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229Y1 -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 Google Patents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229Y1
KR200273229Y1 KR2020020003640U KR20020003640U KR200273229Y1 KR 200273229 Y1 KR200273229 Y1 KR 200273229Y1 KR 2020020003640 U KR2020020003640 U KR 2020020003640U KR 20020003640 U KR20020003640 U KR 20020003640U KR 200273229 Y1 KR200273229 Y1 KR 200273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everage bottle
beverage
fixing piece
elastic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20020003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22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병 병목의 돌기턱 밑에 끼워 사용하게 된 음료수병의 휴대고리에 관한 것으로 근래의 음료수병을 손으로 잡아 휴대하기가 어렵고 또 지참하고 다니면서 아이들이 음료수를 음복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은 고정편 일측에 끈손잡이를 고정하고 그 반대측에 연결끈을 부착한 끝에 탄성고리를 매서 결합하고 고정편의 삽입홈에 광고선전용 장식구의 핀을 삽입 결합하여 아이들에게 호감을 주고 또 음료수병의 휴대음복이 간편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Carrying ring for a something to drink bottle}
본 고안은 각종 음료수병의 병목 하부에 탄성고리를 끼워서 휴대사용에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수를 모두 마신 다음에는 탄성고리를 빼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병의 휴대고리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합성수지재 음료수병에 주우스, 사이다, 생수 등의 음료수를 담아 판매하고 있는바, 그 음료수병에 담긴 음료수량(500㎖ 등)이 한번에 음복하기에는 그 음료수량이 많은 뿐아니라 휴대하여서 필요할때 마다 조금씩 음복하게 되는 경우에는 음료수병을 손에 들고 다니거나 가방에 넣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음료수병은 몸체를 잡고 다닐 경우 미끄러워 놓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아이들이 들고 다닐 경우는 서로 접촉하여 놓치는 예가 허다하여 휴대에 불편함이 있었고 학생 등의 가방에 넣을 경우는 음료수병이 눕혀져서 병마개를 완벽하게 틀어 막지 않으면 누수로 가방속을 젖시는 폐단도 있어 음료수병 휴대사용에 불편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그와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끈손잡이의 고정편에 연결끈을 같이 고정하고 연결끈에 탄성고리를 매서 결합 구성하여 탄성고리를 음료수병의 병목에 끼워 휴대사용에 간편하도록 하고 또 고정편에는 광고선전용의 장식구를 부착하여 선전용으로도 이용되게 할 목적으로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전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음료수병에 끼워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음료수병에 끼운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편 2 : 끈손잡이 3 : 연결끈
4 : 탄성고리 5 : 삽입홈 6 : 장식구
7 : 핀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고정편(1) 일측에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끈손잡이(2)를 고정하여 사용자의 손을 끈손잡이(2)에 끼울수 있고 또 도시하지 않은 가방의 멜방 또는 끈에 맬수 있게 하고 고정편(1)의 끈손잡이(2) 반대편에는 연결끈(3)을같이 부착하여 탄성고무재의 탄성고리(4)를 매서 결합구성하고 또 고정편(1)의 삽입홈(5)에는 광고선전용 장식구(6) 밑면에 돌출시킨 핀(7)을 삽입 결합하여 통상의 음료수병(10)의 병목(11) 원둘래에 돌출형성시킨 돌기턱(12) 밑부분에 탄성고리(4)를 끼워 고정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할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료수병 (10) 병목(11)의 돌기턱(12) 밑으로 탄성고리(4)를 손으로 벌려 끼우면 탄성고리 (4)는 탄성고무재 이므로 끼울때는 늘어나고 일딴 끼우면 수축력으로 오무라져서 돌기턱(12) 밑면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끈손잡이(2)를 잡거나 끈손잡이(2) 고리부에 손을 넣어 끼우면 음료수병(10)의 휴대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끈손잡이(2)를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방의 멜방 및 끈부분에 매면 음료수병(10)의 휴대가 되므로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 음료수병(10)의 음복이 가능하고 편리할 뿐더러 음료수병(10)의 음료수를 다마신 다음에는 탄성고리(4)를 빼낼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지참하여 오래동안 사용 할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편(1) 위에는 악세사리와 같은 선전용의 장식구(6)가 부착되므로 아이들에게는 호감을 줄수 있어 상품가치가 높은 이점도 있다.

Claims (1)

  1. 고정편(1)의 일측에 끈손잡이(2)를 고정하고 그 반대측에 연결끈(3)을 같이 부착한 끝에 탄성고리(4)를 매서 결합하고 고정편(1)의 삽입홈(5)에 광고선전용 장식구(6) 밑면 핀(7)을 삽입 결합하여 된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KR2020020003640U 2002-02-05 2002-02-05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KR200273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40U KR200273229Y1 (ko) 2002-02-05 2002-02-05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40U KR200273229Y1 (ko) 2002-02-05 2002-02-05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229Y1 true KR200273229Y1 (ko) 2002-04-20

Family

ID=7311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40U KR200273229Y1 (ko) 2002-02-05 2002-02-05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2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50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ontainer
US20040108346A1 (en) Clip-on water or beverage bottle holder
IT1319887B1 (it) Chiusura per contenitori, in particolare tappo per bottiglie.
HUP0402243A2 (hu) Zárható italpalack
US20070125791A1 (en)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KR200273229Y1 (ko) 음료수병의 휴대고리
US20130239612A1 (en) Modular decorative locket
US20050127120A1 (en) Lanyard neckwear twin-arm bottled water holder
US20130098958A1 (en) Bottle carrier
JP2002193260A (ja) ペットボトル保持クリップ
KR100706717B1 (ko) 음료용기 휴대장치
KR200427699Y1 (ko) 휴대용 물통 걸이구
KR200339913Y1 (ko) 휴대용 물병 걸이장치
KR200305968Y1 (ko) 패트병 홀더
KR20050039114A (ko) 휴대용 물병 걸이장치
CN202858716U (zh) 便携式卫生吸管
KR200422351Y1 (ko) 용기 홀더
KR20010007121A (ko) 스트로 지지구
KR200213172Y1 (ko)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KR200417136Y1 (ko) 음용수병 휴대용 밴드
KR200278793Y1 (ko) 휴대용 결착구가 형성된 용기
KR101415093B1 (ko)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JP3145884U (ja) ボトルストラップ
JP2005008270A (ja) ボトルキャップ保持具
KR200204654Y1 (ko) 휴대용 물병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