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013Y1 - 펜타입의리코더 - Google Patents

펜타입의리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013Y1
KR200273013Y1 KR2019980010042U KR19980010042U KR200273013Y1 KR 200273013 Y1 KR200273013 Y1 KR 200273013Y1 KR 2019980010042 U KR2019980010042 U KR 2019980010042U KR 19980010042 U KR19980010042 U KR 19980010042U KR 200273013 Y1 KR200273013 Y1 KR 200273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power supply
pow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562U (ko
Inventor
조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01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013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여 배터리가 완전히 이탈되지 전에 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펜 타입의 리코더가 개시된다. 개시된 펜 타입의 리코더는, 상단에는 클립이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일면에 작동에 필요한 복수의 칩들과 택트스위치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장치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부에 마련된 각종 부품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회로기판의 단부에 마련된 리밋 스위치에 접촉된 배터리의 분리시 이탈을 검출하여 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복수의 칩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펜 타입의 리코더{Recoder of a pen type}
본 고안은 펜 타입의 리코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 타입 리코더의 작동중 배터리의 이탈에 의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펜 타입의 리코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펜 타입 리코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펜 타입의 리코더(10)는 필기구와 같은 외형으로 된 케이스(20) 내에 회로기판(31)이 마련되고, 이 회로기판(31) 단부에 전원플레이트(32)와 전원 스프링(33)이 고정되며, 이 전원플레이트(32)와 전원스프링(33)에 배터리(50)의 '+'와 '-'극이 접촉되어 작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스(2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의복의 포켓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60)이 고정되어 있고, 그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배터리(50)가 출입되며, 케이스(20) 내에 수납된 배터리(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 커버(7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케이스(20) 내부의 상측에는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 즉, 복수의 스위치(34)와 칩(35)등이 설치되어 있는 회로기판(31)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부(30)가 마련되어 있고, 하측에는 복수의 스위치(34)와 칩(35) 등의 부품들에게 전원을 공급하여 펜 타입 리코더(10)를 작동시키는 배터리(50)가 수용되는 전원부(4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의 상부와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작동버튼(21)과, 작동상태 및 시간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22)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커버(70)의 내측에는 배터리(50)의 '+'극이 접촉되는 금속홀더(71)가 고정되어 있고, 이 금속홀더(71)에는 케이스(2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로기판(31)의 하단에 고정되어 배터리(50)의 '+'에 접촉되는 전원플레이트(32)는 전원부(40)의 내벽에 인써트 사출성형으로 고정되어 배터리 커버(70)의 금속홀더(71)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터리(50)의 '-'극에 접촉되는 전원 스프링(33)은 배터리(50)의 교환하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70)를 오픈할 때, 배터리(5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펜 타입의 리코더에서 배터리(50)의 교환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는 케이스(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 커버(70)를 일방향 보통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케이스(20) 하단에서 분리한다. 그러면, 케이스(20)의 전원부(40)에 들어 있는 배터리(50)는 전원 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하여 케이스(20)의 외부로 배터리(50)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배터리(50)의 돌출된 단부를 잡고 케이스(20)의 전원부(40)에서 꺼내고, 새로 구입한 배터리(50)를 다시 전원부(40)에 넣는다. 그런다음, 배터리 커버(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케이스(20)의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배터리(50)의 교환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펜 타입의 리코더에 따르면, 제품이 작동중인 것을 모르고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70)를 분리하게 되면, 배터리(50)의 '-'극이 전원 스프링(33)에서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면서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중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품의 작동을 수행하고 있던 복수의 부품 즉, 칩(35)들이 손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여 배터리가 이탈되지 전에 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작동중인 제품의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에 따른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펜 타입의 리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펜 타입 리코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펜 타입 리코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의 리코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펜 타입 리코더의 케이스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펜타입 리코더 110; 케이스
111; 클립 120; 전원부
130; 회로기판 131; 스위치
132; 칩 133; 전원플레이트
134; 전원스프링 135; 리밋 스위치
140; 전원부 150; 배터리
160; 배터리 커버 161; 금속홀더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상단에는 클립이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일면에 작동에 필요한 복수의 칩들과 스위치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장치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부에 마련된 각종 부품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전원부와, 그리고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리코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의 단부에 고정된 전원 스프링과 나란하게 고정되는 리밋 스위치로서, 상기 전원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었을 때, 단부가 상기 전원스프링과 함께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리밋 스위치의 단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배터리가 이탈되었을 때, 전원스프링의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의 장치부에 고정된 회로기판의 단부에 리밋 스위치가 고정되어 배터리의 분리시 배터리의 이탈을 검출하여 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복수의 칩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리코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의 리코더에서 배터리의 교환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펜 타입의 리코더(10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치부(120)와 전원부(140)로 구획되는 케이스(110) 내에 검출수단이 마련되어, 전원부(120)에서 배터리(150)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스(110)의 외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의복의 포켓에 고정할 수 있는 클립(111)이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배터리(150)가 전원부(140)에 출입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하단에는 전원부(140)의 개구를 개폐하며, 이에 수용된 배터리(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커버(160)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장치부(120)에는 회로기판(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로기판(130)의 일면에는 작동 및 음성등을 기록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131) 및 칩(132)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30)의 단부에는 배터리(150)의 '+'와 '-'극에 연결되는 전원 플레이트(133)와 전원 스프링(134)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플레이트(133)는 배터리 커버(160) 내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홀더(161)와 연결되어 배터리(150)의 '+'극과 연결되는 것이며, 전원 스프링(134)은 배터리(150)의 '-'극과 접촉되는 것으로 배터리(150)의 교환시 이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밀어내어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검출수단은 전원 스프링(134)의 고정된 회로기판(130)의 단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리밋 스위치(135)이다. 이 리밋 스위치(135)는 전원부(140)에 배터리(150)가 수납되었을 때, 그 단부가 전원스프링(134)과 함께 배터리(150)의 일단에 접촉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135)는 배터리(150)가 전원부(140)에서 이탈될 때, 배터리(150)의 일단에서 전원스프링(134)보다 먼저 떨어져 전원부(140)에서 배터리(150)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여, 제품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부(140)에서 배터리(150)가 이탈되었을 때, 전원스프링(134) 보다 먼저 배터리(150)의 일단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리밋 스위치(135)의 단부는 전원스프링(134) 단부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펜 타입 리코더의 작동 중 배터리(150)를 교환하고자 배터리 커버(160)를 회전시켜서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그 내부에 있던 배터리(150)가 회로기판(130)에 설치된 전원스프링(134)의 반발력에 의하여 전원부(140)의 개구로 튀어나오게 된다.
전원부(140)에서 배터리(150)가 완전히 튀어 나오기 전에 배터리(150)의 '-'극에 접촉된 리밋 스위치(135)가 먼저 분리되면서, 수행하는 부품 즉, 스위치 및 칩들에게 전원이 끊어진다는 신호를 보내서 부품들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펜 타입 리코더(100)의 작동중인 것을 모르고 사용자가 배터리(150)를 교환할 때, 전원부(140)에서 배터리(150)가 이탈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제품의 수행하는 부품들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로기판에 고정된 리밋 스위치가 전원스프링에서 배터리가 떨어지기 전에 배터리로부터 먼저 떨어져서, 작동을 수행하는 부품들에게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전달하여 부품들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중 배터리의 이탈에 의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단에는 클립이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일면에 작동에 필요한 복수의 칩들과 택트스위치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장치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부에 마련된 각종 부품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전원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단부에 전원스프링과 나란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었을 때 타단이 상기 전원스프링과 함께 상기 배터리에 접촉되며, 배터리 이탈시 전원스프링보다 상기 타단이 먼저 떨어지도록 설치된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리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밋 스위치의 상기 배터리와 접촉된 타단은 전원부로부터 배터리가 이탈되었을 대, 상기 전원스프링의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리코더.
KR2019980010042U 1998-06-12 1998-06-12 펜타입의리코더 KR200273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42U KR200273013Y1 (ko) 1998-06-12 1998-06-12 펜타입의리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42U KR200273013Y1 (ko) 1998-06-12 1998-06-12 펜타입의리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62U KR20000000562U (ko) 2000-01-15
KR200273013Y1 true KR200273013Y1 (ko) 2002-10-14

Family

ID=6951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042U KR200273013Y1 (ko) 1998-06-12 1998-06-12 펜타입의리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0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00B1 (ko) * 2000-03-08 2002-09-28 주식회사 심스밸리 보이스 레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62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454B1 (en) Housing device for SIM card
US5347163A (en) Power supply backup device for use i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K1044911A1 (zh) 記錄裝置的墨盒以及噴墨記錄裝置
MY124409A (en) Portable phone with imbedded battery
US5608612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ail-safe system for memory backup
KR200273013Y1 (ko) 펜타입의리코더
US20010044908A1 (en) Stylus operated switch system for a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US6332578B1 (en) Adapter
JPH08236090A (ja) Icメモリカード
CN213182691U (zh) 一种鼠标
KR200326957Y1 (ko) 펜타입의리코더
JPH0537403Y2 (ko)
KR200326958Y1 (ko) 펜타입레코더의클립고정장치
JP2000082379A (ja) 電気接続箱
JP2011060734A (ja) 電子装置
KR940005429B1 (ko)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카드이젝트 장치
KR0125459B1 (ko)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JP2001057132A (ja) 蓋開閉検出装置
JPH0743944Y2 (ja) 電気器具に取容した乾電池電極の酸化膜除去装置
KR19980017520A (ko) 드라이버가 일체로 취부된 볼펜
JPH0517802Y2 (ko)
KR900001587Y1 (ko) 멜로디 장치를 가진 필기구
JP4758864B2 (ja) 携帯端末用充電器
KR910006344Y1 (ko) 카세트 테이프 구동 모터의 공회전 방지장치
KR0118005Y1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