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78Y1 - 신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78Y1
KR200270578Y1 KR2020010040104U KR20010040104U KR200270578Y1 KR 200270578 Y1 KR200270578 Y1 KR 200270578Y1 KR 2020010040104 U KR2020010040104 U KR 2020010040104U KR 20010040104 U KR20010040104 U KR 20010040104U KR 200270578 Y1 KR200270578 Y1 KR 200270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outlet hole
sho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언
정성택
강선행
Original Assignee
김중언
정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언, 정성택 filed Critical 김중언
Priority to KR2020010040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78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여러 켤레의 신발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신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신발을 한꺼번에 건조장치의 분기관에 걸어 배출되는 온풍에 의해 신발의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킴과 아울러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온풍이 배출되는 분기관을 유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되지 않은 분기관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온풍이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분기관에 온풍이 고르게 적정량씩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발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를 개폐함과 아울러 내부를 볼수 있도록 상부에 투명창(12)이 구비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11)와; 상기 댐퍼(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20) 하부의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21)과; 상기 송풍팬(21)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와; 상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20)의 후면부에 덕트형상으루 구비된 분배관(25)과; 상기 분배관(25)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되, 그 길이를 달리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26)과;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판(26)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종단부에 제1유출공(27a)이 형성되며 신발을 걸을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분기관(27)과; 상기 분기관(27)의 제1유출공(27a)을 개폐하도록 제2유출공(29a)이 형성되며 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27c)으로 장착된 유출공조절판(29)과; 상기 제1/2유출공(27a,29a)을 통해 유출되어 신발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관(27)의 소정위치에 향매트(28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향매트도어(28b)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건조장치{The drying machine of shoes}
본 고안은 신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여러 켤레의 신발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신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신발이 젖었을 경우, 신발을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때 신발이 빨리 마르지 않아서 다른 수단을 이용을 해야하거나 마를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특히, 여름철에는 갑작스런 장마비에 운동화가 흠뻑 젖는 경우에는 자연건조방법으로 빠른 시간에 건조시킬 수가 없으며, 더운 날에 운동화를 오래 동안 신고 활동하다 보면 운동화 속에서 쾌쾌한 발냄새가 발생하기도 하여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었다.
또한, 한 겨울에 운동화 건조시에는 날씨가 매우 추워서 운동화가 얼어 붙거나 오랫동안 건조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적인 건조방법은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자연적인 건조방법 이외에, 인공적인 건조방법으로서 열을 가하게 되는데, 이 때에 신발과 열원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증발과정에서 신발의 표피가변색되거나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인공적인 방법을 행함에 있어서도, 적절한 도구와 건조장소가 없어서 건조작업을 수월하게 행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상적인 방법으로 두발건조기(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신발을 건조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건조시키는 가열 용량이 부족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건조시킬 수 없어서 불편하고 내부의 악취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신발을 한꺼번에 건조장치의 분기관에 걸어 배출되는 온풍에 의해 신발의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킴과 아울러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온풍이 배출되는 분기관을 유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되지 않은 분기관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온풍이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분기관에 온풍이 고르게 적정량씩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발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를 개폐함과 아울러 내부를 볼수 있도록 상부에 투명창(12)이 구비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11)와; 상기 댐퍼(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20) 하부의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21)과; 상기 송풍팬(21)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와; 상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20)의 후면부에 덕트형상으루 구비된 분배관(25)과; 상기 분배관(25)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되, 그 길이를 달리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26)과;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판(26)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종단부에 제1유출공(27a)이 형성되며 신발을 걸을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분기관(27)과; 상기 분기관(27)의 제1유출공(27a)을 개폐하도록 제2유출공(29a)이 형성되며 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27c)으로 장착된 유출공조절판(29)과; 상기 제1/2유출공(27a,29a)을 통해 유출되어 신발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관(27)의 소정위치에 향매트(28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향매트도어(28b)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관의 부분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건조장치 10 : 도어
11 : 댐퍼(damper) 12 : 투명창
20 : 본체 21 : 송풍팬
22 : 구동모터 23 : 히터
24 : 온도감지센서 25 : 분배관
26 : 가이드판 27 : 분기관
27a : 제1유출공 27b : 돌기
27c : 회전축 28a : 향매트
28b : 향매트도어 29 : 유출공조절판
29a : 제2유출공 29b : 이동홀
30 : 배출구 40 : 조작판넬
41 : on/off스위치 42 : 온도조절레버
43 : 타이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관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건조장치는 본체(20)를 개폐함과 아울러 내부를 볼수 있도록 상부에 투명창(12)이 구비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damper,11)와, 상기 댐퍼(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20) 하부의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21)과, 상기 송풍팬(21)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와, 상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20)의 후면부에 덕트형상으루 구비된 분배관(25)과, 상기 분배관(25)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되, 그 길이를 달리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26)과,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판(26)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종단부에 제1유출공(27a)이 형성되며 신발을 걸을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분기관(27)과, 상기 분기관(27)의 제1유출공(27a)을 개폐하도록 제2유출공(29a)이 형성되며 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27c)으로 장착된 유출공조절판(29)과, 상기 제1/2유출공(27a,29a)을 통해 유출되어 신발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3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26)은 상기 분배관(25)의 상부로 갈수록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열된 공기가 밀도가 가벼워져 상부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판(26)에 의해 적정량씩 상기 다수개의 분기관(27)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기관(27)의 종단부에는 제1유출공(27a)과 돌기(27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상기 유출공조절판(29)이 회전축(27c)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출공조절판(29)에는 상기 제1유출공(27a)과 동일한 크기로 제2유출공(29a)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27b)에 걸려 회전되는 범위가 한정되도록 이동홀(29b)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9c)을 중심축으로 상기 유출공조절판(29)을 회전시켜 상기 제1유출공(27a)을 적절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27) 상부에 향매트(28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향매트도어(28b)가 구비되어 신발 건조시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발 건조장치(1)에는 조작판넬(40)과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판넬(40)은 상기 신발 건조장치(1)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on/off스위치(41)와, 상기 히터(23)의 온도범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레버(42)와, 상기 상기 신발 건조장치(1)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판넬(40)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24)에 연결된 주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발 건조장치(1)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의 신발 건조장치에 공지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신발건조장치(1)의 도어(11)를 개폐하여 젖은 신발을 분기관(27)의 종단부에 걸고, 상기 도어(10) 하부의 조작판넬(40)에 구비된 온/오프스위치(31)를 "on"위치로 작동하고, 온도조절레버(42)로 풍량 또는 히터(23)의 방열량을 조절 한 다음, 타이머(42)로 건조시간을 세팅하면, 송풍팬(21) 및 히터(23)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21)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은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구비된 댐퍼(damper,11)에 의해 조절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21)에 의해 압송된 외기는 상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되어 밀도차에 기인한 미세한 자연대류와 상기 송풍팬(21)에 의한 강제대류에 의해 분배관(25)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23)가 이상적으로 작동되어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분배관(24)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24)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23)에 인가된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할 수 있게된다.
상기 분배관(25)에는 가이드판(26)이 상부로 갈수록 길게 돌출형성되어 있어, 가열된 공기의 적정량이 각 분기관(27)으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분기관(27)에 유입된 뜨거운 공기는 종단부의 제1유출공(27a)과 유출공조절판(29)의 제2유출공(29a)를 통해 젖은 신발의 내부로 분출되면서 수분증발을 촉진시켜 신속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관(27)은 다수개로 구비된 바, 신발이 걸리지 않은 상기 분기관(27)은 상기 유출공조절판(29)을 회전축(27c)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유출공(27a)을 밀폐하여 가열된 공기의 열에너가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젖은 신발이 걸려진 상기 분기관(27)도 상기 유출공조절판(29)에 의해 상기 제1유출공(27a)을 적절하게 개폐함으로써 가열된 공기의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젖은 신발을 건조시킨 공기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된배출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신발을 건조시키다가, 상기 타이머(42)에 설정된 시간이 이르게 되면, 상기 송풍팬(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와, 히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신발 건조장치(1)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분기관(27)에 향매트도어(28b)를 구비하고, 여기에 향매트(28a)를 삽입한 후, 상기 히터(23)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송풍기팬(21)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며 외기를 상기 분기관(27)으로 유동시켜줌으로써 신발의 악취를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향매트(28a)는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수명이 다하면 교체할 수 있도록 교환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히터와 송풍 팬을 이용하여 장마철의 비나 겨울철의 눈 등에 의해 신발이 젖는다고 하더라도 사시사철 간편하고 빠른 시간내에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취급과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기관에 향매트를 삽입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다수개의 분기관을 유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되지 않은 분기관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온풍이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분기관에 온풍이 고르게 적정량씩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를 개폐함과 아울러 내부를 볼수 있도록 상부에 투명창(12)이 구비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11)와;
    상기 댐퍼(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20) 하부의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21)과;
    상기 송풍팬(21)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와;
    상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20)의 후면부에 덕트형상으루 구비된 분배관(25)과;
    상기 분배관(25)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되, 그 길이를 달리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26)과;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판(26)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종단부에 제1유출공(27a)이 형성되며 신발을 걸을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분기관(27)과;
    상기 분기관(27)의 제1유출공(27a)을 개폐하도록 제2유출공(29a)이 형성되며 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27c)으로 장착된 유출공조절판(29)과;
    상기 제1/2유출공(27a,29a)을 통해 유출되어 신발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30)로 구성되는 신발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7)의 소정위치에 향매트(28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향매트도어(28b)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건조기.
KR2020010040104U 2001-12-26 2001-12-26 신발 건조장치 KR200270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04U KR200270578Y1 (ko) 2001-12-26 2001-12-26 신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04U KR200270578Y1 (ko) 2001-12-26 2001-12-26 신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78Y1 true KR200270578Y1 (ko) 2002-04-12

Family

ID=730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104U KR200270578Y1 (ko) 2001-12-26 2001-12-26 신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19A (ko) * 2002-04-08 2002-05-16 이성로 신발 전용 세탁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19A (ko) * 2002-04-08 2002-05-16 이성로 신발 전용 세탁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329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073821A (ja) 衣類乾燥機
KR100388004B1 (ko) 의류 건조기
KR100762370B1 (ko) 건조기
KR200381792Y1 (ko) 신발 건조장치
KR200270578Y1 (ko) 신발 건조장치
KR100739202B1 (ko) 방향제가 장착된 의류 건조기
US4250631A (en) Tobacco-pipe holder and dryer
JPH08276098A (ja) 衣類乾燥機
JP2005230322A (ja) 衣類乾燥機
JP2778202B2 (ja) 衣類乾燥機
KR200308144Y1 (ko) 인삼건조장치
KR100865905B1 (ko) 습기제거장치가 부설된 농수산물 건조기
KR100939806B1 (ko) 드럼식 건조기
KR200235938Y1 (ko) 내부순환식오징어건조장치
JPH073950Y2 (ja) 強制乾燥式下足箱
KR100514129B1 (ko) 드럼 세탁기의 응축장치
KR880001764Y1 (ko) 세탁물 건조기
KR200250731Y1 (ko) 신발 건조기
KR0123938B1 (ko) 식기건조기의 건조효율 증가장치
KR101060516B1 (ko) 농수산물 건조기의 배습장치
KR200437106Y1 (ko) 신발 건조장치
KR0124465Y1 (ko) 세탁기의 건조열기 배출장치
KR200250736Y1 (ko) 신발 건조기
CN207356058U (zh) 一种干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