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28Y1 -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28Y1
KR200271828Y1 KR2020010036841U KR20010036841U KR200271828Y1 KR 200271828 Y1 KR200271828 Y1 KR 200271828Y1 KR 2020010036841 U KR2020010036841 U KR 2020010036841U KR 20010036841 U KR20010036841 U KR 20010036841U KR 200271828 Y1 KR200271828 Y1 KR 200271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orage unit
oil storage
tank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홍경
Original Assignee
성홍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홍경 filed Critical 성홍경
Priority to KR2020010036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28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오일이나 미션오일을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격벽에 의해 서로 다른 오일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오일저장부로 구획되며 각 오일저장부의 소정위치에 오일주입구와 오일배출구를 갖는 오일탱크와,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표시눈금을 가지고 해당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는 투명표시관 및 이 투명표시관내에 수용되어 오일상에 부유되는 포인터로 이루어진 복수의 레벨표시기와,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압축기와 연결되어 해당 오일저장부에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압공급밸브와,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의 오일배출구에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해당 오일저장부내의 오일을 차량의 대응부에 선택적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엔진오일이나 미션오일 등의 오일 교환시 압축기에 연결하여 새 오일을 정확한 양으로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 전륜구동용 및 후륜구동용 미션오일을 동시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오일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주입기{Oil Lubricato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오일이나 미션오일 등을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새 오일을 차량의 엔진이나 미션 등에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의 엔진이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은 많은 기계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작동하는 바, 원활한 작동을 위해 윤활유가 주입된다. 윤활유는 각 부품들의 마찰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마찰과 마모를 줄여줌과 동시에 마찰면을 냉각시키고 부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를 위해 윤활유는 적절한 점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차량을 일정기간 운행하게 되면, 윤활유의 점도가 낮아져 윤활기능이 크게 저하되거나 상실된다. 따라서 윤활유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이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오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방법으로는, 통상 차량을 리프트 등으로 적절히 들어 올린 후 차량 밑에 양동이나 깡통 등의 용기를 대고 예컨대 엔진 하부의 드레인 팬(drain pan)에 설치된 드레인 플러그를 풀어서 폐유를 배출시킨 뒤 드레인 플러그를 잠그고, 엔진 상부의 오일 캡을 연 후 깔때기 등을 이용하여 새 오일을 주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환방법은 전체적인 오일 교환 작업이 상당히 번잡할 뿐만 아니라, 새 오일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오일을 정확한 설정량으로 주입하기가 곤란하고, 오일게이지도 수시로 체크하면서 주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26763호와 같이 펌프에 의해 폐유를 자동으로 배출시킴과 함께 새 오일을 주입하는 자동 오일 교환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자동 오일 교환장치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카센터 등의 경정비업소에서는 큰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전륜구동용 오일과 후륜구동용 오일은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지기 때문에 작업중 오일탱크를 교환해야 하거나 전용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오일이나 트랜스미션오일 등의 오일 교환시 정비업소에 구비된 압축기를 이용하여 새 오일을 정확한 설정량으로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로 보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주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륜구동용과 후륜구동용 미션오일 등의 복수의 교환용 오일들을 동시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오일을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주입기에 대한 사시도,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주입기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주입기의 레벨표시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오일탱크 11,12:오일저장부 13:격벽
16:바퀴 20:주입노즐 21:제어밸브
30:레벨표시기 31:투명표시관 32:포인터
40:공압공급밸브 41:안전밸브 42:압력게이지
50:공구함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오일주입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서로 다른 오일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오일저장부로 구획되며, 각 오일저장부의 소정위치에 오일주입구와 오일배출구를 갖는 오일탱크; 이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표시눈금을 가지고 해당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는 투명표시관 및 이 투명표시관내에 수용되어 오일상에 부유되는 포인터로 이루어진 복수의 레벨표시기;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압축기와 연결되어 해당 오일저장부에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압공급밸브;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의 오일배출구에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해당 오일저장부내의 새 오일을 차량의 대응부에 선택적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엔진오일이나 트랜스미션오일 등의 오일 교환시 압축기에 연결하여 새 오일을 정확한 양으로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로 보급할 수 있고, 특히 전륜구동용과 후륜구동용의 미션오일 등 복수의 교환용 오일들을 동시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오일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차 오일교환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오일주입기는 자동차의 엔진이나 미션 등에 주입할 교환용 복수의 오일을 분리 저장하는 오일탱크(10)와, 이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들을 플렉시블 호스(22)를 통하여 차량의 대응부에 각각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20)들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탱크(10)의 내부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종류의 새 오일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두 오일저장부(11)(12)가 격벽(13)에 의해 분리 구획되며, 한편 추후 오일주입시 공압에 의하여 오일저장부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각각의 오일저장부의 내부 측벽에는 적어도 1개이상의 지지프레임(14)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두 오일저장부(11)(12)의 상부에는 오일주입구(11a)(12a)가 각각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배출구(11b)(12b)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이 오일탱크(10)의 오일배출구(11b)(12b)로부터 플렉시블 호스(22)를 통하여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들을 차량의 대응부에 각각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20)들과, 상기 오일저장부(11)(12)의 소정위치에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레벨표시기(30)들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주입노즐(20)은 각 오일저장부(11)(12)들의 오일배출구(11b)(12b)에 플렉시블 호스(22)를 통해 연결되고, 오일을 차량의 엔진이나 미션에 대해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21)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러한 주입노즐(20)들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일탱크(10)에 훅(hook) 등의 걸이수단을 구비하여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벨표시기(30)는 예를 들어 표시눈금(33)을 가지고 각 오일저장부(11) (12)들과 연통하도록 오일탱크(10)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투명표시관(31)과, 이 투명표시관(31)내에 수용되어 오일상에 부유되는 포인터(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표시관(31)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컨대 투명하고 내압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관으로 구성되고, 포인터(32)는 내유성이 높으면서도 오일에 부유(浮遊)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됨과 동시에, 그 표면이 적색으로 도포되어 투명표시관(31)내에서의 위치 식별, 즉 오일탱크(10)내의 오일량이 많은지 적은지를 오일탱크(10)의 외부에서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적색의 외표면을 갖는 코르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벨표시기(30)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그 투명표시관(31)의 하단이 오일저장부(11)(12)와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일탱크에 수직으로 슬릿(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이에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오일탱크(10)의 각 오일저장부(11)(12)의 상측에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각 오일저장부(11)(12)내에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밸브(40)들이 각각 설치된다.
각 공압공급밸브(40)에는 오일주입시 해당 오일저장부(11)(12)내의 압력을표시함과 동시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할 경우 안전밸브(41)를 작동시켜 오일저장부 (11)(12)내의 압력을 일정상태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게이지(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탱크(10)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공구함(5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구함(50)은 하면이 오일탱크(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오일탱크(10)에 용접으로 일체로 접합된다.
한편, 오일탱크(10)의 하부 양측에는 프레임(15)이 접합되고, 각 프레임(15)의 양쪽에는 바퀴(16)들이 설치되고, 그리고 어느 한 프레임(15)에는 오일주입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17)이 설치되어 오일주입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오일주입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오일탱크(10)의 두 오일저장부(11)(12)에 서로 다른 오일, 예를 들어 엔진오일, 미션오일 또는 전륜용 미션오일과 후륜용 미션오일을 각각의 오일주입구 (11a)(12a)를 통해 충전한다. 이때, 주입된 새 오일의 양은 그 레벨표시기(30)에 의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즉, 오일저장부(11)(12)에 오일을 충전하면 하단이 그와 연통된 레벨표시기 (30)의 투명표시관(31)내로 오일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투명표시관(31)내에 수용된 포인터(32)가 오일상에 부유되어 유량에 따라 상승함으로써 투명표시관(31)의표시눈금(33)을 통해 새 오일의 양을 정확히 나타내게 되므로 오일탱크의 외부에서도 간단하게 오일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오일이나 미션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엔진이나 미션으로부터 이미 사용된 오일(폐유)을 통상의 방법으로 배출시킨 뒤 엔진후드를 열고 오일 캡을 연다.
그리고 주입할 오일(엔진오일, 전륜용 미션오일 또는 후륜용 미션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저장부(11)(12)에 대응하는 공압공급밸브(40)를 정비업소에 구비되어 있는 압축기에 연결하여 해당 오일저장부(11)(12)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어서 오일저장부(11)(12)의 오일배출구(11b)(12b)에 플렉시블 호스(22)를 통해 연결되어 새 오일을 배출하는 주입노즐(20)을 엔진이나 미션의 주입구에 삽입한 뒤 그 제어밸브(21)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오일저장부(11)(12)에 충전되어 있는 새 오일이 압축기의 공기압에 의해 배출되어 엔진이나 미션에 오일을 간단히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주입되는 오일의 양은 오일저장부(11)(12)에 구비된 레벨표시기(30)를 통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 등의 오일게이지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오일이 필요량만큼 주입되면 제어밸브(21)를 잠그고, 압축기와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오일주입시 오일저장부(11)(12)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할 경우 공압공급밸브(40)에 구비된 안전밸브(41)가 작동하여 일정한 압력이하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일탱크(10)가 격벽(13)에 의해 2개의 오일저장부(11)(12)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오일저장부가 3개의 공간으로 분리 구성되어 엔진오일, 전륜용 미션오일 및 후륜용 미션오일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고, 각 오일저장부도 격벽이 아닌 동심원 상태로 구획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오일주입기에 의하면, 엔진오일이나 트랜스미션오일 등의 오일 교환시 정비업소에 구비되어 있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새 오일을 정확한 양으로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엔진오일은 물론, 전륜구동용과 후륜구동용 미션오일을 동시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오일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펌프 등을 구비하지 않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카센터 등의 경정비업소에도 저가로 보급할 수 있으며, 오일탱크에 공구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정비작업의 편의성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자동차 오일교환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짐은 물론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내부가 격벽에 의해 서로 다른 오일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오일저장부로 구획되며, 각 오일저장부의 소정위치에 오일주입구와 오일배출구를 갖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표시눈금을 가지고 해당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는 투명의 표시관 및 이 표시관에 수용되어 오일상에 부유되는 포인터로 이루어진 복수의 레벨표시기;
    상기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압축기와 연결되어 해당 오일저장부에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압공급밸브;
    상기 오일탱크의 각 오일저장부의 오일배출구에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해당 오일저장부내의 새 오일을 차량의 대응부에 선택적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KR2020010036841U 2001-11-29 2001-11-29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KR200271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41U KR200271828Y1 (ko) 2001-11-29 2001-11-29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41U KR200271828Y1 (ko) 2001-11-29 2001-11-29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28Y1 true KR200271828Y1 (ko) 2002-04-11

Family

ID=7311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41U KR200271828Y1 (ko) 2001-11-29 2001-11-29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59B1 (ko) * 2009-04-08 2010-04-07 대한민국 야전용 주유장치
KR101752183B1 (ko) * 2016-12-22 2017-06-29 아론비행선박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연료주입용 탱크
KR20200103467A (ko) * 2019-02-25 2020-09-02 정재학 농기계의 오일 교환용 장치
KR20230003834A (ko) * 2021-06-30 2023-01-06 삼정산업기공 주식회사 농업기계용 포터블 주유탱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59B1 (ko) * 2009-04-08 2010-04-07 대한민국 야전용 주유장치
KR101752183B1 (ko) * 2016-12-22 2017-06-29 아론비행선박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연료주입용 탱크
KR20200103467A (ko) * 2019-02-25 2020-09-02 정재학 농기계의 오일 교환용 장치
KR102227548B1 (ko) * 2019-02-25 2021-03-15 정재학 농기계의 오일 교환용 장치
KR20230003834A (ko) * 2021-06-30 2023-01-06 삼정산업기공 주식회사 농업기계용 포터블 주유탱크
KR102538498B1 (ko) * 2021-06-30 2023-05-31 삼정산업기공 주식회사 농업기계용 포터블 주유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7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lube oil
CA2185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transmission fluid
EP1956207B1 (en) Urea tank for transport vehicle, unit comprising a diesel tank and said urea tank
KR200271828Y1 (ko) 자동차의 오일주입기
CN107152322A (zh) 一种汽车机油自动加注设备及其工作方法
JPH04303045A (ja) 車輌用中央潤滑材注油装置
US1337408A (en) Lubricant cleaning and replenishing system for automobiles
US1792827A (en) Fuel tank
KR200271186Y1 (ko)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KR100260681B1 (ko) 폐 유체의 회수 및 새 유체의 반송 장치 및 방법
US2178564A (en) Fuel supply tank
US2796148A (en) Oil chang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609697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lubricants from motor vehicles
US7467689B1 (en) Method for pneumatically removing oil from an engine
KR200165098Y1 (ko) 이동식 주유기
CN217784818U (zh) 一种自动加油的气动注油器
KR950014811B1 (ko) 자동차의 유류 교체 시스템
US1630067A (en) Oil-tes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1484641A (en) Lubricating arrangement for the crank cases or oil chambers of motor vehicles
CN216180381U (zh) 多功能汽保工具车
CN107352498A (zh) 一种汽车机油自动加注设备的控制方法
JPS632383Y2 (ko)
CN1075881C (zh) 流体变换系统
US9050884B2 (en) Dual capacity fluid tank assembly
KR910001749Y1 (ko) 차량용 윤활유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