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14Y1 - 흡인기 - Google Patents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14Y1
KR200270714Y1 KR2019990006800U KR19990006800U KR200270714Y1 KR 200270714 Y1 KR200270714 Y1 KR 200270714Y1 KR 2019990006800 U KR2019990006800 U KR 2019990006800U KR 19990006800 U KR19990006800 U KR 19990006800U KR 200270714 Y1 KR200270714 Y1 KR 200270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case
tripod
aspira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839U (ko
Inventor
김병장
Original Assignee
김병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장 filed Critical 김병장
Priority to KR2019990006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14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식등의 치료를 위하여 마스크나 마우스 피스로 환자의 입이나 코로 약재를 분무하기 위한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12)와 반대쪽에서 연장된 배출구(18)와, 하부쪽에는 에어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에어주입구(14)와, 상기 에어주입부(14)와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을 이루고 상부에는 구멍(22)이 형성된 삼각대(24)와, 약재가 저장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부(26)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원통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몸통부(41)와, 상기 케이스(10)의 삼각대(24)를 밀착되게 수용하며 180도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되며 상부에 구멍(46)이 형성된 흡입대(42)와, 상기 몸통부(4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 자 형태의 지지대(47)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슬릿(49)이 형성된 충돌부(48)와, 상기 몸통부(41)의 둘레방향으로 약 180도로 연장된 가로격벽(50)과, 상기 몸통부(41)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대칭인 세로 격벽(52)과, 상기 후킹홈(30)에 후킹되는 후크(58)가 장착된 카바부(54)로 구성된 벨브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인기{ASPIRATOR}
본 고안은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천식등의 치료를 위하여 마스크나 마우스 피스로 환자의 입이나 코로 약재를 분무하기 위한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흡인기(2)는 의료용 네블라이져(1)에 장착되어 공기 공급튜브(5)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흡인기(2)내에 수용된 약재를 마우스피스(4)나 마스크(3)를 통하여 환자의 입이나 코에 약재를 분무하는 것이다. 이러한 네블라이져(6)에는 적외선 치료기(6)같은 것이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인기(2)는 약재 분무시 약재가 일정한 양으로 분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이것은 약재 분무 구성이 직법분사방식이었기 때문에 정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약재의 분무를 일정하게 하도록, 약재를 간접분무할 수 있는 흡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의 일예로써,
몸통부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반대쪽에서 연장된 배출구와, 하부쪽에는 네블라이져에 연결된 공기공급튜브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에어주입구와, 상기 에어주입부와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을 이루고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삼각대와, 약재가 저장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된 케이스와,
원통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몸통부와, 상기 케이스의 삼각대를 밀착되게 수용하며 180도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구멍이 형성된 흡입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 자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슬릿이 형성된 충돌부와, 상기 몸통부의 둘레방향으로 약 180도로 연장된 가로격벽과, 상기 몸통부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대칭인 세로 격벽과, 상기 후킹홈에 후킹되는 후크가 장착된 카바부로 구성된 벨브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를 도시한 장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대의 저면도
도 5는 종래의 의료용 네블라이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2 : 손잡이
14 : 에어주입부 16 : 몸통부
18 : 배출부 20 : 마우스 피스
22 : 구멍 24 : 삼각대
26 : 받침부 30 : 후킹홈
40 : 밸브부 41 : 몸통부
42 : 흡입대 44 : 홈
46 : 구멍 48 : 충돌부
50 : 가로격벽 52 : 세로격벽
54 : 카바부 58 : 후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되는 밸브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몸통부(16)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된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12)와 반대쪽에서 연장된 배출구(18)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쪽에는 네블라이져(1)에 연결된 공기공급튜브(5)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에어주입구(14)와, 상기 에어주입부(14)와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을 이루고 상부에는 구멍(22)이 형성된 삼각대(24)와, 약재가 저장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부(26)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구(18)에는 마우스피스(20) 또는 마스크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후킹홈(30)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40)는 원통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몸통부(41)와, 상기 케이스(10)의 삼각대(24)를 밀착되게 수용하며 180도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되며(도 4 참조), 상부에 구멍(46)이 형성된 흡입대(42)와,
상기 몸통부(4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 자 형태의 지지대(47)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슬릿(49)이 형성된 충돌부(48)와, 상기 몸통부(41)의 둘레방향으로 약 180도로 연장된 가로격벽(50)과, 상기 몸통부(41)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대칭인 세로 격벽(52)과, 상기 후킹홈(30)에 후킹되는 후크(58)가 장착된 카바부(5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작동한다.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케이스(10)내에 밸브부(40)를 삽입한다.
그러면, 밸브부(40)의 흡입대(42)가 케이스(10)의 삼각대(24)외부로 밀착된다. 가로격벽(50)의 단부는 케이스 몸통부(16)와 밀착되어 수밀되고, 세로격벽(52)도 케이스 몸통부(16)와 밀착되어 수밀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밸브부(40)의 원형의 중공몸통부(41)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약재를 주입하되, 약재가 슬릿(49) 보다 높지않게 주입한다.
그러면, 약재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삼각대(24)와 흡입대(42) 사이의 홈(44)을 타고 상승하게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주입부(14)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면, 홈(44)내의 약재는 구멍(46)을 통하여 분출되나, 충돌부(48)의 슬릿(49) 상면에 부딪쳐서 옆으로 비산하게 되고, 이 비산된 약재는 가로격벽(50) 및 세로격벽(52)을 통과ㅎ지 못하고, 세로격벽(52)의 상부를 통하여 배출구(18)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배출구(18)에는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가 장착되어, 환자의 입 또는 코로 약재가 흡입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는 홈을 통하여 약재가 일정량씩 상승되고, 슬릿을 통하여 비산되어 격벽이 없는 곳을 통하여 배출구로 이동함으로써,약재가 일정 분량씩 환자에게 공급되고, 분무 효과가 탁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흡인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몸통부(16)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된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12)와 반대쪽에서 연장된 배출구(18)와, 하부쪽에는 네블라이져(1)에 연결된 공기공급튜브(5)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에어주입구(14)와, 상기 에어주입부(14)와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을 이루고 상부에는 구멍(22)이 형성된 삼각대(24)와, 약재가 저장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부(26)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원통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몸통부(41)와, 상기 케이스(10)의 삼각대(24)를 밀착되게 수용하며 180도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되며 상부에 구멍(46)이 형성된 흡입대(42)와, 상기 몸통부(4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 자 형태의 지지대(47)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슬릿(49)이 형성된 충돌부(48)와, 상기 몸통부(41)의 둘레방향으로 약 180도로 연장된 가로격벽(50)과, 상기 몸통부(41)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대칭인 세로 격벽(52)과, 상기 후킹홈(30)에 후킹되는 후크(58)가 장착된 카바부(54)로 구성된 벨브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
KR2019990006800U 1999-04-23 1999-04-23 흡인기 KR200270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00U KR200270714Y1 (ko) 1999-04-23 1999-04-23 흡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00U KR200270714Y1 (ko) 1999-04-23 1999-04-23 흡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839U KR19990022839U (ko) 1999-07-05
KR200270714Y1 true KR200270714Y1 (ko) 2002-04-03

Family

ID=5475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800U KR200270714Y1 (ko) 1999-04-23 1999-04-23 흡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839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497A (en) Sidestream aerosol generator and method in variable positions
US3097645A (en) Nebulizer
US10137260B2 (en) Nebulizer kit and nebulizer
RU2000115309A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галяции
JP3218212U (ja) 薬液霧化装置
CN108126259A (zh) 一种医用雾化器
CN114100894A (zh) 一种防逆流雾化装置
KR200270714Y1 (ko) 흡인기
JP5467464B2 (ja) ボトル及び浸漬管
CN110354350B (zh) 一种改良的雾化器
US20020112720A1 (en) Non-spill nebuliser for aerosol systems
KR850001008Y1 (ko) 분무기
JPS598768Y2 (ja) 超音波霧化装置
CN213642626U (zh) 一种角度可调式雾化器
TWM567639U (zh) Liquid atomizing device
JP2596011Y2 (ja) 鼻薬噴霧容器
CN211611148U (zh) 一种防药液外流雾化吸入装置
CN213312569U (zh) 一种中西医结合的雾化给药装置
KR200263453Y1 (ko) 네블라이져용 분사장치
KR920007089Y1 (ko) 초음파 가습기 노즐
JP3168035B2 (ja) 吸入器
JPH0530769Y2 (ko)
JPS629871Y2 (ko)
JP3062191U (ja) 咽喉部用薬液吐射器
JPH02433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