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169Y1 -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169Y1
KR200272169Y1 KR2020020001357U KR20020001357U KR200272169Y1 KR 200272169 Y1 KR200272169 Y1 KR 200272169Y1 KR 2020020001357 U KR2020020001357 U KR 2020020001357U KR 20020001357 U KR20020001357 U KR 20020001357U KR 200272169 Y1 KR200272169 Y1 KR 200272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motor
unit
hydraulic pump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채
Original Assignee
유선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채 filed Critical 유선채
Priority to KR2020020001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169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재활용품 및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에 사용되는 너클 크레인의 장비의 동력원으로서 기존의 경유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작업장의 환경 오염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재활용품 또는 폐기물을 수거 운반하기 위한 작업기와 이 작업기를 구동하는 다수의 작업기 실린더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용전원부, 건설 기계의 각각의 작업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부, 모터부의 구동축과 유압 펌프의 구동축을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 모터부의 발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모터부의 모터의 회전과 방열부의 방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유압 펌프, 모터부, 결합 수단 및 방열부가 엔진룸내에 형성되고, 제어부는 상기 엔진룸의 외부에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건설 기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작업장내에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고, 또한 장비의 유지 보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A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electric power}
본 고안은 동력원으로서 전기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활용품 및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에 사용되는 너클 크레인의 장비의 동력원으로서 기존의 경유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각 작업기(붐, 암, 버켓)와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붐실린더, 암실린더, 버켓실린더, 그리고 굴삭기 몸체의 선회동작을 위한 선회모터 등의 작업기와 상기 각 작업기 구동실린더에 동력원인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원동기와 유압펌프로 구성되어 굴삭, 배토, 땅고르기, 집하 작업 등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유압식 건설기계이다.
이 굴삭기를 사용하여 정지작업, 일정각 굴삭 또는 폐기물 집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붐, 암, 버켓이 동시에 제어되고 버켓 또는 암 선단을 일정한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건설기계의 1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는 엔진실 및 유압실을 구비한 굴삭기 본체(1), 굴삭기 본체(1)의 각 작업기인 붐(5), 암(6), 버켓(7) 및 각 작업기의 실린더인 붐실린더(8), 암실린더(9)와 버켓실린더(10)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일정 작업 환경 범위 내에서 가동 무한 궤도식의 건설기계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비교적 장거리의 작업환경에서는 타이어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작업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된다.
도 2에 있어서는 굴삭기 본체(1)의 각 작업기인 붐(5), 암(6), 버켓(7)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인 원동기(2), 원동기에 의해 각 작업기 실린더인 붐실린더(8), 암실린더(9), 버켓실린더(10)에 압유를 공급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3), 유압펌프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비례 감압밸브(19)에 의해 유압펌프의 사판각을 제어하여 펌프에서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펌프 토출유량 제어장치 및 각 작업기 실린더인 붐실린더(8), 암실린더(9), 버켓실린더(10), 선회모터(11)로의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전자비례 제어밸브(MCV)(20), 원동기의 출력 마력을 제어하기 위해 엔진 회전수 검출기(18)에서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여 각 작업기의 부하정도에 따라 엔진의 출력 마력을 제어하는 엔진 가버너 모터(22)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운전자가 도 2의 조작패널(14) 중의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14c)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자동화 작업이 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이스틱(12), (13)를 조작하여 수동 조작으로 작업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또, 도 2에 있어서 (14a), (14b)는 굴삭각도 설정수단이고, (15)는 작업종료 지시램프이며, (16)은 작업종료를 음성으로 알리는 스피커이다. 또한, (21)은 각 부분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검출장치이고, (23)은 원동기인 엔진(2)의 가동에 의한 발열을 저감시키기 위한 팬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건설기계의 1예로서 굴삭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하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인출하여 유압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크레인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크레인은 대개 직진식과 굴절식 크레인으로 대별되며, 엔진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축(Power Take-Off : PTO축)을 통하여 인출하여 유압펌프를 구동하게 되고, 엔진의 구동력은 각종 동작부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유압동력원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탑재용 크레인은 크게 차량에 탑재되고 양단부에 아우트리거를 가짐과 동시에 상면 중앙부에는 턴테이블을 갖는 크레인 베이스,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된 턴테이블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 칼럼으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어 또는 상하 기록 작동하는 붐 및 붐을 따라 설치되어 중량물을 인양하고 하적하는 윈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크레인 베이스에는 유압모터, 오일탱크, 유압밸브 등의 각종 유압기구가 설치되고, 이와 같은 유압기구들에 의한 유압전달은 엔진의 구동력을 PTO축을 통하여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즉, PTO축을 통하여 엔진의 구동력이 유압펌프로 전달되고 유압펌프에 의하여 오일탱크에 수용된 작용유가 메인 컨트롤밸브로 압송되며, 메인 컨트롤밸브로 유입된 작동유는 각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는 조작레버들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각 동작부의 실린더들이나 유압모터로 압송되어 각 동작부가 선택적으로 동작됨으로써 크레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동작부로 압송된 오일은 다시 메인 컨트롤밸브를 경유하여 오일탱크로 복귀된다.
또, 메인 컨트롤밸브는 대략 4개의 밸브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컨트롤밸브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차례로 턴테이블 상부의 칼럼을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붐을 좌우로 선회시키기 위한 스윙밸브, 붐을 신축하기 위한 익스텐션 밸브, 붐을 상하로 기복 작동시키기 위한 데릭밸브 및 윈치를 구동하기 위한 윈치작동밸브를 가진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밸브의 최하부에는 유압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작동유를 유입하기 위한 공급포트부가 설치되고, 메인 컨트롤밸브의 최상부에는 작동유를 오일탱크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포트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밸브의 유로전환구조를 가진 크레인을 운전하기 위한 유압은 적당한 작업속도 및 작업능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차량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설정되고, 대개는 엔진 측의 가속기 레버를 소정의 회전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선회시켜 조절해 놓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을 운전하게 된다.
크레인 작업과정에서는 무부하로부터 과부하까지 다양한 부하를 받으며 동작부가 구동되고, 이와 같은 다양한 부하에 따라 동작부의 작동유압에 대한 유량도 달라지며, 이는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었다.
상기와 같은 굴삭기의 제어 또는 차량용 크레인의 제어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4-0002438호 및 특1998-003348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기계에 있어서 엔진은 흡입, 압축, 팽창, 배기의 4행정에 의해 실린더가 작동되어 엔진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서는 휘발유, 등유 등의 연료를 사용해야 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엔진은 연료 효율성이 떨어지고 또한 매연 등에 의한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폐자재 또는 고물 등을 취급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업하는 무한궤도형의 굴삭기에 있어서는 엔진기계의 소음, 매연, 작업장의 기름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등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엔진의 경우는 주기적으로 연료를 보충해야 하고, 에어크리너, 필터류 등 각종 소모품을 교환해 주어야 하며, 동절기에는 부동액 등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유지비용뿐만 아니라 엔진오일이나 부동액의 폐유를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점까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계적 소음, 매연, 기름오염 등 작업주변의 환경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동력의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설기계 장비의 유지비용의 절감 및 장비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동력의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기계의 실 가동시간을 연장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기동력의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기계의 일종인 굴삭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동력의 건설기계의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부와 유압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의 결합 부재인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제2의 결합 부재인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 제3의 결합 부재인 C-C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전원부 32 : 모터부
33 : 유압부 34 : 기기 작동부
35 : 방열부 36 : 조작 제어부
43 : 모터의 구동축 46 : 유압 펌프의 구동축
45 : 제1의 결합 부재 48 : 제2의 결합 부재
49 : 제3의 결합 부재 50 : 공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동력의 건설기계는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재활용품 또는 폐기물을 수거 운반하기 위한 작업기와 이 작업기를 구동하는 다수의 작업기 실린더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용전원부, 상기 건설 기계의 각각의 작업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 상기 전원부로부터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을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 상기 모터부의 발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상기 모터부의 모터의 회전과 상기 방열부의 방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은 상기 결합 수단을 거쳐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되며. 상기 유압 펌프, 모터부, 결합 수단 및 방열부가 엔진룸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룸의 외부에 마련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의 결합 부재,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의 결합 부재,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의 결합 부재, 제2의 결합 부재 와 제3의 결합 부재를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결합 부재, 제2의 결합 부재 및 제3의 결합 부재는 분리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3의 결합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는 금속과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제1의 결합 부재가 키결합되고,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과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는 기어가 맞물린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이 공간을 두고 유지되도록 상기 제3의 결합 부재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바퀴는 무한 궤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의 결선은 Y-Δ(와이-델타) 결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동력의 건설기계의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31)은 전원부로서, 상용전원을 코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32)는 종래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엔진 대신에 사용되는 모터부로서, 4극 모터를 사용한다.
(33)은 모터부(32)에 결합되고 건설기계 본체의 각 실린더로 압류를 공급하는 유압부이고, (34)는 건설기계의 작업기인 붐, 암, 버켓 등으로 이루어진 기기 작동부이다.
또, (35)는 모터부(32) 및 유압부(33)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이고, (36)은 모터부(32), 유압부(33) 및 방열부(35)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제어부이다.
이 조작제어부(36)에 있어서는 시동시 모터부(32)의 속도를 조정하여 모터 및 유압 기기의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Y-Δ(와이-델타) 결선 되어 있고, 초기 시동시 Y결선으로 토크를 1/3로 줄여 시동하고, 소정 시간 내에 Δ결선으로 전환하여 전속으로 유지하게 한다. 즉, 단상 220V, 380V, 440V를 Y결선과 Δ결선으로 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모터부(32) 및 유압부(33)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부와 유압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의 결합 부재인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제2의 결합 부재인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있어서 제3의 결합 부재인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41)은 전원부(31)와 조작 제어부(36)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 고안에 따른 건설기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이고, (42)는 건설 기계의 각각의 작업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이다.
(43)은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고, (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축(43)에 그 축 방향을 따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된 돌출부이다.
(45)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모터부의 구동축(43)에 결합된 제1의 결합 부재이고, 이 제1의 결합 부재의 안쪽에는 돌출부(44)가 삽입되는 오목부(57)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4)와 오목부(57)는 키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46)은 모터(41)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유압 펌프(4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고, (4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동축(46)상에 그 축 방향으로 톱니 형상 또는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의 기어부이다.
(48)은 유압 펌프의 구동축(46)과 맞물리는 제2의 결합 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결합 부재(48)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진 내부 금속부(58)와 이 금속부(58)의 외부에 마련된 고무재로 이루어진 수지부(60)가 체결 나사(62)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금속부(58)의 안쪽에는 유압 펌프의 구동축(46)의 제1의 기어부(47)와 맞물리기 위한 제2의 기어부(59)가 마련되어 있다.
(49)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제1의 결합 부재(45)와 제2의 결합 부재(48)를 결합시키는 제3의 결합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의 구동축(43)과 유압 펌프의 구동축(46)이 공간을 두고 유지되도록 마련된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결합 부재(45)와 제3의 결합 부재(49)는 나사(51)에 의해 결합되고, 제2의 결합 부재(48)와 제3의 결합 부재(49)는 나사 (52)에 의해 결합되어 제1의 결합 부재(45), 제2의 결합 부재(48) 및 제3의 결합 부재(49)는 일체화되어 결합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제1의 결합 부재(45), 제2의 결합 부재(48) 및 제3의 결합 부재(49)는 각각의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분리 가능하다.
또, 도 4에 있어서, (53)은 제1의 결합 부재(45), 제2의 결합 부재(48) 및 제3의 결합 부재(49)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41)와 유압 펌프(42)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1의 결합 부재, 제2의 결합부재 와 제3의 결합 부재를 밀봉하는 커버이며, 나사(54)에 의해 모터(41)와 유압 펌프(42)에 고정된다.
(55)는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마련된 팬이며, 이 팬(55)은 소형 모터(56)에 의해 작동된다. 이 팬(55)과 소형 모터(56)로 방열부(35)가 구성된다. 또, 도 4에 있어서, (57)은 조작 제어부(36)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모터(41)로 전달하기 위한 모터 전원공급부이다.
상술한 모터(41), 유압 펌프(42), 결합 수단 및 방열부로 엔진룸(100)이 형성되고, 모터(41)의 회전과 방열부의 방열 상태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36)는 엔진룸(100)의 외부에 마련된다.
또, 도 4에 있어서, (101)와 (102)는 각각 모터(41)와 소형 모터(5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이다.
다음에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재활용품 및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에 사용되는 너클 크레인의 장비의 동력원으로서 기존의 경유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부(31)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모터(41)의 속도를 조정하여 모터(41) 및 유압 펌프(42)의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Y-Δ(와이-델타) 결선 되어 있는 조작 제어부(36)에 의해, 초기 시동시 Y결선으로 토크를 1/3로 줄여 시동하고, 소정 시간 내에 Δ결선으로 전환하여 모터(41)를 전속으로 유지하게 한다.
모터(41)의 회전력은 구동축(43)으로 전달되고, 이 구동력은 돌출부(44)와 키결합된 오목부(57)를 구비한 제1의 결합 부재(45)와 이 제1의 결합 부재와 결합된 제3의 결합 부재(49)를 거쳐 제2의 결합 부재(48)로 전달된다.
제2의 결합 부재(48)로 전달된 구동력은 제2의 기어부(59)와 맞물린 제1의 기어부(47)를 통해 유압 펌프(42)의 구동축(46)으로 전달되어 건설 기계의 각각의 작업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42)를 구동한다.
이 유압 펌프(4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재활용품 및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의 구동축(43)에 하나의 돌출부(44)만을 마련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돌출부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의 구동축(43)에 돌출부(44)를 마련하고, 제1의 결합부재(45)에 오목부(57)를 마련하여 구동축(43)과 제1의 결합 부재(45)가 키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돌출부를 제1의 결합 부재에 마련하고 오목부를 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마련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재활용품 및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에 사용되는 너클 크레인의 장비의 동력원으로서 기존의 경유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건설 기계에 의하면, 종래의 기계에 있어서, 연료의 보충, 각종 소모품의 교환, 엔진의 고장 수리, 동절기의 시동에 필요한 시간 등에 관계없이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건설 기계의 실 가동 시간이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며, 건설 기계의 주요 부품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의하면, 재활용품 또는 폐자재 등을 취급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업하는 무한궤도형의 굴삭기에 있어서 엔진기계의 소음, 매연, 작업장의 기름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하고, 등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엔진의 경우 주기적인 연료의 보충, 에어크리너, 필터류 등 각종 소모품의 교환, 동절기에 부동액의 사용 등에 다른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의하면, 제1의 결합 부재(45), 제2의 결합 부재(48) 및 제3의 결합 부재(49)는 각각의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분리 가능하므로, 제1의 결합 부재(45), 제2의 결합 부재(48) 도는 제3의 결합 부재(49) 중의 어느 하나가 손상된 경우 결합 수단 전체를 교환하는 일없이 손상된 결합 부재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그 유지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6)

  1.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재활용품 또는 폐기물을 수거 운반하기 위한 작업기와 이 작업기를 구동하는 다수의 작업기 실린더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용전원부,
    상기 건설 기계의 각각의 작업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을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
    상기 모터부의 발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상기 모터부의 모터의 회전과 상기 방열부의 방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은 상기 결합 수단을 거쳐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되며.
    상기 유압 펌프, 모터부, 결합 수단 및 방열부가 엔진룸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룸의 외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의 결합 부재,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의 결합 부재,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의 결합 부재, 제2의 결합 부재 와 제3의 결합 부재를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결합 부재, 제2의 결합 부재 및 제3의 결합 부재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3의 결합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는 금속과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결합 부재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제1의 결합 부재가 키결합되고,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과 상기 제2의 결합 부재는 기어가 맞물린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상기 유압 펌프의 구동축이 공간을 두고 유지되도록 상기 제3의 결합 부재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바퀴는 무한 궤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의 결선은 Y-Δ(와이-델타) 결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2020020001357U 2002-01-16 2002-01-16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KR200272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57U KR200272169Y1 (ko) 2002-01-16 2002-01-16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57U KR200272169Y1 (ko) 2002-01-16 2002-01-16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488A Division KR100465770B1 (ko) 2002-01-16 2002-01-16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169Y1 true KR200272169Y1 (ko) 2002-04-17

Family

ID=7307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57U KR200272169Y1 (ko) 2002-01-16 2002-01-16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1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15B1 (ko) 2009-02-17 2012-02-27 안은삼 전기식 굴삭기의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15B1 (ko) 2009-02-17 2012-02-27 안은삼 전기식 굴삭기의 동력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565B1 (ko) 작업 기계의 전액 구동 시스템
EP2802528B1 (en) hydraulic circuit architecture for a mobile work vehicle including a hydraulic PROPEL CIRCUIT AND a hydraulic WORK CIRCUIT
US8136271B2 (en) Hydraulic unit and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4434123B2 (ja)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US6962050B2 (en) Hybrid machine with hydraulic drive device
JP2008157161A (ja) マルチポンプユニットおよびマルチポンプユニット付車両
US8690553B2 (en) Service pack tandem pump
US20090218173A1 (en) Aerial Work Platform with Compact Air Compressor
US20030056404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20093195A (ko) 건설 기계
CN86108701A (zh) 液压建筑机械的控制系统
US6434864B1 (en) Frontal loader
US20070044462A1 (en) Compact hydrostatic energy recu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2526306B1 (en) Low speed hydraulic control for fine control of hydraulic cranes
EP1199411B1 (en) Shovel
US12031289B2 (en) Working machine
KR101104345B1 (ko)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CN111788355B (zh) 用于作业机械的液压系统和控制液压系统的方法
KR100465770B1 (ko)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KR200272169Y1 (ko)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US12013023B2 (en) Drive unit for a construction and/or material handling machine
JP2003239902A (ja) 建設機械の動力装置
JP2013133172A (ja) 産業用車両
JP2004068975A (ja) 建設機械
JPH09165789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