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71Y1 -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71Y1
KR200273171Y1 KR2020020001187U KR20020001187U KR200273171Y1 KR 200273171 Y1 KR200273171 Y1 KR 200273171Y1 KR 2020020001187 U KR2020020001187 U KR 2020020001187U KR 20020001187 U KR20020001187 U KR 20020001187U KR 200273171 Y1 KR200273171 Y1 KR 200273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rawer
support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자현
Original Assignee
송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자현 filed Critical 송자현
Priority to KR2020020001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71Y1/ko

Lin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빼닫이식 지지부재를 구비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장치{RECEIPT APPARATUS}
본 고안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빼닫이식 지지부재를 구비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납장치에서는 가이드레일을 통해 본체의 측판에 지지되는 서랍이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경우에는 처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측판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가이드레일이 떨어져 나가거나 측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판과 서랍 사이에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사용시에는 수납 역할을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비밀장소의 역할을 하는 수납장치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23880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가 선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수납장치(1)는 크게 본체(2), 본체(2)의 측판(2a,2b)에 설치되는 지지부재(3), 지지부재(3)에 안내수단(7)을 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랍(4)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부재(3)에는 수납공간부(3a)가 형성되고 지지부재(3)를 본체(2)의 측판(2a,2b)에 지지시키는 경첩(5)에 의하여 선회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지부재(3)의 수납공간부(3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서랍(4)을 본체(2)로부터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서랍이 장착된상태에서도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빼닫을 수 있는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한 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가 선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수납장치 2,20 : 본체
2a,2b;20a,20b : 측판 2c : 밑판
2d,20d : 상판 2e : 뒷판
3,30 : 지지부재 3a,30a : 수납공간부
4 : 서랍 5 : 경첩
7 : 안내수단 60 : 제2지지/안내부
70 : 자성결합체 70a : 자석
70b : 철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납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판; 서랍; 상기 측판과 상기 서랍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서랍을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안내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상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안내부는 상기 서랍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일과 이 제1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일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제2레일과 이 제2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된 제2레일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본체에 서랍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뻬닫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고정시키는 자성결합체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랍이 인출될 때 상기 지지부재가 같이 인출되지 않게 되어, 비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수납장치라는 용어는 서랍을 장착한 가정용, 주방용 또는 사무용 수납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서랍과 지지부재는 앞으로 당겨지고(인출식) 뒤로 밀리는, 즉 빼닫이 서랍과 지지부재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전술한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10)는 크게 본체(20), 지지부재(30), 서랍(4), 제1지지/안내부 및 제2지지/안내부(6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20)는 한 쌍의 측판(20a,20b), 측판(20a,20b)의 하면을 연결시키는 밑판(2c), 측판(20a,20b)의 상면을 연결시키는 상판(20d) 및 뒷판(2e)을 구비한 수납장치(10)의 골격으로서, 서랍(4)이 장착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0)는 본체(20)의 측판(20a,20b)과 서랍(4)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이 지지부재(30)의 일측, 즉 측판(20a,20b)과 밀접하게 접하는 측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안내부는 서랍(4)을 지지부재(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서랍(4)의 측면에는 레일(미도시)이 설치되고 이 레일과 대응되는 지지부재(30)의 측면에는 레일 홈(5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지지/안내부는 서랍(4)의 전후방 스토퍼 역할도 한다.
제2지지안내부(60)는 지지부재(30)를 상판(20d)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지지부재(30)의 상면에는 레일(60a)이 설치되고 이 레일(60a)과 대응되는 상판(20d)의 이면에는 레일 홈(60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0)는 서랍(4)과 같이 빼닫을 수 있어 편리하다. 이 제2지지/안내부는 통상 레일과 레일 홈간의 슬라이딩이 롤러가 아닌 볼로 행해지는 3단 볼 지지/안내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후방 스토퍼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지지/안내부에 사용되는 레일과 레일 홈의 위치는 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지지부재(30)는 제1지지/안내부를 통해 서랍(4)을 지지하고 제2지지/안내부(60)를 통해 상판(20d)에 지지되어 있어서, 서랍(4)의 인출시 지지부재(30)도 같이 인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지지부재(30)를 상판(20d)에 고정시키는 자성결합체(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성결합체(70)는 외력에 의해 고정이 손쉽게 해제될 수 있는 자석(70a)과 철편(70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30)에는 자석(70a)이 상판(20d)에는 철편(70b)이 각각 부착되거나 그 반대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0)가 완전히 닫혔을 때 자석(70a)과 철편(70b)이 서로 붙어 있어, 서랍(4)이 빼닫칠 때에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상 지지부재로만 보이게 되어 비밀수납기능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수납장치에 따르면,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레일과 레일 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①서랍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지지부재가 손쉽게 인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②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쉽게 발견되기 어려워 도난이 방지됨과 동시에 일정한 장소에 형성되어 숨긴 장소를 잊어버릴 우려가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와 상판간에 자성결합체로 고정되어 있어서, 서랍의 인출에 따른 지지부재의 인출을 구속하여 비밀서랍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판;
    서랍;
    상기 측판과 상기 서랍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서랍을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안내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상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안내부는 상기 서랍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일과 이 제1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일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제2레일과 이 제2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된 제2레일 홈으로 구성된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과 동시에 인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는 자성결합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KR2020020001187U 2002-01-15 2002-01-15 수납장치 KR200273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87U KR200273171Y1 (ko) 2002-01-15 2002-01-15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87U KR200273171Y1 (ko) 2002-01-15 2002-01-15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171Y1 true KR200273171Y1 (ko) 2002-04-20

Family

ID=7307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87U KR200273171Y1 (ko) 2002-01-15 2002-01-15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1731B2 (ja) 引き出し用閉止装置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CA2257176A1 (en) Cabinet
JP2008278985A (ja) 収納庫
KR101137412B1 (ko) 공공장소용 컴퓨터 책상
CN208941349U (zh) 一种抽屉的连接结构
KR200273171Y1 (ko) 수납장치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CN212179333U (zh) 冰箱
CN211354576U (zh) 一种静音滑轨
KR200394809Y1 (ko)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책상과 의자
KR200411701Y1 (ko)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KR200372262Y1 (ko) 서랍용 레일의 결합구조
JPH09238764A (ja) 引出し部材の支持装置
KR200274924Y1 (ko) 수납장치
CN209748990U (zh) 一种隐藏式的平板操作终端连接结构
CN220529573U (zh) 一种双层抽屉式的拉篮
JP2014004330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KR200232279Y1 (ko) 수납장치
CN215776577U (zh) 立柜及应用该立柜的房车
US20060138919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telescoping extension in furniture
CN217390265U (zh) 一种具有限位功能的滑轨
CN217827229U (zh) 一种带有器件的抽屉
CN211810849U (zh) 一种具有推拉板的置物盒
CN109380899A (zh) 滑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