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47Y1 -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 Google Patents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47Y1
KR200271747Y1 KR2020020001066U KR20020001066U KR200271747Y1 KR 200271747 Y1 KR200271747 Y1 KR 200271747Y1 KR 2020020001066 U KR2020020001066 U KR 2020020001066U KR 20020001066 U KR20020001066 U KR 20020001066U KR 200271747 Y1 KR200271747 Y1 KR 200271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od
door
closing operation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2020020001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47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각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그 주요구성부품이 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그 제작공정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에 관한 것으로,
뭉치본체와, 상기 뭉치본체의 선단측에 조립된 채 도어의 개폐단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상기 뭉치본체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는 개폐작동구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선단에 뚫어진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채 부착판의 출몰공을 통해 탄력적으로 출몰작동하는 잠금쇠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뭉치 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선단측에 탄력설치되어 개폐작동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측 스프링과, 상기 개폐작동구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외측 열림작동구와,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가 회전됨에 따라서 연동되어 상기 개폐작동구를 당기게 되는 내/외측 회전날개와, 도어핸들의 중앙부에 양단이 수용된 채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로드를 구비하여서 되는 도어록의 자물쇠 뭉치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열림작동구와 외측 열림작동구에 사각막대 형상의 회전로드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작동구멍이 서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열림작동구에 형성되는 작동구멍의 내측 끝에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의 작동구멍에 끼워지기 위한 회전로드는 밋밋한 사각막대 형상으로 내측 회전로드와 외측 회전로드로 양분된 채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회전로드 각각의 양측단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된 채로 내/외측 도어핸들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Rod for dead bolt lock}
본 고안은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각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그 주요구성부품이 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그 제작공정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록 장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것과 실내의 도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분되어 있다.
현관문에 장착되는 도어 록 장치는 키(Key)를 사용하여 개폐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물쇠 뭉치(dead bolt lock)는 대체적으로 규격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실내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록 장치는 도어핸들의 회전작동만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자물쇠 뭉치의 규격이 작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의 도어의 경우에는 자물쇠 뭉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의 개방측에 작은 구멍을 뚫고 도어 록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실내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록 장치의 자물쇠 뭉치(10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뭉치본체(101)와, 그 개방측에 조립되어 도어(500)의 개폐단에 부착되는 부착판(102)과, 상기 뭉치본체(10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는 개폐작동구(103)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채 전방측 스프링(104)에 탄력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단에서 출몰하면서 문틀(510)에 잠금작동 및 열림작동을 수행하는 잠금쇠(105)와, 상기 개폐작동구(103)의 선단측 내측에 위치한 채 상기 뭉치본체(10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구(106)와, 상기 지지구(106)의 전방측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개폐작동구(103)의 탄력적인 슬라이딩 작동을 허용하는 후방측 스프링(107)과, 상기 개폐작동구(103)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와,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가 회전됨에 따라서 연동되어 상기 개폐작동구(103)를 당기게 되는 회전날개(210,310)와, 내/외측 도어핸들(600,610)의 중앙부에 양단이 수용된 채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로드(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 각각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뭉치본체(101) 내측에 작동구멍(201,301) 및 원형부(202,302)가 일치되게 맞대어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 각각의 원형부(202,302)의 일측에는 상기한 회전날개(210,3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지렛대 역할을 하는 작동간(203,303)이 돌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지지구(106)에 내설되는 스톱퍼(106a)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톱퍼 홈(204a,304a)이 마련된 열림방지날개(204,304)가 형성된다.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 각각의 작동구멍(201,301)에는 도어에 설치되는 내/외측 도어핸들(600,610)과 연결되는 회전로드(400)가 삽입 연결되어 내측 도어핸들(600) 또는 외측 도어핸들(610)을 회전작동시킴에 따라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가 개별적으로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외측 열림작동구(200,300) 각각의 작동간(203,303)들은 그 양단이 개폐작동구(103)의 양측에 형성된 작동홀(108)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채 걸림돌편(109)에 걸림되며, 상기 뭉치본체(101)의 양측에는 걸림돌편(109)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0과 같이 잠금쇠(105)가 부착판(102)에서 돌출되어 문틀(510)의 잠금공(51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어를 열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도 11과 같이 도어핸들(600,610)을 회전시켜 내측 또는 외측 열림작동구(200)(300)이 회전되면, 어느 하나의 작동간(203,303)이 각운동하며 상기 회전날개(210,310)가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회전날개(210,310)의 외측 끝단이 걸림돌편(109)을 당기게 되므로서 개폐작동구(103)가 이동되고, 상기 개폐작동구(103)과 연결된 잠금쇠(105)가 당겨지게 되므로서 상기 잠금공(511)으로부터 잠금쇠(105)가 빠지게 되어 도어의 개방이 허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도 9는 자물쇠 뭉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회전로드(4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회전로드(4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 도어핸들(600)과 연결되는 내측 회전로드(410)와 외측 도어핸들(610)과 연결되는 외측 회전로드(420)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어지되, 상기 내측 회전로드(410)와 외측 회전로드(420)는 각각 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어느 일측의 사각막대에는 삽입봉(42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사각막대에는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연결되어지되, 상기 삽입봉(421)이 삽입홈(4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삽입홈(411)의 외측에서 펀칭을 가해 삽입홈(411)의 내측에는 내측돌기(412)가 형성되도록 하고, 삽입홈(411)의 외측에는 외측돌기(4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 회전로드(410)와 외측 회전로드(420)가 연결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돌기(413)가 형성되는 다른 일측에는 상기 회전로드(400)가 작동구멍(201,301)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무링(430)이 끼워지기 위한 링 홈(422)이 형성된다.
상기한 고무링(430)은 상기한 자물쇠 뭉치(10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로드(400)를 작동구멍(201,301)의 일측에서 끼운 다음, 상기 회전로드(40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링 홈(422)에 끼워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고무링이 마모되거나 느슨해져서 일측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한 회전로드의 중심 위치가 변경되므로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가 내외측의 도어핸들을 돌리더라도 상기한 열림작동구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회전로드는 그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므로서 제작비용이 고가이며,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의 각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그 주요구성부품이 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그 제작공정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뭉치본체와, 상기 뭉치본체의 선단측에 조립된 채 도어의 개폐단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상기 뭉치본체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는 개폐작동구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선단에 뚫어진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채 부착판의 출몰공을 통해 탄력적으로 출몰작동하는 잠금쇠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뭉치 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선단측에 탄력설치되어 개폐작동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측 스프링과, 상기 개폐작동구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외측 열림작동구와,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가 회전됨에 따라서 연동되어 상기 개폐작동구를 당기게 되는 내/외측 회전날개와, 도어핸들의 중앙부에 양단이 수용된 채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로드를 구비하여서 되는 도어록의 자물쇠 뭉치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열림작동구와 외측 열림작동구에 사각막대 형상의 회전로드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작동구멍이 서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열림작동구에 형성되는 작동구멍의 내측 끝에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의 작동구멍에 끼워지기 위한 회전로드는 밋밋한 사각막대 형상으로 내측 회전로드와 외측 회전로드로 양분된 채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회전로드 각각의 양측단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된 채로 내/외측 도어핸들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자물쇠 뭉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주요부인 회전로드와 내/외측 열림작동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되는 내/외측 열림작동구를 다른 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회전로드가 적용된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종래 자물쇠 뭉치의 분해 사시도 및 장착상태도.
도 8 내지 도 9는 자물쇠 뭉치에 적용되는 종래 회전로드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종래 자물쇠 뭉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물쇠 뭉치 11 : 뭉치본체
12 : 부착판 20 : 개폐작동구
21 : 잠금쇠 23 : 전방스프링
24 : 지지구 25 : 후방스프링
30 : 내측 열림작동구 40 : 외측 열림작동구
32,42 : 열림방지날개 33,43 : 작동간
34,44 : 작동구멍 35 : 차단막
45 : 환형홈 50 : 내측 회전로드
60 : 외측 회전돌기 70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자물쇠 뭉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주요부인 회전로드와 내/외측 열림작동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되는 내/외측 열림작동구를 다른 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회전로드가 적용된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50 및 60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로드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되는 자물쇠 뭉치를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편의상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인용된다.
상기한 자물쇠 뭉치(10)의 뭉치본체(11)는 양측으로 두개로 분리되어 제작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에 의해 하나의 케이스로 결합되는 한쌍의 구조로서 종래와 큰 변함없이 형성된다. 상기 뭉치본체(11)는 전방은 개구되고 전,후,좌,우측 및 후방은 폐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뭉치본체(11) 전단에는 도어의 개폐단에 나사못 등으로 고정 부착되는 부착판(12)이 결합되며, 상기 부착판(12)에는 잠금쇠(21)가 출몰되기 위한 출몰공(12a)이 형성된다.
상기한 뭉치본체(11)의 내부에는 "ㄷ"자 형상으로 된 개폐작동구(2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개폐작동구(20)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에는 잠금쇠(21)의 축봉(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또 상기 잠금쇠(21)는 전방측 스프링(23)에 의하여 탄력설치된다.
상기 개폐작동구(20)의 내측 중간부분에는 지지구(24)가 고정 상태로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구(24)의 내실측에는 도어 록 자체를 선택적으로 잠금조작할 수 있는 선택잠금봉(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작동구(20)의 선단과 지지구(24) 사이에는 후방측 스프링(25)이 탄력설치되며, 상기 후방측 스프링(25)은 지지구(24)에 탄력지지된 상태에서 개폐작동구(20)가 탄력적으로 후퇴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개폐작동구(20)의 후퇴작동이 완료되면 곧바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뭉치본체(11)의 후방 내측에는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는 원형몸체(31,41)와 열림방지날개(32,42)와 작동간(33,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 각각의 원형몸체(31,41)는 같은 직경 및 두께로 형성되며, 또한 원형몸체(31,41)의 중심에는 사각형으로 된 작동구멍(34,44)이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몸체(31,41) 각각에 형성된 작동구멍(34,44)에는 내/외측 도어핸들(600,610)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회전로드(50,60)의 일단이 끼워진다. 따라서 내측 도어핸들(600,610)을 회전(열림)작동시키게 되면 내측 열림작동구(30)가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며, 외측 도어핸들(6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측 열림작동구(40)가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 각각의 작동구멍(34,44)에 끼워지는 회전로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밋밋한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상으로 내측 회전로드(50)와 외측 회전로드(60)로 양분된다. 그리고 상기한 내/외측 회전로드(50,60)의 양끝단에는 스프링(70)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가이드(51,61)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내/외측 회전로드(50,60)의 양끝단을 내/외측 도어핸들(600,610)의 끼움홈(620)에 끼울 때 도면에서와 같이 별도의 스프링(70)을 스프링 가이드(51,61)에 환설한 다음 끼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내측 열림작동구(30)와 외측 열림작동구(40)를 나란히 위치시켰을 경우에 양측의 작동구멍(34,44)이 서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측 열림작동구(30)에 형성된 작동구멍(34)의 내측을 막는 차단막(35)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차단막(35)은 외측 열림작동구(4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고안이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측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의 접촉면이 서로 계합되도록 하기 위해 내측 열림작동구(30)에 형성되는 차단막(35)은 환형으로 약간 돌출된 채로 형성되고, 외측 열림작동구(40)의 접촉면에는 상기 차단막(35)의 돌출 부위가 수용되기 위한 환형홈(4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회전로드가 적용되는 자물쇠 뭉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내측 도어핸들(600)을 회전시키게 되면 내측 회전로드(50)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내측 열림작동구(30)가 회전되고, 사용자가 외측 도어핸들(6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측 회전로드(60)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외측 열림작동구(40)가 회전되므로서 회전날개(36,46)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날개는 벌어지면서 그 끝부분으로 개폐작동구(20)를 당겨 후퇴시키고, 이와 동시에 잠금쇠(21)가 문틀의 잠금공(미도시)으로부터 빠지게 되므로서 도어의 개방이 허용되어진다.
특히,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회전로드(50,60)의 양끝단은 스프링(70)으로써 도어핸들(600,610)의 끼움홈(620)에 탄력지지되므로서 내/외측 회전로드(50,60)의 내측 끝단은 자연적으로 열림작동구(30,40)에 형성된 작동구멍(34,44)에 깊숙히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외측 회전로드(50,60)가 양분된 채로 차단막(35)에 의해 개별적으로 격리되어 장착되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회전로드(50)(60)가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의 작동구멍(34,44)에 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위치되므로서 슬립과 같은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로드(50,60)가 밋밋한 사각막대인 채로 내측 및 외측 회전로드(30,40)로 양분되어 형성되므로서, 종래의 기술에서 회전로드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이탈되거나 마모되어 회전로드의 중심이 이동되므로서 발생되었던 여러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진다.
또한, 회전로드의 형상이 단순화되므로서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어 록 장치의 자물쇠 뭉치에 있어 도어핸들의 회전력을 열림작동구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로드를 밋밋한 사각막대를 양분하여 단순형상화시키므로서 회전로드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공정 및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회전로드의 양끝단에 스프링이 장착되므로서 회전로드가 작동구멍에서 위치가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종래기술에서 회전로드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마모되므로서 발생되었던 여러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뭉치본체와, 상기 뭉치본체의 선단측에 조립된 채 도어의 개폐단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상기 뭉치본체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는 개폐작동구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선단에 뚫어진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채 부착판의 출몰공을 통해 탄력적으로 출몰작동하는 잠금쇠와, 상기 개폐작동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뭉치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선단측에 탄력설치되어 개폐작동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측 스프링과, 상기 개폐작동구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외측 열림작동구와,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가 회전됨에 따라서 연동되어 상기 개폐작동구를 당기게 되는 내/외측 회전날개와, 도어핸들의 중앙부에 양단이 수용된 채 상기 내/외측 열림작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로드를 구비하여서 되는 도어록의 자물쇠 뭉치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열림작동구(30)와 외측 열림작동구(40)에 사각막대 형상의 회전로드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작동구멍(34,44)이 서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열림작동구(30)에 형성되는 작동구멍(34)의 내측 끝에 차단막(35)이 형성되고, 상기한 내/외측 열림작동구(30,40)의 작동구멍(34,44)에 끼워지기 위한 회전로드는 밋밋한 사각막대 형상으로 내측 회전로드(50)와 외측 회전로드(60)로 양분된 채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회전로드(50,60) 각각의 양측단이 스프링(70)에 의해 탄력지지된 채로 내/외측 도어핸들(600,610)의 끼움홈(62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외측 회전로드(50,60)의 양측단에는 스프링(70)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가이드(51,6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열림작동구(30)에 형성되는 차단막(35)이 외측 열림작동구(40)측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외측 열림작동구(40)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막(35)의 돌출부위가 수용되기 위한 환형홈(45)이 형성되어 서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KR2020020001066U 2002-01-14 2002-01-14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KR200271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66U KR200271747Y1 (ko) 2002-01-14 2002-01-14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66U KR200271747Y1 (ko) 2002-01-14 2002-01-14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47Y1 true KR200271747Y1 (ko) 2002-04-10

Family

ID=7311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066U KR200271747Y1 (ko) 2002-01-14 2002-01-14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7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76B1 (ko) 2009-04-16 2011-06-28 김용범 잠금장치의 스핀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76B1 (ko) 2009-04-16 2011-06-28 김용범 잠금장치의 스핀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9841B1 (en) Slam latch with pop-up knob
US8523249B2 (en) Reversible latch bolt
KR100921200B1 (ko) 도어락
US4974883A (en) Latch device with a tiltable face plate and a selectable privacy lock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1188995B1 (ko) 도어락
CA2685280A1 (en) Reversible latch bolt
RU2728397C2 (ru) Ручка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борки
US7607701B2 (en) Adjustable latch
US20230035156A1 (en) Field-handable gate latch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KR950010293B1 (ko) 관상의 자동 데드볼트 래치(Deadbolt Latch)
US11920389B2 (en) Reversible latchbolt
CA2475503A1 (en) A latch
HU218440B (hu) Működtető szerkezet ablakok és ajtók hajtórudas szerelvényéhez
KR200271747Y1 (ko) 자물쇠 뭉치의 회전로드
KR20110125200A (ko) 도어락
KR20110000989A (ko) 도어락
KR20090103531A (ko) 도어락
US5090752A (en) Door latch device with reciprocatably moveable privacy lock control member
KR100418478B1 (ko) 도어록 장치의 자물쇠뭉치 열림각도 개선구조
US7104096B2 (en) Spring latch lock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279071Y1 (ko) 개방이 용이한 문손잡이구조
KR20110000895U (ko) 도어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