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62Y1 - 전기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62Y1
KR200272062Y1 KR2020020002541U KR20020002541U KR200272062Y1 KR 200272062 Y1 KR200272062 Y1 KR 200272062Y1 KR 2020020002541 U KR2020020002541 U KR 2020020002541U KR 20020002541 U KR20020002541 U KR 20020002541U KR 200272062 Y1 KR200272062 Y1 KR 200272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il
holder
voice co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2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6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컨대 셀룰라폰이라든지 PCS폰을 포함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메인PCB에 장착되어 그 PCB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하도록 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각 코일단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진동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를 정의하는 요크벽의 외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에어갭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이 개재되도록 이격배치되면서 그 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재치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수납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상기 외부적인 전기신호에 접속되도록 적용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진 접점홀더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요크부재 및 접점홀더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점홀더의 상부홀더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점판이 매설되고, 그 접점판에 접촉되어 외부의 전기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접점부재는 권선밀도가 성근 상부코일부와 대직경의 중간지지부, 권선밀도로 형성된 하부코일부 및, 권선밀도가 밀하면서 하향적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접점코일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음향변환장치{ELECTRO-ACOUSTIC TRANSDUCER}
본 고안은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표적으로 셀룰라폰이라든지 PCS폰을 포함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실장되어 그 메인 PCB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예컨대 호출경보를 위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하여 출력하도록 설계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셀룰라폰이나 PCS폰을 포함하는 휴대통신단말에는 필수적으로 그 메인PCB상에 통화상대방의 호출 또는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나 음성을 재생출력하기 위한 전기음향변환장치가 구비된다.
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대개 극성이 고정된 마그네트와 외부적(즉, 휴대통신단말의 PCB)으로 전기신호(즉, 호출경보음 또는 통화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보이스코일이 결합된 진동판으로서의 다이어프램을 갖추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기음향변환장치는 보이스코일에 외부(예컨대 휴대통신단말의 메인PCB)로부터 음향발생을 위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그 보이스코일과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계회로에 의해 보이스코일에 진동력이 발생되고, 그 진동력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진동하여 음향(또는 음성)을 재생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휴대통신단말에 적용되는 경우 그 내부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는 구조가 설계되는 바, 그 휴대통신단말의 PCB에 설계된 전기신호출력단에 보이스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접점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로 표시된 전기음향변환장치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하우징(3)을 포함하게 되고, 그 하우징(3)의 내부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다수의 고정돌기(5a,5b)가 형성되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는 자계회로(7)가 형성되는 바, 그 자계회로(7)에 대해서는 환형상의 마그네트(9)가 갖추어짐과 더불어 그 마그네트(9)의 상측에는 환형상 커버디스크(11)가 배치되며, 그 마그네트(9)의 하측에는 요크부재(13)의 환형상 코어디스크(Core disc)(13a)가 위치된다.
상기 요크부재(13)는 중공형태의 원통형 요크부(13b)를 갖추게 되는 바, 그 요크부(13b)는 상기 코어디스크(13a)로부터 이격된 단부가 수평라인상에서 상기 커버디스크(11)에 대응하도록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디스크(11)와 요크부재 (13)의 상기 요크부(13b)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에어갭(air gap)(15)이 형성된다.
또, 상기 에어갭(15)내에는 외부적으로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2개의 코일단 (17a)을 갖는 보이스코일(17)이 위치되는 바, 그 보이스코일(17)의 각 코일단(17a)은 포트(Pot)형상의 접점홀더(19)의 일측 벽(21a)에 기구적으로 연결되고, 그 접점홀더(19)의 일측 벽(19a)에 기구적으로 연결된 위치(21)에서 상기 보이스코일(17)의 각 코일단(17a)은 상기 대응하는 접점단자(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점단자(23)는 대체로 U-자형상의 스프링접점단자로 형성되고, 그 접점단자(23)의 자유단(23a)이 예컨대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에 접촉되어 해당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1)가 그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기음향변환장치는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상기 접점단자(23)의 자유단(23a)이 접속되도록 실장된 상태에서는 그 메인 PCB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상기 접점단자(23)의 자유단(23a)을 통해 상기 접점홀더(19)의 일측 벽(19a)에 정의된 위치(21)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보이스코일(17)의 각 코일단(17a)에 인가된다.
그러면, 그 보이스코일(17)은 상기 자계회로(7)를 형성하는 상기 마그네트 (9)와의 사이에서 자기회로가 형성됨에 따라 그 보이스코일(17)은 상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진동하게 되고, 그 진동에 의해 상기 보이스코일(17)이 결합된 다이어프램(25)이 진동하여 음향(또는 음성)을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보이스코일(17)의 코일단(17a)을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다른 예로서는 접점홀더의 하벽상에 별도의 PCB부재를 채용하여 그 별도의 PCB부재상에 보이스코일의 양 코일단을 납땜하고나서 대응하는 스프링부재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에 전기적인 접속이 연계되도록 하는 구조도 제안된 상태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서는 상기 접점홀더(19)의 일측 벽(19a)에 정의된 위치(21)에서 상기 보이스코일(17)의 양 코일단(17a)을 납땜함과 더불어 상기 U-자형상의 스프링에 의한 접점단자(23)의 일단을 용접해야만 되고, 그 때문에 그 접점단자(23)의 용접이 선공정으로 행해지게 되면 해당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조립이 불편해져서 제조가 복잡해지는 반면 그 용접이 후공정으로 행해지게 되면 조립시 단선 등의 위험이 배제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한 구조의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U-자형상의 스프링에 의한 접점단자(23)는 그 자유단(23a)이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에 최적으로 접촉되도록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충분한 접촉탄성력을 확보한 상태이라해도, 그 취급상에 그 자유단(23a)의 만곡형상이 변형되면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밀접되지 않게 되어 신뢰성에서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그에 대해, 별개의 PCB를 채용하여 보이스코일의 양 코일단을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방법에서는 해당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내부에 최소한 하나의 구성부품이 추가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소형화 설계에는 적절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상기 보이스코일의 양 코일단이 납땜접속되는 별개의 PCB에 스프링부재가 전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고신뢰성으로 접촉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의 설계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스코일의 양 코일단을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높은 신뢰성 및 안전성을갖고서 접촉되도록 하면서 소형화의 구조에도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설계된 전기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르면 각 코일단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진동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를 정의하는 요크벽의 외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에어갭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이 개재되도록 이격배치되면서 그 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재치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수납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상기 외부적인 전기신호에 접속되도록 적용되는 접점홀더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요크부재 및 접점홀더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점홀더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점판이 매설됨과 더불어 그 접점판에 대해서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가 배치된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성 탄성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접점홀더에 관통형성된 관통공내에 수납되어 그 일단은 상기 도전성 접점판에 고착접촉되고, 그 타단은 하향적으로 점차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코일단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진동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를 정의하는 요크벽의 외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에어갭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이 개재되도록 이격배치되면서 그 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재치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수납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상기 외부적인 전기신호에 접속되도록 적용되는 접점홀더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요크부재 및 접점홀더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점홀더는 상호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구성되고, 그 상부홀더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점판이 매설됨과 더불어 그 접점판에 대해서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접점부재가 배치된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의 접면되는 위치가 확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재는 권선밀도가 성근 상부코일부와 상대적인 대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공의 확광부에 위치되는 중간지지부, 그 중간지지부의 하측에서 성근 권선밀도로 형성된 하부코일부 및, 그 하부코일부의 하측에 형성된 권선밀도가 밀하면서 하향적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접점코일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에 의하면, 접점홀더의 내부에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점판 또는 접속판을 매설하고 그 접점판(접속판)과 휴대통신단말의 PCB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적용하여 탄성적으로 연계되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의 PCB로부터의 전기신호가 그 스프링을 경유하여 상기 접점판(접속판)에 연결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그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의 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음향변환소자, 3: 하우징,
9: 마그네트, 13: 요크부재,
17: 보이스코일, 19: 접점단자,
21: 접점홀더, 31: 하우징,
33: 요크부재, 35: 마그네트,
37: 에어갭, 43: 다이어프램,
45: 보이스코일, 47: 접점홀더,
53: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 61: 접점홀더,
61a: 상부홀더, 61b: 하부홀더,
67: 도전성 접점판, 71: 도전성 접속부재.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중공형태의 원통형 하우징 (31)내에는 요크부재(33)가 수납되고, 그 요크부재(33)의 중앙은 일정한 직경의 관통구(33a)로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33a)를 정의하는 외주변은 상향으로 절곡되어 요크벽(33b)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크부재(33)에서 상기 요크벽(33b)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3c)상에는 자계회로를 구성하는 환형상의 마그네트(35)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요크부재(33)의 요크벽(33b)과 상기 환형상 마그네트(35)의 사이에는 에어갭(37)이 확보되도록 상호 이격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환형상 마그네트(35)상에는 링부재(39)가 재치되는 바, 그 링부재(39)상에는 주변단부가 그 링부재(39)의 후방 단부에 결착되는 고정부재(41)에 결합된 다이어프램(진동판; 43)이 위치된다.
상기 다이어프램(43)의 저면에는 대체로 환형상으로 권취된 보이스코일(45)이 고착되는 바, 그 보이스코일(45)은 상기 요크부재(33)의 요크벽(33b)과 상기 마그네트(35)의 사이에 정의된 에어갭(37)내에 위치된다.
또, 상기 요크부재(33)의 요크벽(33b)에 의해 정의된 상기 관통구(33a)내에는 상기 보이스코일(45)의 양 코일단(45a)을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접점홀더(47)가 장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점홀더(47)는 상기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 (45a)이 전기적으로 납땜되는 도전성(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의 접속판(49)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매설되도록 예컨대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접점홀더 (47)의 상측에는 상기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이 대응적으로 접속되는 코일접속부(47a,47b)가 제공된다.
또, 그 코일접속부(47a,47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점홀더(47)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는 바, 그 관통공(51)내에는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53)가 내설된다.
상기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53)의 일단(즉, 도면의 상단)은 상기 접속판 (49)에 용접결합되고, 그 타단은 그 중앙부분에 비해 점차 감소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해서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서의 접촉면적을 최적화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에서는 상기 접점홀더 (47)의 형성시에 상기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을 위한 코일접속부 (47a,47b)가 제공되면서 내부에는 그 코일접속부(49a,49b)에 접속될 보이스코일 (45)의 각 코일단(45a)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상기 도전성의 접속판(49)이 매설됨과 더불어 상기 관통공(51)내에 수납된 상기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53)의 일단은 상기 접속판(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휴대통신단말의 메인 PCB상에 압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을 상기 접점홀더(47)에 제공된 코일접속부(47a,47b)에 납땜접속하고나서 그 전기음향변환장치를 휴대통신단말의 PCB상에 실장하게 되면, 그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이 상기 접속판 (49)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접속부재(53)을 통해 그 휴대통신단말의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의 PCB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53)와 상기 접속판(49)를 통해 상기 보이스코일(45)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37)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기회로의 자계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43)이 진동하게 되어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 재생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제 2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상기한 제 1실시예의 구조에서 접점홀더의 구조만이 다르게 설계된다.
즉, 도면에서 61로 표시된 접점홀더는 상부홀더(61a)와 하부홀더(61b)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바, 그 상부홀더(61a)의 소정위치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6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61b)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돌기(63)와 대응하는 수의 결합요홈(65)이 형성되며, 그 결합돌기(63)와 상기 결합요홈(65)을 대응적으로 끼워맞춤하면 상기 상부홀더(61a)와 상기 하부홀더(61b)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접점홀더(61)를 이루게 된다.
본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접점홀더(61)의 상기 상부홀더 (63)내에는 도전성 접점판(67)이 매설된다.
또, 상기 상부홀더(61a)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부홀더(61b)의 하면에 이르도록 관통공(69)이 형성되는 바, 그 관통공(65)은 그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확광부 (65a)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광부(65a)는 상기 상부홀더(61a)의 저면은 외측방향으로 테이퍼가공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홀더(61b)의 상단이 요부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상부홀더(61a)와 상기 하부홀더(61b)의 결합시에 형성되는 구조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65)내에는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을 휴대통신단말의 PCB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접점부재(71)가 수납된다.
그 접점부재(71)를 형성하는 코일스프링은 권취밀도가 성근 상부코일부(71a)와 그 상부코일부(71a)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공(65)의 확광부(65a)에 수납되는 중간지지부(71b) 및 상기 상부코일부(71a)와 유사한 형태의 하부코일부(71c) 및 권취밀도가 밀하면서 하단을 향할수록 점차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접점코일부(71d)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서는 상기 상부홀더(61a)에 상기 도전성 접점판(67)이 내설되면서 최소한 하나의 결합돌기(63)와 상기 관통공(65)이 형성되도록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하부홀더(61b)에는 상기 상부홀더(61a)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공(65)이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결합요홈(65)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홀더(71a)와 동일한 재료에 의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관통공(65)에는 상기 접점부재(71)가 삽설되는 바, 그 경우 상기 접점부재(71)의 중간지지부(71b)는 상기 관통공(65)의 확광부(65a)에 수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서, 상기 상부홀더(61a)의 결합돌기(63)와 상기 하부홀더(61b)의 결합요홈(65)이 상호 강제 끼움결합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상부홀더(61a)와 상기 하부홀더(61b)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홀더(61a)와 상기 하부홀더(61b)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접점부재(71)는 상기 관통공(65)의 확광부(65a)에 위치되는 상기 중간지지부 (71b)를 중심으로 그 상부코일부(71a)는 상기 도전성 접점판(67)에 대한 고신뢰성의 접촉을 위한 탄성작용을 행하는 반면 상기 하부코일부(71c)는 그 하측의 접점코일부(71d)가 휴대통신단말의 PCB상에 고신뢰성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작용을 행하게 되며, 그 접점코일부(71d)는 하향적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고서 형성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의 PCB상에 접촉면적의 최적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통신단말의 PCB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상기 접점부재(71)를 통해 상기 도전성 접점판(67)에 납땜된 상기 보이스코일(45)의 각 코일단(45a)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35)와의 사이에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그 보이스코일 (45)에 진동력이 발생되며, 그 진동력에 의해 다이어프램(43)이 진동하면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 재현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접점홀더내에 매설된 도전성 접점판과 그 접점판에 충분한 탄성작용력을 갖고 접촉되는 스프링에 의해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휴대통신단말의 PCB상에 신호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그 조립 및 생산성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Claims (4)

  1. 각 코일단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진동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를 정의하는 요크벽의 외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에어갭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이 개재되도록 이격배치되면서 그 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재치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수납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상기 외부적인 전기신호에 접속되도록 적용되는 접점홀더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요크부재 및 접점홀더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점홀더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속판이 매설됨과 더불어 그 접속판에 대해서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스프링접속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접점홀더에 관통형성된 관통공내에 수납되어 그 일단은 상기 도전성 접속판에 고착접촉되고, 그 타단은 하향적으로 점차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
  3. 각 코일단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진동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를 정의하는 요크벽의 외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에어갭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이 개재되도록 이격배치되면서 그 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재치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수납되면서 상기 보이스코일의 각 코일단이 상기 외부적인 전기신호에 접속되도록 적용되는 접점홀더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요크부재 및 접점홀더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점홀더는 상호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구성되고, 그 상부홀더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코일단이 접속되는 도전성 접점판이 매설됨과 더불어 그 접점판에 대해서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접점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의 접면되는 위치가 확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재는 권선밀도가 성근 상부코일부와 상대적인 대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공의 확광부에 위치되는 중간지지부, 그 중간지지부의 하측에서 성근 권선밀도로 형성된 하부코일부 및, 그 하부코일부의 하측에 형성된 권선밀도가 밀하면서 하향적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접점코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20020002541U 2002-01-26 2002-01-26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72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541U KR200272062Y1 (ko) 2002-01-26 2002-01-26 전기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541U KR200272062Y1 (ko) 2002-01-26 2002-01-26 전기음향변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656A Division KR20020024121A (ko) 2002-01-26 2002-01-26 전기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62Y1 true KR200272062Y1 (ko) 2002-04-13

Family

ID=7311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541U KR200272062Y1 (ko) 2002-01-26 2002-01-26 전기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1907B (zh) 混合致动器
KR20040000346A (ko)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EP1194002B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0993034B2 (en)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eaker
KR20030018766A (ko) 휴대 전화기용 소형 스피커
US6370257B1 (en)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terminal contacts which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ducer axis and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mating contacts
US20010017491A1 (en) Apparatus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m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nd a part of vibration generating means
JP2003189383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98836A (ko) 전자 장치용 스피커
JP4355242B2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US7010142B2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KR200272062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0024121A (ko) 전기음향변환장치
JP2002171594A (ja) スピーカ
JP2003304592A (ja) スピーカ
KR200221515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KR200276117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0024120A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101468630B1 (ko) 진동판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0497084B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76560Y1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0326984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86520Y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