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630Y1 -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 Google Patents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630Y1
KR200272630Y1 KR2020020000641U KR20020000641U KR200272630Y1 KR 200272630 Y1 KR200272630 Y1 KR 200272630Y1 KR 2020020000641 U KR2020020000641 U KR 2020020000641U KR 20020000641 U KR20020000641 U KR 20020000641U KR 200272630 Y1 KR200272630 Y1 KR 200272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crew rod
cap
nu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김승호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호, 이종훈 filed Critical 김승호
Priority to KR2020020000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630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과 천막의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상부 프레임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구에 나사봉을 승강키 위한 너트를 매설하고, 그 너트에 삽입된 나사봉에 별도의 돌출조를 형성하며, 그 돌출조에는 회전부시를 삽입하고, 회전부시의 상부에 천막을 고정지지하는 승강고정구가 안치되게 함으로서,
나사봉 하나만의 회전으로도 천막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고정구가 용이하게 상하 승강되어 천막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부시에 의해 나사봉과 승강고정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천막이 뒤틀리거나 나사봉의 회전이 원활치 않은 문제점을 제거한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tencil force adjuster of tent}
본 고안은 프레임과 천막의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특히 천막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는 천막 장력조절구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함으로서, 장력조절구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부품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천막의 용이한 장력조절이 가능하며, 텐트의 보다 안정된 사용이 가능케 한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이다.
텐트는 다수의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지주로 하여 고정되는 천막에 의한 것으로서, 야영지 또는 운동장과 같은 노지에 일시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텐트는 하절기에는 강렬한 햇빛으로부터 보호되게 하고, 우천시에는 비 또는 눈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는 것이며, 바람이 불거나 동절기에는 차양막에 의해 외기를 차단하는 역활을 하는 간이 시설물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일반적인 텐트는 천막을 고정할 때 중앙에 기둥을 세우고 이 기둥의 상단부에 의해 천막의 중앙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바람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천막이 날아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천막이 팽팽하게 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느슨하게 처지게 되므로 눈이 올때 쉽게 눈이 쌓이면서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천막을 손으로 잡고 사방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면서 고정하고 있으나, 인력으로는 해결하기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특히, 천막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손이 닿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4059호와 같이, 강풍에 견디는 구조적인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천막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신장이 작은 사람도 편리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천막이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눈이 쌓이면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 텐트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중앙부를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은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가의 제조원가를 필요로하므로 비경제적이며, 다수의 구성부품으로 인해 조립 및 해체가 번거로우면서도 시간의 소요가 많으며, 다수의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연계작동되는 것이므로 부품의 마모 및 손상에 의한 사용수명이 감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나사봉의 회전시 장력조절구와 천막을 고정하는 승강고정구간에 마찰이 심하여 나사봉의 회전과 함께 천막이 함께 회전하며 뒤틀리거나, 상호간의 마찰에 의해 나사봉의 회전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텐트의 상부 프레임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구에 너트를 매설하고, 그 너트에 나사 삽입된 나사봉의 중간부에 별도의 돌출조를 형성하고, 그 돌출조에는 회전부시를 삽입하여, 그 회전부시의 상부에 천막을 고정지지하는 승강고정구가 안치되게 함으로서,
나사봉 하나만의 회전으로도 천막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고정구가 용이하게 상하 승강되어 천막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부시에 의해 나사봉과 승강고정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천막이 뒤틀리거나 나사봉의 회전이 원활치 않은 문제점을 제거한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장력조절구가 사용된 텐트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력조절구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력조절구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장력조절구의 요부상세도로서,
도 4a는 회전봉의 상부 결합단면도
도 4b는 회전봉의 회전마찰부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2 : 지지각
3 : 삽입구 4 : 결합구
5 : 천막 6 : 너트
7 : 볼트 8 : 너트
10 : 나사봉 11 : 나사부
12 : 확대부 13 : 렌치공
14 : 돌출조 15 : 회전부시
20 : 승강고정구 21 : 상부캡
22 : 하부캡 23 : 돌출관
24 : 통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장력조절구가 장착된 상태의 텐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장력조절구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부 프레임(1)과 하부 지지각(2)을 방사상으로 수직입설하고, 전기한 프레임(1)의 상단부는 별도의 삽입구(3)가 방사상으로 결합된 결합구(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프레임(1)의 내측에는 천막(5)을 내장하고 천막(5)의 중앙부에 별도의 승강고정구(20)를 결합하여, 결합구(4)에 매설된 너트(6)와, 그 너트(6)에 나사 삽입된 나사봉(10)의 회전에 의해 전기한 승강고정구(20)가 상하 승강되게 한 공지의텐트 장력조절구에 있어서,
전기한 나사봉(10)은 길이상의 봉체로 형성하되, 상부에는 나사부(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전개상의 경사부를 갖는 확대부(12)를 형성하며, 그 확대부(12)의 중앙에는 다각의 렌치공(13)을 형성하고, 나사봉(10)의 중간부에는 링상의 돌출조(1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며,
전기한 승강고정구(20)는 상부캡(21)과 하부캡(22)으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캡(21)의 중앙에는 하향 돌출관(23)을 형성하고, 하부캡(22)은 전기한 상부캡(21)과 대향 결합되도록 중앙에 통공(24)을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부캡(21)과 하부캡(22)의 사이에는 천막(5)의 중앙부를 삽입하여 별도의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상부캡(21) 및 천막(5)과 하부캡(22)을 함께 결합 고정하여,
그 하부캡(22)의 저면이 전기한 나사봉(10)의 돌출조(14)에 거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나사봉(10)의 돌출조(14)에는 링상의 회전부시(15)를 삽입하여 회전마찰력이 감소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렌치, 31은 전동공구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장력조절구가 장착된 텐트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사방으로 입설된 지지각(2) 및 그 지지각(2)의 상단에 결합되는 프레임(1), 각 프레임(1)의 단부를서로 한곳으로 모아 결합하는 결합구(4)로 구성되는 것이며, 결합구(4)에는 전기한 프레임(1)의 각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한 각 요소의 결합에 의해 텐트 프레임이 완성되면 설치자는 그 텐트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천막(5)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텐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그 천막(5)의 상부 중앙에는 상하로 분리된 승강고정구(20)를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결합하여, 별도의 나사봉(10)으로 승강고정구(20) 및 전기한 결합구(4)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본 고안 장력조절구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천막(5)의 하부로 노출된 나사봉(10)의 렌치공(13)에 렌치(30)를 삽입하고, 전동공구(31)를 작동시키면 전동공구(31)의 회전방향에 따라 렌치(30)와 함께 그 나사봉(10)이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렌치공(30) 및 나사봉(10)의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전개되는 확대부(12)를 형성하여, 전동공구(31)의 렌치(3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작업자는 렌치(30)를 그 확대부(12)에 삽입하기만 하면 확대부(12)의 경사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렌치공(30)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동공구(31) 및 렌치(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나사봉(10)은 도 4a의 도시와 같이 상부 결합구(4)에 매설된 너트(6)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너트(6) 및 나사봉(10)의 나사부(11)가 서로 회전하며 고정되지 않은 나사봉(10)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b의 도시와 같이 나사봉(10)이 상승하는 경우 나사봉(1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조(14)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며, 전동공구(31)를 정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나사봉(10) 및 그 돌출조(14)가 상승하며, 돌출조(14) 상부에 거치된 승강고정구(20)를 함께 상승시키는 것이며,
전동공구(31)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나사봉(10)의 돌출조(14)와 함께 그 상부의 승강고정구(20)가 함께 하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캡(21) 및 하부캡(22)에 의해 천막(5)을 고정하고 있는 승강고정구(20)는 나사봉(10)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것이며, 이러한 승강고정구(20)의 상승작용은 천막(5)을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어 늘어지거나 쳐진 상태의 천막(5)을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승강고정구(20)의 상부캡(21)에는 그 중앙부에 하향의 돌출관(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돌출관(23)의 내부공간으로 나사봉(10)이 관통되게 함으로서, 합성수지상의 승강고정구(20)와 나사봉(10)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나사봉(10)의 회전에 의해 승강고정구(20)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전기한 바와 같은 나사봉(10)의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조(14)에는 별도의 회전부시(15)를 삽입하여, 승강고정구(20)의 하부캡(22) 저면이 나사봉(10)의 돌출조(14)에 직접 닿지 않고 회전부시(15)에 거치되게 함으로서, 나사봉(10)의 회전시 회전부시(15)는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는 부분에서 함께 회전되며 천막(5) 및 승강고정구(2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는 나사봉 하나만의 회전으로도 천막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고정구가 용이하게 상하 승강되어 천막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부시에 의해 나사봉과 승강고정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천막이 뒤틀리거나 나사봉의 회전이 원활치 않은 문제점을 제거한 것이다.

Claims (2)

  1. 상부 프레임(1)과 하부 지지각(2)을 방사상으로 수직입설하고, 전기한 프레임(1)의 상단부는 별도의 삽입구(3)가 방사상으로 결합된 결합구(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프레임(1)의 내측에는 천막(5)을 내장하고 천막(5)의 중앙부에 별도의 승강고정구(20)를 결합하여, 결합구(4)에 매설된 너트(6)와, 그 너트(6)에 나사 삽입된 나사봉(10)의 회전에 의해 전기한 승강고정구(20)가 상하 승강되게 한 공지의 텐트 장력조절구에 있어서,
    전기한 나사봉(10)은 길이상의 봉체로 형성하되, 상부에는 나사부(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전개상의 경사부를 갖는 확대부(12)를 형성하며, 그 확대부(12)의 중앙에는 다각의 렌치공(13)을 형성하고, 나사봉(10)의 중간부에는 링상의 돌출조(1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며,
    전기한 승강고정구(20)는 상부캡(21)과 하부캡(22)으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캡(21)의 중앙에는 하향 돌출관(23)을 형성하고, 하부캡(22)은 전기한 상부캡(21)과 대향 결합되도록 중앙에 통공(24)을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부캡(21)과 하부캡(22)의 사이에는 천막(5)의 중앙부를 삽입하여 별도의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상부캡(21) 및 천막(5)과 하부캡(22)을 함께 결합 고정하여,
    그 하부캡(22)의 저면이 전기한 나사봉(10)의 돌출조(14)에 거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2. 제 1항에 있어서, 나사봉(10)의 돌출조(14)에는 링상의 회전부시(15)를 삽입하여 회전마찰력이 감소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KR2020020000641U 2002-01-09 2002-01-09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KR200272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41U KR200272630Y1 (ko) 2002-01-09 2002-01-09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41U KR200272630Y1 (ko) 2002-01-09 2002-01-09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630Y1 true KR200272630Y1 (ko) 2002-04-20

Family

ID=7308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41U KR200272630Y1 (ko) 2002-01-09 2002-01-09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6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28Y1 (ko) 2009-07-13 2010-06-17 이승수 전시회 부스용 지붕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지붕
KR101003747B1 (ko) * 2009-12-10 2010-12-23 (주)신흥이앤지 장력조절이 가능한 마스트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28Y1 (ko) 2009-07-13 2010-06-17 이승수 전시회 부스용 지붕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지붕
KR101003747B1 (ko) * 2009-12-10 2010-12-23 (주)신흥이앤지 장력조절이 가능한 마스트 헤드
WO2011071200A1 (ko) * 2009-12-10 2011-06-16 (주)신흥이앤지 장력조절이 가능한 마스트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518B2 (en) Fabric covered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of such structure
CN111075258A (zh) 一种户外安装方便的帐篷专用防风钉
KR200272630Y1 (ko)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CN211818513U (zh) 一种户外安装方便的帐篷专用防风钉
KR200293991Y1 (ko) 안테나 지지대
CN113236011B (zh) 便于安装的横担及使横担便于安装的方法
KR200278412Y1 (ko) 텐트용 천막의 장력조절구 결합구조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CN218920311U (zh) 高稳定性的光伏太阳能地桩
KR101859140B1 (ko) 필름형 막 클램핑 장치
KR200300906Y1 (ko) 천막 승하강장치
KR200392021Y1 (ko) 신축성 가로등주
CN209435167U (zh) 一种交通信息显示牌的太阳能板自动转向装置
KR10051705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200320121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
CN2813755Y (zh) 装配式雨搭
CN218236798U (zh) 一种升降式大气监测装置
CN215714780U (zh) 工程监理用施工现场警示装置
CN215570232U (zh) 一种移动式自供电工程路灯
KR200425987Y1 (ko) 어닝의 지주 및 수평지지대 고정구조
KR200367897Y1 (ko) 창문 고정장치
CN210049646U (zh) 现场临时设施遮阳装置
CN219365610U (zh) 一种拉线铁塔
KR200339340Y1 (ko) 조립식 대형 텐트의 결합구조
CN218292539U (zh) 一种用于屋顶的耐腐蚀太阳能光伏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