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46Y1 - 경광등 - Google Patents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46Y1
KR200270746Y1 KR2020010039311U KR20010039311U KR200270746Y1 KR 200270746 Y1 KR200270746 Y1 KR 200270746Y1 KR 2020010039311 U KR2020010039311 U KR 2020010039311U KR 20010039311 U KR20010039311 U KR 20010039311U KR 200270746 Y1 KR200270746 Y1 KR 200270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branches
lights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Original Assignee
박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배 filed Critical 박찬배
Priority to KR2020010039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46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경광등이 개시된다. 본 경광등은 표시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전등들 가운데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가지를 가지는 도광관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관(light guiding tube)은 광섬유 등 빛을 유도할 수 있는 관로로 이루어지며, 경광등의 전등과 접속되는 부분은 하나의 관로를 이루나 반대편의 빛을 방출하는 부분은 여러 개의 가지로 분기되는 것을 쓸 수 있다. 분기되는 도광관의 각 가지는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등의 단부가 도광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광관이 접속된 경우, 경광등의 하나의 전등은 도광관의 가지 갯수만큼 수적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분기된 도광관의 가지들이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어느 방향에서도 경광등 전등의 불빛을 잘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광등{ALARM LAMP}
본 고안은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경광등은 개별적으로 혹은 다수 개가 연결된 형태로 사용되어 교통 통제 지역이나 공사 지역에서 통행인 기타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을 경고하거나 진로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전등으로 안전 시설물의 일종이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 경광등의 전체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경광등(10)은 상부의 원형 표시부(20)와 하부의 소켓부(30)로 이루어진다. 표시부(20)에는 원형의 투명 케이스(21) 내부에 경계 표시를 위한 전등(23)이 설치된다. 전등(23)은 하나 혹은 복수로 형성되며, 통상 케이스 중앙과, 중앙에서 주변에 퍼져나가는 가지 단부에 설치된다.
경광등(10)은 시각을 통해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즉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의 구성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표시부(20) 내에 설치되는 전등(23)의 수는 통상 복수개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간단한 회로 기판을 통해 각 전등(23)이 항상 켜져있는 것이 아니라 점멸되도록 조절하므로써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전등(23)의 수를 복수개로 하고, 각 전등의 점멸 시기 및 주기를 조절하면 경광등 표시부(20) 내의 전등(23)은 회로 기판의 조절 작용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짝이거나, 차례로 반짝이는 것 같은 다양한 형태의 발광을 통해 시인성을 높이고 이를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계 표시를 여러 방향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20) 케이스(21) 내에 반사를 위한 격벽을 설치하거나 각 전등(23)이 설치된 주변의 케이스(21)에 다면 커팅부(25)나 볼록부(27)를 형성할 수 있다.
경광등(10)의 하부 소켓부(30)는 경광등(10)을 고정 설치하거나, 표시부(20)의 전등(23)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이루어진다.
도2는 경광등(10)의 표시부 케이스(21) 내의 전등(23) 설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2에 따르면, 다면 커팅부(25)에 의해 가려진 중앙에 도시되지 않은 전등이하나 설치되고,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7개의 가지 전등(23)이 뻗어나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전등에 인접한 케이스 중앙부의 케이스(21) 면에는 다면 커팅부(25)가 형성되어 광선을 반사 분산하도록 되어 있다.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가지 전등(23) 주위에는 케이스 내부로 반사벽(24)이 설치되고, 주변 케이스면에는 볼록부(27)가 형성되어 보다 넓은 각도에서, 즉, 여러 방향에서 전등(23)의 불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2에서 보듯이 경광등 내에 설치된 전등(23)의 수를 늘리거나, 각 전등의 빛을 주변 모든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전등(23) 주변에 반사벽(24)을 설치하고, 케이스 표면에 볼록부(27) 및 다면 커팅부(25)를 설치하는 등의 구성은 통상 경광등(10)의 시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이런 구성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가령, 전등 자체의 가격이나 케이스의 금형의 복잡화로 인한 비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등의 갯수를 일정 이내로 유지하면서 더 많은 수의 전등을 설치하거나 케이스 벽면에 반사벽(24), 볼록부 (27)등을 설치한 효과를 올리는 구성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기본 구조하에도 인식되는 전등의 실질적 개수를 늘리고, 여러 방향에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기본 구조 형성을 위한 제조 설비의 변경 및 그에 따른 비용의 추가가 없으면서도 적은 부가 비용만으로 전등의 실질적으로 인식되는갯수를 늘리고, 모든 방향에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 경광등의 전체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경광등의 표시부 케이스 내의 전등 설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의 전체적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경광등의 표시부의 케이스 내부 전등에 도광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광등의 표시부의 케이스 내부 전등에 도광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광등은, 표시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전등들 가운데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가지를 가지는 도광관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관(light guiding tube)은 광섬유 등 빛을 유도할 수 있는 관로로 이루어지며, 경광등의 전등과 접속되는 부분은 하나의 관로를 이루나 반대편의 빛을 방출하는 부분은 여러 개의 가지로 분기되는 것을 쓴다. 분기되는 도광관의 각 가지는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등의 단부가 도광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광관이 접속된 경우, 경광등의 하나의 전등은 도광관의 가지 갯수만큼 수적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분기된 도광관의 가지들이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어느 방향에서도 경광등 전등의 불빛을 잘 인식할 수 있다.
도광관의 끝을 경광등의 전등이 잘 끼워질 수 있도록 대롱 모양으로 형성하면 전등 등 기존의 부품을 바꾸지 않고도 도광관을 전등에 쉽게 결합시켜 본 고안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광관의 가지 갯수는 필요에 따라 3개, 5개, 7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지 갯수 5개 정도가 빛의 강도를 지나치게 분산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데 적당하다. 도광관의 가지들은 도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가지와 이 가지를 따라가면서 중도에 하나씩 길이와 굽어지는 방향을 달리하며 분기되는 가지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경광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의 전체적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경광등의 표시부의 케이스 내부 전등에 도광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광등(100) 외관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경광등의 전체적 외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즉, 상부의 표시부(120)와 하부의 소켓부(130)를 가지며, 표시부(120)에는 케이스(121) 내에 표시 발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등(123)이 설치된다. 단, 종래와 달리 표시부(120)의 케이스(121)에서 전등 위치마다 존재하며 볼록 렌즈의 역할을 하던 도드라진 볼록부가 제거되었고, 중앙에서 주변으로 뻗으면서 설치된 복수의 전등(123)에는 몇 개의 가지로 분기된 도광관(126)이 씌워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등(123) 말단은 도광관(126)이 분기된 형태를 가진다.
도4에 따르면, 표시부에서 주변으로 뻗어있는 각 전등(123)의 말단에 도광관(126)이 결합되어 있다. 전등(123)에서 나온 빛은 도광관(126)을 따라 유도되어 도광관(126)의 분기된 가지들(127,128,129,130,131)) 말단으로 방출된다. 도광관(126)의 가지들 가운데 하나(131)는 길게 위로 뻗어있고, 길게 뻗은 가지(131) 주위를 따라가면서 4개의 가지들(127,128,129,130)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지는 형성 길이가 다르며 끝부분에서 길게 뻗은 가지(13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지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도록 가령 다른 가지들과 90도 혹은 180도 틀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 전등(123) 인근의 케이스면에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설치하던 볼록부가 없이도 어떤 방향에서든 전등의 빛을 볼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의 다른 실시예를 이룰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도광관(126)을 나타낸다. 이 도광관(126)에서는 중앙의 가지가 없이 짧은 길이의 두개의 가지(132,133)가 서로 180도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들 절곡된 끝 부분은 각각 가지 하부가 달리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긴 가지(134,135) 두개의 끝 부분은 짧은 가지(132,133)가 절곡된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또한 긴 가지끼리는 반대 방향을 향하고 하부가 달리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르면, 경광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경광등 내에 형성된 전등의 실질적 갯수를 늘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3)

  1. 표시부 케이스 내에 복수의 전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경광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등들 가운데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가지를 가지는 도광관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관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등과 접속되는 부분은 하나의 관로를 이루고, 반대편의 빛을 방출하는 부분은 여러 개의 가지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관의 분기된 가지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KR2020010039311U 2001-12-19 2001-12-19 경광등 KR200270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1U KR200270746Y1 (ko) 2001-12-19 2001-12-19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1U KR200270746Y1 (ko) 2001-12-19 2001-12-19 경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746Y1 true KR200270746Y1 (ko) 2002-04-03

Family

ID=7307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11U KR200270746Y1 (ko) 2001-12-19 2001-12-19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5156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итации неонового света
US6808293B2 (en) LED lamp with prismatic cover lens
US6874924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on of neon lighting
US4698734A (en) Lensed indirect luminaire with side angle brightness control
RU2613197C2 (ru) Блок освещ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000014B1 (ko) 엘이디 가로등 장치
US6267490B1 (en) Vehicular lamp
US4420740A (en) Obstruction warning system
US6948828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ng neon of a predetermined design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270746Y1 (ko) 경광등
KR100702894B1 (ko) 가로등 등기구
CN111094841A (zh) 由于led源的叶序布置的户外照明器的改进的舒适度
KR200411153Y1 (ko) 경광등
EP1317683A1 (en) Optical conduit
KR100329666B1 (ko)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 교통 신호등
KR200195913Y1 (ko)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 교통 신호등
CN218154020U (zh) 光导装置、光学照射组件以及机动车辆
CN213686413U (zh) 透明灯罩及地插灯
KR101325991B1 (ko) 가로등용 전등갓
CN213453342U (zh) 地插灯
CN220249744U (zh) 车灯和车辆
KR200269712Y1 (ko) 도로 점멸신호등
KR100340132B1 (ko) 항해등
JP3624268B2 (ja) 高輝度図柄発光表示装置
KR200361133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1모듈 다색 신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