는 생수통의 구조에 따라 필연적으로 살균수단인 자외선램프(19)와 접촉될 수밖에 없으므로 미량의 세균이라도 전량 박멸되어 생수배출기(2)를 통해 세균이 전혀 없는 안전한 생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안전하고 신선한 물을 상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생수통(1)의 교체 또는 이동, 생수배출기(2)의 소제 등을 위해 생수배출기(2)로부터 생수통(1) 및 생수통받침대(4)를 분리하게 되면 누름부재(101)의 상단부에 의해 눌려져 있던 개폐부재(9)가 탄성부재(1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마개부재(8)의 생수배출공(7)을 다시 막아주게 되므로 생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 및 편의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는 생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생수의 배출라인이 외부와 완전 밀폐되게 하여 항상 안전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이와 함께 패킹커버 및 분지관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생수통(1) 입구에 씌워진 상태로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얹혀지는 생수통받침대(4)의 하단에는 생수배출공(7)을 갖는 마개부재(8)가 결합되고, 상기 마개부재(8)의 생수배출공(7)에는 승하강 가능하게 개폐부재(9)가 탄성부재(10)를 개재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는, 그 테두리가 상기 생수배출기(2)의 투입부(3)에 걸려 지지되면서 상기 생수통받침대(4)와 밀착·패킹시키며 하부 중앙에 생수배출공(17)이 형성된 호퍼형의 패킹커버(11)가 끼워지는 생수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에는,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날개(102)가 형성되어 상기 각 날개(102)의 사이로 생수배출구(103)를 이루며 상기 생수통(1)을 상기 생수배출기(2)에 정착할 때 적어도 그 상단부가 상기 생수통받침대(4)의 개폐부재(9)를 눌러줄 수 있는 높이만큼 상단부로부터 내려온 위치에는 상기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 입구 측벽에 걸리도록 걸림턱(104)이 형성된 누름부재(101)를 상부로부터 끼워 구성하며, 상기 패킹커버(11)의 생수배출공(17) 하부측으로 돌출부(11a)를 형성하여 그 외측에 냉수통(14)과 온수통(15)으로 생수를 분지시키기 위한 분지관(16)을 끼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안전배출장치.
KR2020020000416U 2002-01-07 2002-01-07 생수 안전배출장치 KR200273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416U KR200273296Y1 (ko) 2002-01-07 2002-01-07 생수 안전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416U KR200273296Y1 (ko) 2002-01-07 2002-01-07 생수 안전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92A Division KR100456235B1 (ko) 2001-12-11 2002-04-17 생수 안전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296Y1 true KR200273296Y1 (ko) 2002-05-03

Family

ID=7311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416U KR200273296Y1 (ko) 2002-01-07 2002-01-07 생수 안전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2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4952C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CN1420062A (zh) 真空保存用瓶塞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CA2939749C (en) Vented liquid container
ATE395850T1 (de) Mit ventil ausgerichter trinkbecher für säfte
KR10068255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US11511916B1 (en) Top closure assembly and drinking bottles including the same
KR100456235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200273296Y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100433787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101167405B1 (ko) 제균 기능을 갖는 밀폐형 체크밸브 디스펜서 시스템
KR200269461Y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101367448B1 (ko)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마개 일체형 디스펜서 홀더장치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KR100335253B1 (ko) 생수통의 누수 방지 장치
KR100350705B1 (ko) 생수 배출기
KR10072392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102496078B1 (ko)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KR0121921Y1 (ko) 1회용 비닐백이 삽입된 우유병
KR200362292Y1 (ko) 생수통 공기유입관의 물차단구조
TW200408604A (en) Fresh water discharging apparatus
KR200280838Y1 (ko)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KR20220026231A (ko) 유아용 병마개
KR890006561Y1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의 유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