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491Y1 -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491Y1
KR200272491Y1 KR2020020001139U KR20020001139U KR200272491Y1 KR 200272491 Y1 KR200272491 Y1 KR 200272491Y1 KR 2020020001139 U KR2020020001139 U KR 2020020001139U KR 20020001139 U KR20020001139 U KR 20020001139U KR 200272491 Y1 KR200272491 Y1 KR 200272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air inlet
water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용
Original Assignee
리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1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49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식 클린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주행 등에 의해 타이어의 둘레면에서 이격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나 호스(5)를 통해 에어레이터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0)가 구비된 바디(10)와, 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로 연통되는 챔버(30)와, 이 챔버(30)에 연통되어 바디(1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20)는 챔버(3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챔버(30)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바디(10) 양측의 공기분출구(40)를 통해 균형을 이루어 배출되므로, 상기 바디(10)가 요동되지 않고 수중에 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사노즐{injection nozzle}
본 고안은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공기를 분출하여 회오리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므로, 공기방울을 작게 만들고 진동이나 요동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설치가 간편하고 내구성과 수명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고기 등을 양식하는 양식장이나 오폐수를 처리하는 폭기시설에는 물속에 공기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에어레이터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레이터는 통상 콤프레서에 의해 공기를 압축시켜 에어탱크로 공급하며, 이 에어탱크에는 연결관에 의해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속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레이터와 분사노즐에 의해 수중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되면 공기방울이 발생되면서 물속에 용존산소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공기방울은 작게 발생되어야 물과의 접촉면적이 늘어나 물속에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분사노즐은 보통 작은 구멍을 통해 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는데, 공기 방울이 크게 발생되어 공기방울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용존산소량의 증가 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공기가 분출되면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진동이나 요동이 발생되므로,이에 연결된 장치나 시설의 내구성이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폭기시설은 통상 폭기조의 저면에 소정 간격의 미세한 공기분출공이 형성된 길다란 공기분출 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분출공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공기를 분출시켜 공기방울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속에 용존산소를 발생시켜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폭기시설의 경우에는 설치시 물속에서 수중 작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상기 공기분출 파이프의 공기분출공이 수중의 플랑크톤 등에 의해 이끼가 발생되거나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를 수시로 청소하거나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막힘이나 터짐현상이 발생되어 폭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사노즐의 설치시, 수중 작업이 필요없이 수상에서 호스 등으로 연결하여 하강시키면 수중에서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공기를 분출하여 회오리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므로, 기포가 작아지고 진동이나 요동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설치가 간편하고 내구성과 수명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분사노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분사노즐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호스 10. 바디
20. 공기유입구 30. 챔버
40. 공기배출구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나 호스(5)를 통해 에어레이터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0)가 구비된 바디(10)와, 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로 연통되는 챔버(30)와, 이 챔버(30)에 연통되어 바디(1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20)는 챔버(3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챔버(30)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바디(10) 양측의 공기분출구(40)를 통해 균형을 이루어 배출되므로, 상기 바디(10)가 요동되지 않고 수중에 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구(20)는 바디(10)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구(20)의 직경은 챔버(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분사노즐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노즐은 호스(5) 등에 의해 에어레이터와 연결되는 바디(10)와, 이 바디(1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0)와 챔버(30) 및 공기배출구(4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통상 사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상측에는 호스(5)에 의해 에어레이터 등의 공기공급장치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0)가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구(20)에 연통되도록 그 내부에 챔버(30)가 형성되며, 이 챔버(30)에 연통되도록 그 양측에 공기배출구(4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20)는 바디(10)의 상측에 관통형성된 것으로, 상기 호스(5)에 의해 에어레이터의 에어탱크에 연통되어, 이 에어탱크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챔버(30) 쪽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20)는 바디(10)의 무게중심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챔버(30)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점선 부분과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챔버(30)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공기분출구(40)를 통해 분출된다. 이때, 상기 챔버(30)는 그 내벽면이 라운딩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40)는 챔버(30)로 연통되도록 바디(10) 양측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그 직경은 상기 챔버(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공기가 소정 압력으로 주입되면, 상기 공기분출구(40)의 중심측 부근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공기분출구(40)를 통해 챔버(30) 방향으로 급속도로 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챔버(30)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공기분출구(40)를 통해 챔버(30) 쪽으로 유입된 물과 섞이면서 작은 공기방울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분출구(40)는 바디(10) 양측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분출되는 공기가 좌우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바디(10)가 요동하거나 진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바디(10)의 양측으로 동시에 작은 공기방울이 형성되면서 물속에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은 바디(10)의 양측 대향되는 위치에 공기분출구(40)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좌우 균형을 이루므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는 등의 요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바디(10)의 양측 공기분출구(40)를 통해 동시에 공기가 분출되면서 작으면서도 많은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물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게 되므로, 물속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종래와 같이 폭기조의 저면에 배치된 공기분출 파이프의 공기분출공이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터지는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설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 등의 코스트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폭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수중 작업이 필요없이 수면에서 파이프나 호스(5) 등에 연결하여 수중에 설치하게 되면, 공기 분출시 수중에서 요동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은 양측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균형을 이루므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회전되는 등의 요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처럼 공기의 분사시 요동하거나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에 연결된 시설의 내구성 향상과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으며, 양측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분출공을 통해 작으면서도 많은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물과의 접촉 면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물속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파이프나 호스(5)를 통해 에어레이터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0)가 구비된 바디(10)와, 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로 연통되는 챔버(30)와, 이 챔버(30)에 연통되어 바디(1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20)는 챔버(3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챔버(30)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바디(10) 양측의 공기분출구(40)를 통해 균형을 이루어 배출되므로, 상기 바디(10)가 요동되지 않고 수중에 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20)는 바디(10)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구(20)의 직경은 챔버(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노즐.
KR2020020001139U 2002-01-14 2002-01-14 분사노즐 KR200272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39U KR200272491Y1 (ko) 2002-01-14 2002-01-14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39U KR200272491Y1 (ko) 2002-01-14 2002-01-14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491Y1 true KR200272491Y1 (ko) 2002-04-17

Family

ID=730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39U KR200272491Y1 (ko) 2002-01-14 2002-01-14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4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5B1 (ko) 2016-07-08 2017-10-17 김종화 원예 시설용 수분 분사 노즐
WO2018026221A1 (ko) * 2016-08-04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5B1 (ko) 2016-07-08 2017-10-17 김종화 원예 시설용 수분 분사 노즐
WO2018026221A1 (ko) * 2016-08-04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9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icrobubble-contained liquid and microbubble generator to be assembled in the system
WO2008050826A1 (fr) Appareil d'aération
KR200272491Y1 (ko) 분사노즐
US6357727B1 (en) Ozoniz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KR20080101047A (ko) 미세기포 발생용 노즐
JP3733377B2 (ja) 混気用ノズル
KR100843390B1 (ko) 워터젯 커팅장치
JP4307803B2 (ja) 曝気装置
KR20110072674A (ko) 워터젯 커팅장치
JP5010550B2 (ja) 気泡発生装置
KR101162576B1 (ko) 수질 개선용 폭기 시스템
JP3142412B2 (ja) バブリング洗浄装置
KR20050091151A (ko) 산소수 제조장치
KR101654786B1 (ko) 회전류 발생기
JP2005095605A (ja) 気泡発生装置
KR100258317B1 (ko) 샤워기 분사구조
KR200303411Y1 (ko) 오폐수 및 하수처리장용 산소공급장치
KR200281129Y1 (ko) 인젝터
WO200200221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de petites bulles
KR100656098B1 (ko) 개선된 무화 절삭유 공급장치
JP2663608B2 (ja) ジェットポンプ
KR100191423B1 (ko) 압력맥동을 이용한 산기장치
JPH08229927A (ja) セメントミルク製造装置
JP2007301561A (ja) 気泡粉砕ノズル
KR200255202Y1 (ko) 기액접촉식 공기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