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802Y1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802Y1
KR200272802Y1 KR2020020003387U KR20020003387U KR200272802Y1 KR 200272802 Y1 KR200272802 Y1 KR 200272802Y1 KR 2020020003387 U KR2020020003387 U KR 2020020003387U KR 20020003387 U KR20020003387 U KR 20020003387U KR 200272802 Y1 KR200272802 Y1 KR 200272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mounting portion
heat storage
stora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돈
Original Assignee
(주)피앤에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에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피앤에이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03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802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름철에 보다 시원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로 음료 개구부를 갖는 용기의 일 측면에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를 형성하여 축열재 장착부를 용기의 내부에 가지게 성형한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대체로 용기 내부의 대체로 중심부에 위치하게 성형한다. 또한 상기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를 커버하여 개폐할 고무 커버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서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는 고무커버가 없이 사용될 때는 바람직하게 그 개구부가 음료를 따르는 혹은 마시는 쪽의 반대쪽에 형성됨이 축열재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적당할 것이다.
한편 용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는 유색 불투명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상 용기의 미적 감각을 살릴 수가 있다.
그리고 용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는 유색 반투명으로 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A container for drink}
본 고안은 여름철에 보다 시원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커피 등의 냉음료를 마시기에 적당하도록 하면서 미적 디자인을 표출하기에도 적당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이나 보온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의 주류는 이중 용기로 되어 그 중공부에 단열재 또는 진공부 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최근에는 복층으로 구성된 용기의 복층 사이의 공간에 냉매를 넣어서 냉동실 등에서 축냉한 후, 꺼내어 이를 사용하면서 보냉을 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용기는 복층 구조에 의해 그 제조단가가 높아 값싼 일상 용품이나 판촉물 등으로 개발하기가 그 미적 디자인감이 투박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복층 구조에 의해 용기의 두께가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키면서 소프트한 보냉을 이루게한 참신한 창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로 음료 개구부를 갖는 용기의 일 측면에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를 형성하여 축열재 장착부를 용기의 내부에 가지게 성형한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대체로 용기 내부의 대체로 중심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도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그 위치와 형상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는 별도의 뚜껑없이 사용될 때는 바람직하게 그 개구부가 음료를 따르는 혹은 마시는 쪽의 반대쪽에 형성됨이 축열재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적당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를 커버하여 개폐할 고무커버를 구비하여서 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 내부에 위치되는 장착부는 그 단면이 파형이 되게 주름진 단면형상으로 구성함에 따라 독특한 미적효과는 물론 열 전달효과를 좋게 함에 일 조할 것이다.
한편 용기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 유리, 도자기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현 할 수 있는 것으로 불투명한 재질은 물론 투명재질로 형성할 수가 있다. 용기를 투명 재질로 형성할 때 그 내부의 장착부는 유색 불투명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상용품의용기에 미적감각을 살릴 수가 있다.
그리고 용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는 유색 반투명으로 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호리병 형의 음료용 용기에 본 고안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머그잔에 본 고안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호리병 형의 음료용 용기에 본 고안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머그잔에 본 고안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부로 음료 개구부(11)를 갖는 용기의 일측면에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21)를 형성하여 축열재 장착부(20)를 용기(10)의 내부에 가지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21)는 용기(10)의 음료를 따르는 주둥이(11A)가 위치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서 머그잔 역시 기울음이 발생되지 않을 손잡이(12) 쪽의 용기(10) 측 면에 개구부(21)를 형성하는 장착부(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용기(10)를 투명의 재질로 형성한 용기로 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를 유색의 칼라화 함으로써 용기의 보냉 등의 기능과 더불어서 미적 센스를 살릴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즉, 용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는 유색 불투명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상 용기의 미적감각을 살릴 수가 있고, 용기(1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는 유색 반투명으로 하면 장착부의 아름다운 색상으로 인한 미적감각은 물론 장착부 내부에 얼음과 같은 축열재가 시각적으로 보이므로 인한 청량감을 갖는 등의 작용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장착부(20)의 개구부(21)는 고무 커버(22)로 개폐되게 함으로써, 장착부(20) 내부에 넣은 축열재가 개구부(22)로 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착부(20)는 용기(10)의 내부의 대체로 중심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비교적 열전달을 평균적으로 고르게 함이 바람직하고, 개구부(22)는 장착부의 상부 쪽으로 개구되게 형성함으로써, 가급적이면 열교환되고 액화된 축열재가 개구부 (2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조적 설계가 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여름철에 냉 음료를 마시는데 일 조 할 것이나, 겨울철 온 음료를 위한 것으로 사용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하게 복층 구조에 의해 용기의 두께가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키면서 소프트한 보냉을 이루게 한 참신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로 음료 개구부(11)를 갖는 용기의 일측면에 축열재를 투입 인출할 개구부(21)를 형성하여 축열재 장착부(20)를 용기(10)의 내부에 가지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1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는 유색 불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1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장착부(20)는 유색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0)의 개구부(21)는 고무커버(22)로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부(20)는 용기(10)의 내부의 대체로 중심에 위치되고, 개구부(22)는 장착부의 상부쪽으로 개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용 용기.
KR2020020003387U 2002-02-02 2002-02-02 음료용 용기 KR200272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87U KR200272802Y1 (ko) 2002-02-02 2002-02-02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87U KR200272802Y1 (ko) 2002-02-02 2002-02-02 음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802Y1 true KR200272802Y1 (ko) 2002-04-19

Family

ID=7311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387U KR200272802Y1 (ko) 2002-02-02 2002-02-02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8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666B2 (en) Polymeric replacement for a glass drinking container
US10638862B2 (en) Single-serve beverage cup
US2952133A (en) Disposable frosted vessel
US20110114646A1 (en) Drinking mug having a thermal heat sink for maintaining a beverage temperature
US3065606A (en) Drinking cup
KR200272802Y1 (ko) 음료용 용기
CN202765556U (zh) 冷热冰冻容器
US20090020542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CN101005998A (zh) 一种用于提高冷却效率的瓶盖以及使用这种瓶盖的冷冻方法
JP3182300U (ja) ボトル
CN202069343U (zh) 双层饮用杯
TWI832265B (zh) 具保冰功能之醒酒裝置
KR200379602Y1 (ko) 간편 냉온유지 팩
WO2007040311A1 (en) Separable double drink bottle
KR200242977Y1 (ko) 음료수용 보냉기
CN213757663U (zh) 一种原味饮料杯
US11401102B2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KR100529248B1 (ko) 대용량 삼중벽 피쳐
KR200428119Y1 (ko) 보온 술잔
CN2424703Y (zh) 三层玻璃杯壁饮水杯
KR200386827Y1 (ko) 음료병용 항온케이스
JP3215777U (ja) ペアカップ付きボトル
KR200202761Y1 (ko) 돌기를 구비한 보온병
KR200309860Y1 (ko) 휴대용 냉장병
KR200366346Y1 (ko) 냉각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