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06Y1 -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06Y1
KR200273106Y1 KR2020020003163U KR20020003163U KR200273106Y1 KR 200273106 Y1 KR200273106 Y1 KR 200273106Y1 KR 2020020003163 U KR2020020003163 U KR 2020020003163U KR 20020003163 U KR20020003163 U KR 20020003163U KR 200273106 Y1 KR200273106 Y1 KR 200273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shell
leek
compressed air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완회
Original Assignee
구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완회 filed Critical 구완회
Priority to KR202002000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0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한 배출관이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력으로 다량의 쪽파 껍질을 벗기는 작업을 간단하는 것으로 상기 쪽파의 껍질 탈피장치는 상면에 감지센서와 제거된 껍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수용함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류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형성한 중공의 연결관과 그 일측으로 삽입 및 회전되는 회전봉의 일측으로 상방향 절곡된연결축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간격조절부와 상기 연결봉의 일측으로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한 제 1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관과 수직되는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제 2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2배출관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연결호스가 연결된 껍질제거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으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배출관과 지지공을 형성한 중공의 이동관이 형성됨으로써, 노동력의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동시에 압축공기가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컴프레사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device of peeling a spring onion}
본 고안은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한 배출관이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력으로 다량의 쪽파 껍질을 벗기는 작업을 간단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에서 채취한 쪽파는 그 외피가 질기고 흙등의 이물질이 묻은 채로 수확을 한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는 이러한 농산물을 조리하여 식탁에 올리기 위하여 쪽파에 있는 흙, 이물질 및 껍질등을 조리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됨으로써, 소비자는 껍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쪽파만 찾게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농가 및 식품 업체에서는 쪽파에 있는 흙, 이물질 및 껍질등을 제거하지 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투자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력이 향상되지 않음으로써, 농가 및 식품 업체에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축공기의 분사력을 사용하여 다량의 쪽파에 형성된 껍질 및 이물질을 자동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제거하는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한 쌍으로 형성된 배출관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쪽파의 껍질 탈피장치는 상면에 감지센서와 제거된 껍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수용함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류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형성한 중공의 연결관과 그 일측으로 삽입 및 회전되는 회전봉의 일측으로 상방향 절곡된연결축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간격조절부와 상기 연결봉의 일측으로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한 제 1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관과 수직되는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제 2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2배출관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연결호스가 연결된 껍질제거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으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배출관과 지지공을 형성한 중공의 이동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형성된 간격조절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형성된 간격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1 : 작업대
11 : 감지센서
11a : 발광센서 11b : 수광센서
12 : 수용함 12a : 수용공간
13 : 작업판 14 : 지지대
15 : 연장바
2 : 간격조절부
21 : 연결관 21a : 고정공
22 : 회전봉 23 : 연결축
24 : 고정축
25 : 이동관 25a : 지지공
3 : 껍질제거부
31 : 제 1배출관 32 : 제 2배출관
33 : 연결호스 34 : 분사공
4 : 솔레노이드밸브 5 : 스크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쪽파의 껍질 탈피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고, 제거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대(1)와 쪽파의 껍질를 압축공기로 제거하는 껍질제거부(3)와 상기 껍질제거부(3)에 형성된 제 1,2 배출관(31)(3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2)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는 쪽파의 껍질 제거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판(13)과 그 하면에 다수의 지지대(14)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판(13) 상면의 후방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2a)이 형성된 수용함(12)이 형성되고,전방에는 감지센서(11)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11)는 상기 작업판(13)의 양측 끝단에 수광센서(11b)와 발광센서(11a)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센서(11a)는 상기 작업판(13)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바(15)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2a)은 제거된 쪽파의 껍질이 보관되어 작업자가 제거작업을 끝마친 후에 한꺼번에 쪽파의 껍질을 처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11)는 항상 상기 발광센서(11a)에서 상기 수광센서(11b)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수의 다발로 된 쪽파가 상기 수광센서(11b)로 조사된 빛을 차단하면 상기 수광센서(11b)가 작동하여 상기 껍질제거부(3)에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부(2)는 상기 수용함(12)의 우측면에 스크류(5)가 삽입되는 고정공(21a)을 형성한 중공의 연결관(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의 타측 내부로 삽입 및 회전되는 회전봉(2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22)의 외주면에상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연결축(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껍질제거부(3)는 상기 연결축(23)의 끝단에 일측이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배출관(31)이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배출관(31)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분사공(3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배출관(31)의 하방향으로 수직되는 위치에 상기 제 1배출관(31)과 대칭되게 제 2배출관(32)이 상기 작업대(1)의 전방 상면에 형성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1,2배출관(31)(32)의 일측 끝단은 솔레노이드밸브(4)와 연결된 연결호스(33)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 2배출관(31)(32)은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개방되며, 타측은 막혀지게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연결호스(33)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제 1배출관(31)의 외주면 하단에 횡방향으로 한줄로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배출관(32)은 상단에 상기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는 상기 감지센서(11)에 의해 제어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제 1,2배출관(31)(32)에 배분하여 공급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쪽파의 껍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제거되는 방식은;
상, 하 수직되게 형성된 상기 제 1,2배출관(31)(32)의 사이에 다수의 쪽파 껍질을 형성한 부분이 삽입되면, 상기 감지센서(11)에서 쪽파가 상기 제 1, 2배출관(31)(32)사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한 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로 전달되고, 컴프레샤와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는 압축공기를 상기 제 1, 2배축관(31)(32)에 공급시키며,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분사공(34)을 통해 배출되어 쪽파의 껍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쪽파의 껍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공(34)은 상기 제 1,2배출관(31)(32)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쪽파의 줄기와 껍질의 끝단이 접촉되는 곳에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쉽게 껍질을 제거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형성된 간격조절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간격조절부(2)는 상기 수용함(12)의 우측면에 스크류(5)가 삽입되는 고정공(21a)을 형성한 중공의 연결관(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의 타측 내부로 삽입 및 회전되는 회전봉(2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22)의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연결축(2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23)의 끝단에 상기 제 1배출관(3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21)에 상기 회전봉(22)이 삽입되고, 상기 연결관(21)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21a)으로 상기 스크류(5)를 삽입,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5)가 상기 회전봉(2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봉(22)은 상기 연결관(21)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 1배출관(31)이 상기 제 2배출관(32)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배출관(31)(32)의 간격을 조정하려면, 체결된 상기 스크류(5)를 풀면, 상기 회전봉(22)이 상기 연결관(21)의 내부에 회전자유롭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배출관(31)이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됨으로써, 쪽파의 양과 크기에 따라 상호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형성된 간격조절부(2)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그 구성 및 작동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작업대(1)의 전방, 우측모서리 상면에 고정축(24)이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24)에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관(25)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관(25)의 일측으로 상기 제 1배출관(31)과 스크류(5)가 삽입되는 지지공(25a)이 형성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24)은 상기 제 2배출관(32)의 후방으로 형성하여 상호 상기 제 1,2배출관(31)(32)이 상, 하 수직되게 형성한다.
상기 이동관(25)은 상기 고정축(24)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관(25)에 형성된 상기 지지공(25a)에 상기 스크류(5)가 삽입 회전되어 상기 고정축(24)에 고정되면, 상기 이동관(25)이 상기 고정축(24)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배출관(31)이 상기 고정축(2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1,2배출관(31)(32)의 상호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상기 스크류(5)를 해제한 후, 상기 이동관(25)을 상, 하로 이동시키어 간격을 세팅하고, 다시 상기 스크류(5)를 체결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한 배출관이 형성되고, 그 압축공기의 분사는 감지센서에 의하여 제어되게 형성되어 쪽파의 껍질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노동력의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동시에 압축공기가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컴프레사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관의 일측으로 고정공을 형성한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축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 배출관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크기가 다른 많은 양의 쪽파의 껍질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쪽파의 껍질 탈피장치(100)는 상면에 감지센서(11)와 제거된 껍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12)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1)와;
    상기 수용함(1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류(5)가 삽입되는 고정공(21a)을 형성한 중공의 연결관(21)과 그 일측으로 삽입 및 회전되는 회전봉(22)과 그 일측면으로 상방향 절곡된 연결축(23)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간격조절부(2)와;
    상기 연결축(23)의 일측으로 다수의 분사공(34)을 형성한 제 1배출관(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관(31)과 수직되는 상기 작업대(1)의 일측으로 제 2배출관(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2배출관(31)(32)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4)와 연결된 연결호스(33)가 각각 연결된 껍질제거부(3)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에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2)는, 상기 작업대(1)의 일측으로 고정축(24)이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관(31)과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공(25a)을 형성한 중공의 이동관(25)이 상기 고정축(24)의 외측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KR2020020003163U 2002-01-31 2002-01-31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KR200273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63U KR200273106Y1 (ko) 2002-01-31 2002-01-31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63U KR200273106Y1 (ko) 2002-01-31 2002-01-31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106Y1 true KR200273106Y1 (ko) 2002-04-20

Family

ID=7311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163U KR200273106Y1 (ko) 2002-01-31 2002-01-31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390A (ko) 2022-08-19 2024-02-28 유승미 절단유닛이 마련된 대파 탈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390A (ko) 2022-08-19 2024-02-28 유승미 절단유닛이 마련된 대파 탈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3106Y1 (ko)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KR20130128319A (ko) 채소용 탈피기
KR101073307B1 (ko) 밤 껍질 탈피장치
KR200421313Y1 (ko) 과일제피기
CN211678459U (zh) 一种工件喷涂加工装置
CN202445095U (zh) 刺梨去花蒂切瓣夹具
KR101908107B1 (ko)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절단 육류칩 이송 구조를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CN109048469B (zh) 一种金属切削机碎屑排屑回收装置
CN203635583U (zh) 一种智能高效高压清洗机
CN208468228U (zh) 杠杆式元器件拆除装置
CN218531374U (zh) 一种球类空压机
CN108873619B (zh) 一种芯片生产用光刻机
CN210499446U (zh) 一种整体硬质合金螺旋丝锥表面处理装置
CN107824484B (zh) 一种鲑科鱼类受精卵规模化筛选装置
JPH05260941A (ja) ニンニク皮剥ぎ装置
CN220658507U (zh) 一种导光板加工用清洗设备
CN209991841U (zh) 散热器孔屑清理装置
KR200335273Y1 (ko) 야채 탈피 장치
KR200273104Y1 (ko) 무우 삭피기
KR101183215B1 (ko) 트레이 세척부가 마련된 농산물 선별장치
CN205183286U (zh) 一种喷淋装置
CN220255048U (zh) 兰科植物种子的无菌处理保存装置
CN206994023U (zh) 一种便于清理的喂食槽
KR200285023Y1 (ko) 콩나물 머리 절단장치
CN206344220U (zh) 果蔬分切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