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40Y1 - 손톱깍기 - Google Patents

손톱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40Y1
KR200270840Y1 KR2020000036551U KR20000036551U KR200270840Y1 KR 200270840 Y1 KR200270840 Y1 KR 200270840Y1 KR 2020000036551 U KR2020000036551 U KR 2020000036551U KR 20000036551 U KR20000036551 U KR 20000036551U KR 200270840 Y1 KR200270840 Y1 KR 200270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ing plate
nail
nail clipp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204U (ko
Inventor
이희평
Original Assignee
이희평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평,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평
Priority to KR2020000036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4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40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손톱깍기가 몸체에 수직으로 삽입된 고정핀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누름판의 반전에 의해 지렛대로 사용되거나 수납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이의 사용과 비사용시의 전환동작이 불편하고, 손톱을 깍을 경우 손톱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문제점과, 누름판을 누를 경우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문제점 및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누름판(3)의 선단부를 몸체(2)의 하부판(22)측면에 수평핀(4)으로 고정시켜 누름판(3)을 누르더라도 누름판(3)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고, 이 누름판(3)의 전방 양측에는 몸체(2)의 측면에 대응되는 비산방지판 기능을 갖는 측면(32)을 형성하여 손톱을 깍을 경우 몸체(2)의 하부판(22)과 상부판(21)사이로 절단되어 나온 손톱이 양 옆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2)의 상부판(21)과 하부판(22)사이에는 몸체(2)의 상,하부판중의 하나와 일체로 된 또는 별도로 된 탄성부재(5)를 설치하여 이 탄성부재에 의해 몸체의 상,하부판이 벌어져 몸체 선단의 절단날(23)(24)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손톱깍기 {nail clipper}
본 고안은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시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깍인 손톱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손톱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손톱깍기는 선단에 절단날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호 결합되어 선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된 1쌍의 상,하부판과, 이 상,하부판의 선단에 각각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과, 이 고정핀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톱깍기는 비사용시 누름판이 몸체의 상부판 위에 밀착가능하고, 사용시에는 누름판을 상기와는 반대로 반전시켜 누름판이 몸체의 길이방향과 일정각도로 벌어지도록 한 후, 몸체와 누름판을 함께 누르면 누름판의 지렛대역할에 의해 몸체 선단의 상,하부날이 눌려 그 사이에 끼인 손톱이 절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손톱깍이는 그 조립과정에서 몸체의 상,하부판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핀을 몸체 선단부의 구멍에 끼운 후 몸체의 상,하부판을 별도의 공구나 지그를 사용하여 누른 상태에서 몸체에 끼워진 고정핀 상부의 홈에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판의 선단을 끼움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손톱깍기의 조립이 불편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손톱깍기는 누름판을 반전시키는 동작을 할 경우, 누름판의 선단이 끼워진 수평핀이 몸체의 구멍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몸체의 상,하부판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몸체의 상부판 상면에 접촉하는 누름판을 뒤집어 회전시킬 때, 누름판이 몸체의 상부판에 빡빡하게 밀착된 상태이므로 신경을 쓰이게 하는 금속마찰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몸체의 상부판 상면의 코팅이 벗겨지게 되므로써 손톱깍기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톱깍기는 손톱을 깍을 때, 손가락의 누름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누를 경우,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깍던 손톱에 상처를 주거나 손톱깍기를 놓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비산방지용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깍인 손톱이 몸체의 내측으로 튀어 들어와 몸체 양 옆의 개방된 쪽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써 주위가 지저분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공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사용시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져 놓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깍인 손톱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주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누름판의 선단부를 몸체의 하부판 양 측면에 수평핀으로 고정시켜 누름판을 누르더라도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고, 이 누름판의 전방 양측에는 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비산방지판을 형성하여 손톱을 깍을 경우 몸체의 하부판과 상부판사이로 절단되어 나온 손톱이 양 옆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는 몸체의 상,하부판중의 하나와 일체 또는 별도로 된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이 탄성부재에 의해 몸체의 상,하부판이 벌어져 몸체 선단의 절단날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의 측면도,
도 4은 도 1의 A - A 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 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손톱깍기의 탄성부재 배치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손톱깍기의 탄성부재 배치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의 누름판 수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톱깍기 2 : 몸체
3 : 누름판 4 : 수평핀
5 : 탄성부재 21 : 하부판
22 : 상부판 23,24 : 절단날
25 : 고정부 26 : 개방부
31 : 누름부 32 : 측면
33 : 핀구멍 34 : 접촉부
35 : 절곡부 36 : 말단
37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손톱깍기의 결합상태와 분해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특징을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실시예의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선단에 상,하 대향되는 이격된 절단날(23)(24)을 갖고 후단은 상호 밀착결합되는 상,하부판(21)(22)으로 이루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선단의 절단날(23)(24)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누름판(3)을 갖는 손톱깍기(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상,하부판(21)(22)사이에는 탄성부재(5)가 고정배치되고, 상기 누름판(3)은 상기 몸체(2)의 상부판(21)전방에 양 측면(32)의 선단이 수평핀(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1)는 기본적으로 2개의 부품 즉, 몸체(2)와 누름판(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누름판(3)을 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핀(4)을 포함한다.
상기 도 1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몸체(2)의 구조는 기존 손톱깍기의 그것과 대체로 유사하나, 상,하부판(21)(22)이 상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하부판(21)(22)선단의 절단날(23)(24)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후단이 상호 용접되어 있으며, 상부판(21)내측의 장방형 개방부(26)일측에는 탄성부재(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는 상부판(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데, 그 선단은 상부판(21)과 면접한 하부판(22)의 내면에 가깝게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상,하부판(21)(22)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이 탄성부재(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3에는 탄성부재(5)의 선단이 직각을 이루고 있으나, 본 고안은 탄성부재(5)의 선단을 다시 절곡시키거나 면취가공을 하여 하부판(22)과의 접촉시 금속마찰음이 발생하거나 하부판(22)내면에 상처 또는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몸체(2)의 상부판(21)전방 양측에는 누름판(3)을 수평핀(4)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고정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에 수평핀(4)으로 결합되는 누름판(3)은 기존의 손톱깍기에서 볼 수 없는 매우 특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누름부(31)의 전방 양측으로 측면(32)이 상호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31)의 선단에는 지지점으로 작용하는 접촉부(3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판(3)의 측면(32)은 몸체(2)의 측면형상과 대체로 일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비사용시 누름판(3)의 측면(32)이 몸체(2)의 양측을 덮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시에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3)의 양 측면(32)이 몸체(2)의 양측을 덮어 깍인 손톱이 외측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누름판(3)의 양 측면(32)후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돌기(37)가 형성되어 누름판(3)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몸체(2)의 상부판(21)위에서 덮으면, 이 돌기(37)가 몸체(2)의 상부판(21)양측을 타고 넘어 들어가 상부판(21)의 내측에 걸리게 되므로써 보관시 누름판(3)이몸체(2)로부터 벗겨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B - B 선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핀(4)에 의해 몸체(2)와 누름판(3)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누름판(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핀(4)에 의해 몸체(2)상에 핀고정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상태에서 누름판(3)이 옆으로 미끄러지거나 이러한 미끄러짐에 의해 손톱깍기를 손에서 놓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누름판(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핀(4)을 축으로 하여 몸체(2)의 앞뒤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점에 작동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누름판(3)이 몸체(2)의 하부판(22)쪽으로 회전되어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보관시에는 누름판(3)이 상기와는 반대로 상부판(21)쪽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손톱깍기의 탄성부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5)를 상부판(21)또는 하부판(22)의 내측에 스폿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는 반대로 즉, 하부판(22)에 탄성부재(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의 보관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손톱깍기는 누름판(3)을 몸체(2)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도록 누름판(3)의 후방에 절곡부(35)를 형성하여 후단(36)이 하부면(22)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손끝을 끼워 벗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손톱깍기는 누름판의 선단부를 몸체의 하부판 측면에 수평핀으로 고정시켜 누름판을 누르더라도 누름판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누름판의 전방 양측에는 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비산방지판 기능을 하는 측면을 형성하여 손톱을 깍을 경우 몸체의 하부판과 상부판사이로 절단되어 나온 손톱이 양 옆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조립시에도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수평핀을 사용하여 누름판을 몸체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누름판의 전환동작도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삭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는 몸체(2)의 상,하부판(21)(22)중의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손톱깍기.
  3. 삭제
KR2020000036551U 2000-12-27 2000-12-27 손톱깍기 KR200270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51U KR200270840Y1 (ko) 2000-12-27 2000-12-27 손톱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51U KR200270840Y1 (ko) 2000-12-27 2000-12-27 손톱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789A Division KR20000050725A (ko) 1999-01-14 1999-01-14 손톱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04U KR20010002204U (ko) 2001-07-20
KR200270840Y1 true KR200270840Y1 (ko) 2002-04-06

Family

ID=7304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551U KR200270840Y1 (ko) 2000-12-27 2000-12-27 손톱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155B (zh) * 2018-08-21 2024-02-09 谭国武 一种指甲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04U (ko) 200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931B2 (en) Hairdressing scissors
JP4596542B2 (ja) 爪切り及び爪切り用刃体と、梃子、そして支持軸
US4819673A (en) Nail clipper
JP2022069803A (ja) 理美容鋏
US6425184B1 (en) Wet shaving razor having a blade assembly move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US7222427B1 (en) Nail clipper
KR200270840Y1 (ko) 손톱깍기
KR101845380B1 (ko) 손톱깎이
JP4543023B2 (ja) 切除具
KR20000050725A (ko) 손톱깍기
US20040148779A1 (en) Nail clipper
KR200294067Y1 (ko) 손톱깎이
KR101905043B1 (ko) 날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가위
JP6736854B2 (ja) カッター機能付きハサミ
JP2878208B2 (ja) 理容鋏
CN211459154U (zh) 指甲刀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KR200195565Y1 (ko) 손톱깎이
KR20040050836A (ko) 손톱깎이 및 손톱깎이용 날체와 지렛대 그리고 지지축
JPS5920211Y2 (ja) 安全かみそりホルダ−
KR200305208Y1 (ko) 가위
KR20160062093A (ko) 가위
JPH0231041Y2 (ko)
KR200326490Y1 (ko)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