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46Y1 - 양변기 악취 제거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악취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46Y1
KR200271946Y1 KR2020000018493U KR20000018493U KR200271946Y1 KR 200271946 Y1 KR200271946 Y1 KR 200271946Y1 KR 2020000018493 U KR2020000018493 U KR 2020000018493U KR 20000018493 U KR20000018493 U KR 20000018493U KR 200271946 Y1 KR200271946 Y1 KR 200271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hose
toilet sea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필
Original Assignee
송인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필 filed Critical 송인필
Priority to KR2020000018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4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정화조 속으로 배출함으로서 양변기 사용시 악취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주는 양변기 악취저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변기는 변기통부와, 변기시트부와, 수조통부와, 정화조와 연결되어 있는 변기의 최종 배출구로 구성되어 대소변을 정화조로 내려보내는 것에 있어서,본 고안은 상기 변기 본래의 역할외에 변기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존의 변기 시트를 흡입구(도2, 도3, 도11-4)들과 흡입구들을 연결해 주는 흡입구통로(도2, 도3, 도11-3)와, 방출관(도2, 도3, 도11-3a)을 가진 변기시트부(도2, 도3, 도11)로 개조하여 만들고 방출관에 연결하는 흡입호스(5)와 흡배출을 동시에 행하는 팬(10)으로 이루어진 작동구를 변기통부의 뒷면 공간에 설치하여 변기시트부를 통하여 흡입한 악취를 정화조로 배출하게 하는 것인바 설치되어 있는 변기를 그대로 둔채 변기시트를 상기의 변기시트부로 교체하여 작동부에 연결하고 변기의 최종 배출부와 가장 가까운 변기의 외벽에 배출호스 삽입구를 뚫어 배출호스를 변기의 최종 배출구까지 삽입하여 팬의 작동으로 흡배출을 동시에 행하게 함으로서 기존의 어떤 악취 제거기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기존 변기가 설치된 것을 그대로 둔채 설치를 간편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악취 제거기{.}
본 고안은 양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악취 제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악취 제거기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설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구조를 단순히하고 설치를 아주 쉽게한 양변기 악취제거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를 단순히 함으로서 쉽게 실용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1 - 변기통부 2 - 변기 시트
3 - 흡입구 통로 3a - 흡입구 통로 방출관
4 - 흡입 구멍 5 - 흡입 호스
6 - 흡입 호스 통과구멍7 - 배출호스와 악취 역류방지통의 연결부
8 - 악취 역류 방지통 9 - 흡입호스와 팬의 연결부
10 - 팬 11 - 배출 호스
11a - 배출호스 통과구멍12 - 정화조 입구 13 - 변기시트 작동부14 - 변기시트와 변기의 연결부15 - 세척수 통 16 - 악취 역류 방지판
17 - 호스 밴드(hose band)18 - 변기통부의 외벽 19 - 변기통부 내벽
20 - 변기통부의 최종 배출구A-A' - 변기통부 상단 테두리폭B-B' - 변기 시트 폭도1 : 종래의 일반 양변기의 단면도 및 변기시트 좌측면도도2 :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멍과 흡입 통로를 만든 변기 시트 평면도도3 :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멍과 흡입통로를 만든 변기시트 저면도도4 : 본 고안에 따른 변기시트 사시도 도4의 A는 변기시트 부분 저면도도5 : 본 고안에 따른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장착한 변기 사시도도6 : 본 고안에 따른 흡입호스와 배출호스를 장착한 변기 정면도도7 : 본 고안에 따른 배출호스를 정화조 입구에 연결한 변기 저면도도7의 a는 배출호스를 정화조 입구에 연결한 변기 정면도도8 :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제거기를 장착한 변기 평면도도9 :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제거기를 장착한 변기 사시도도10 :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시트부, 작동부, 배출부를 연결한 사시도 및 평면도도11 : 본 고안에 따른 악취 흡입구멍과 통로를 만든 변기시트 저면도도12 :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통의 사시도도13 : 흡입 호스의 외부 노출을 줄이기 위하여 뚫어 놓은 흡입호스 통과구도14 : 변기 외벽과 변기통부 최종 배출구와 정화조 입구를 일직선으로 뚫어 배출호스를 삽입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양변기 악취제거기는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고 변기외부로 배출하여 변기내의 악취를 제거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기술 개념과 별다를 바가 없다.다만 본 고안은 변기시트의 흡입구와 흡입통로와 방출관을 만들어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게 하는 변기시트부(도1, 도2, 도3, 도4, 도11)와, 흡배출을 동시에 행하는 종래에 생산되어지고 있는 팬(10)과 변기시트부와 팬(10)을 연결하여 주는 작동부와, 팬의 배출측 전면에 부착된 악취 역류 방지통(8)과 악취 역류방지통 배출측에서 정화조 입구까지 삽입되어 배출을 하는 배출호스(11)로 이루어진 배출부로 간단히 구성되어 설치되어 있는 기존 변기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배출호스 삽입구와 변기시트를 상기 변기시트부로 교체하는 것 만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즉,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들에 비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기존 설치되어 있는 변기를 그대로 둔채 기존변기시트를 상기 변기시트부로 교체하고 변기 밑면에 배출호스 삽입구를 뚫어 간단히 설치가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1, 도2, 도3, 도4 및 도11은 변기 시트에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구(4)와 흡입구 통로(3)와 방출관(3a)을 만들어 놓은 변기시트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변기시트의 폭(도1의 B-B')이 변기통부의 상부 테두리폭(도1의 A-A')보다 변기 안쪽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의 부분에 흡입구들을 하방으로 뚫고 그 흡입구들을 연결하여 주는 흡입구 통로와 흡입구통로에 모인 악취를 한 곳으로 방출하는 방출관(도2, 도3, 도11-3a)으로 구성되어지는 변기시트부이며 차후 작동부의 작동으로 흡입호스로 팬에 연결되어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작용을 한다.도5와 도6은 변기시트와 작동부와 배출부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도7은 팬의 전면에 부착된 악취 역류방지통의 배출측에 부착된 배출호스가 정화조 입구에 연결되어져 있는 형태를 보여준다.도8은 방출관과 팬을 연결하는 호스를 변기시트 뒷면과 수조통부 밑면과의 남아있는 평면 부분에 호스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을 뚫어 변기 외벽으로 노출된 흡입호스를 상기 삽입구로 통과 시켜 변기의 뒷면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흡입호스의 노출을 줄여주고 이로인하여 외관을 높일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도9는 흡입호스(5)를 흡입호스 통과구멍으로 삽입하여 변기시트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도10은 흡입구(4)와 흡입구통로(3)와 방출관(3a)을 내장한 변기시트부와, 이 변기시트부와 연결되는 흡입호스(5)와 팬(10)으로 이루어진 작동부와, 팬의 전면에 부착된 악취 역류 방지통과 정화조로 연결되는 배출호스(11)로 구성된 배출부와의 전체적인 연결을 보여주고 있다.도11은 새롭게 시작되는 변기시트부를 뒤집어서 본것(저면도)이다.도12는 악취 역류방지통의 내면을 투시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팬이 작동할 때는 팬의 힘으로 열리며 작동이 끝나면 저절로 닫히는 스프링식 구조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도13은 변기시트부와 연결되는 흡입호스의 통과구멍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흡입호스를 변기 측면으로 노출시켜서 작동부에 연결할 수도 있으나 도13과 같이 흡입호스 통과구멍을 뚫어 흡입호스를 변기 뒷면으로 작동부에 연결함으로서 흡입호스(5)의 노출을 줄여 외관을 높일수 있다.도14는 변기 외벽(18)과 변기의 최종 배출부(20)와 정화조 입구(12)와의 결합 부위에 일직선으로 배출호스 삽입구멍을 뚫어 배출호스를 삽입하여 정화조로 배출되게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상기 도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양변기 악취제거기는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변기시트부(도11)와 전기 스위치의 조작으로 작동되는 사용자가 직접 흡배출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작동부, 정화조로 배출을 하는 배출부로 구성되어 작동부가 작동을 하면 변기시트부에서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부에서 정화조로 연결된 배출호스를 통하여 정화조 속으로 악취를 배출하게 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것이다.이때 작동부의 팬의 전면에 악취 역류 방지통을 설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정화조로 연결되는 배출호스를 도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부의 변기 외벽과, 변기 최종 배출구와 정화조입구와의 결합부위(도14)에 일직선으로 구멍을 뚫어 삽입함으로서 변기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배출호스는 변기를 새로이 설치할 경우 변기 밑면에 홈을 내어 변기 밑면에 내장할 수도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양변기 악취제거기는 종래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난해한 악취제거기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변기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실용성을 높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6)

  1. 흡배출을 동시에 행하는 팬의 흡입측에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변기시트(도11)와 흡입호스를 연결하여 변기내의 악취를 흡입하고 팬의 배출측에 악취역류방지통과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기존변기의 하부에 있는 정화조로 변기내의 악취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었으며 악취의 배출을 기존변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정화조로 함으로서 제품의 설치나 설치공정을 기존의 다른 제품보다 더욱 쉽고 간단하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변기시트는 변기시트의 폭(도1의 B-B')이 변기시트를 받치는 변기통부상부의 테두리폭(도1의 A-A')보다 변기의 안쪽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부분에 하방으로 앞쪽에서 뒤쪽으로 흡입구를 여러개 뚫어 변기내 악취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토록 하며, 악취의 흡입구를 변기시트에 형성시킴으로서 변기의 청소시나, 변기가 막혀 세척수가 역류하여 변기를 넘치는 경우에도 변기시트를 뒤로 젖혀서 팬으로 흘러갈 수 있는 물의 흐름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제거기
  3. 제 1항에 있어서 흡입호스는 흡입호스통과구(도 13)를 뚫어 호스의 외부노출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출호스는 변기를 새로이 설치하거나 기존 사용중인 변기라도 뜯어내어 변기바닥의 뒷면 끝 중앙부분에서 정화조 입구까지 일직선으로 배출호스 통과홈과 구멍을 뚫어 배출호스를 내장함으로서 외부의 노출을 없앨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제거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00018493U 2000-06-24 2000-06-24 양변기 악취 제거기 KR200271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93U KR200271946Y1 (ko) 2000-06-24 2000-06-24 양변기 악취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93U KR200271946Y1 (ko) 2000-06-24 2000-06-24 양변기 악취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46Y1 true KR200271946Y1 (ko) 2002-04-13

Family

ID=7308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493U KR200271946Y1 (ko) 2000-06-24 2000-06-24 양변기 악취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130133454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0271946Y1 (ko) 양변기 악취 제거기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KR20100005081U (ko) 비데 및 변기
CN208884667U (zh) 一种除臭小便器
CN206625312U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系统
CN2818573Y (zh) 节水箱
WO2005108689A1 (en) The toilet stool
CN216552215U (zh) 腔吸式真空排污系统
KR100254499B1 (ko) 환기식 양변기
CN2277426Y (zh) 除臭式坐便桶
CN211690624U (zh) 一种具有快速排除臭味功能的卫生洁具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JPH057344Y2 (ko)
KR200405776Y1 (ko) 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악취배출장치
CN218279514U (zh) 一种用于清洁机基站的冲洗系统及基站
CN211704533U (zh) 一种洗碗机用呼吸器及洗碗机
CN211341051U (zh) 一种无臭小便槽
JPH1037281A (ja) 吐水・吸気ノズルおよび吐水・吸気ノズル付き洋便器および洗浄・脱臭システム
CN2405974Y (zh) 组合式节水洁具
CN2459371Y (zh) 坐便器
KR200165609Y1 (ko) 화장실 냄새제거장치
JP2718517B2 (ja) 和風大便器
CN201598703U (zh) 除味环保坐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