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33Y1 - 비옷겸용 가방 - Google Patents

비옷겸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33Y1
KR200270533Y1 KR2020010030984U KR20010030984U KR200270533Y1 KR 200270533 Y1 KR200270533 Y1 KR 200270533Y1 KR 2020010030984 U KR2020010030984 U KR 2020010030984U KR 20010030984 U KR20010030984 U KR 20010030984U KR 200270533 Y1 KR200270533 Y1 KR 200270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coat
bag
storage space
backp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락
Original Assignee
이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락 filed Critical 이경락
Priority to KR2020010030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33Y1/ko

Link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등과 같은 가방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의 내측 혹은 외측에 수용공간을 형성시키고 우의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가방의 내측이나 외측 일면에 함몰된 수납공간부(110)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부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수단(120)과; 상기 수납공간부(110)에 일부위가 고정부착되어지고 펼치게 되면 방수기능을 하는 비옷을 이루게되는 우의(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기후의 변화가 심한 고산지대를 등산할 시나 여름철에 별도의 우산이나 비옷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시키고 가방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빈번히 분실하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옷겸용 가방이다.

Description

비옷겸용 가방{a bag which has raincoat}
본 고안은 비옷이 구비된 가방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등산용 배낭등에 고정부착시키고 접어 보관함으로서 갑작스런 폭우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비옷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에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우산이나 비옷을 휴대하게되며 손에 파지하여 운반되어지는 관계로 버스, 지하철등에 승차시 옆자석등에 올려놓는 경우가 많게된다. 이럴 경우 급하게 하차하거나 조금만 신경을 쓰지않게되면 쉽게 분실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우산의 경우에는 휴대가 용이토록 다수회 접철될 수 있는 구조로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신체와 분리되어 운반되고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분실의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비옷의 경우에는 휴대가 용이토록 접어 소형의 가방과 같은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 출원번호 85-6497호의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상기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의 절첩 휴대 상태의 사용 상태도(a) 및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b)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의류(1)의 겨드랑이 하부 내측면(1')에 중앙절곡부(4') 양측에 좌,우 화스너(2)(3)를 양측 전주면을 따라 봉착한 평면 지갑체(4)를 일체로 봉착하고 화스너 슬라이드(5)에는 손잡이끈(6)을 형성시켜서된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는, 기온의 변화나 우천시에 대비하여 의류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한 것이며 접었을 때에는 최종적으로 소형의 가방이 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는 의복을 휴대가 간편토록 한 것이며 그 용도 또한 의류에 한정되며, 여전히 분실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외출이나 등산시에 메고다니는 배낭등의 가방에 우천시에 신속히 착용할 수 있도록 가방에 부착된 비옷겸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가방에 항상 부착되어 있음으로 손에 직접 휴대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비옷겸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의류의 절첩휴대 상태의 사용 상태도(a) 및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b).
도 2 -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배낭의 외측면에 개폐수단과 우의가 형성될 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 도 2에서 에이에이(A-A)선 단면도.
도 4 - 우의를 수납공간부로부터 꺼집어내었을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 - 수납공간부로부터 우의를 꺼내어 착용한 경우의 예시도.
도 6 -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비옷겸용 가방의 착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배낭 110 : 수납공간부
120 : 개폐수단 130 : 우의
140 : 와이어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통상적인 배낭등의 가방에 있어서, 가방의 내측이나 외측 일면에 함몰된 수납공간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부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수납공간부 일부위가 고정부착되어지고 펼치게 되면 방수기능을 하는 비옷을 이루게되는 우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토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비옷겸용 가방에 관련된 것이다.
여름철과 같은 기간동안에는 잦은 강우로 우산이나 비옷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많았으며, 거추장스러운 점이 또한 있었다. 그리고 보통은 손에 파지하여 운반되어 지므로서 쉽게 분실이 발생된다는 특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등산용 가방에 부착함으로서 기후변화가 심한 고산지대에서도 갑작스런 비에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반적인 배낭과 같은 가방의 내측이나 외측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개폐수단을 구비토록 하며, 이렇게 형성되는 공간에 특정부위를 부착시킨 우의를 내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우의는 다수겹으로 접혀져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보관되어지며 유사시에 펼쳐서 손쉽게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특징은 가방과 우의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져 있다.
이하로부터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옷겸용 가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첨부되는 도 2는 배낭의 외측면에 상기의 개폐수단과 우의가 형성될 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2에서 에이에이(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100)의 외측면, 즉 사용자가 상기 배낭을 등에 짊어질 시에 등부위에 해당하는 면의 중앙부에 상기 개폐수단(120)을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우의(130)를 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개폐수단(120)의 내부에 우의(130)가 내장되도록 하기 위해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가방을 구성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부위를 수납공간부(110)라 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수단(120)으로서 지퍼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수납공간부(1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지퍼가 구비되도록하여 우의를 꺼집어 내거나 보관시킬 수 있게한다.
상기 수납공간부(110)의 저면에 상기 우의(13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우의의 등부위의 일 개소를 상기 수납공간부(110)와 결합시키도록 한다. 우의(130)는 가벼운 합성수지로 보통 제작이 되는바 상기 수납공간부(110)의 저면과 결합되는 등부위의 일 개소는 타 부위보다 견고할 필요성이 있게되고, 따라서 상기 우의의 결합부에는 탄성이 있는 타 직물을 덧대어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우의(130)와 수납공간부(110)의 결합은 일반적인 박음질로도 가능하나, 여기에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고 이미 알려진 타 결합방식도 가능하게 됨을 밝혀둔다.
이어서, 첨부되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우의와 수납공간부간의 결합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한다. 상기 도 4는 우의를 수납공간부로부터 꺼집어내었을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우의(130)의 등부위의 일개소와 상기 수납공간부(110)의 저면과를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첨부되는 도 5는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우의를 꺼내어 착용한 경우의 예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우의(130)를 착용하고자 할 시에 상기 개폐수단(120)인 지퍼를 열고 접혀져 보관되는 우의를 외측으로 펼치게 됨으로서 착용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배낭(100)의 어깨끈의 외측으로 양 소매를 뺀 상태를 유지케하고 사용자가 착용하게 된다. 물론 배낭은 여전히 우의의 배면에 부착되어진 상태이며 사용자는 우의를 착용한 후에는 상기 배낭을 메면 착용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의는 모자도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착용자의 전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배낭에 우의가 부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스포츠용 백이나 학생용 가방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경우에서처럼 우의를 수납공간부로부터 꺼집어내었을 때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게 되면, 상기 우의와 수납공간부의 저면과의 결합에 있어서 직접 맞닿게 형성시키지 않고 탄성이 있는 와이어(140)로 연결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40)로 우의(130)와 배낭(1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110)를 연결시킴으로서 우의를 착용함에 있어서 보다 자유롭게 착용이 가능하게 되고 가방을 착용자의 등부위만이 아니라 손에 파지할 수도 있게된다.
이어서, 첨부되는 도 7 및 도 8의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반적인 배낭의 배면부에 수납공간부(110), 개폐수단(120) 및 우의(130)가 형성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배낭의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된 수납공간부(110)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우의(130)의 일측을 고정부착시킨 상태로 접어서 보관되도록 한다.상기 수납공간부에 우의를 접어 넣은 후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120)으로 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우의(130)를 수납공간부(110)에 부착시키는 방식은 상기 제 1실시예나 제 2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배낭의 배면부로부터 우의를 꺼집어 내어 착용을 하게 함으로서 가방도 상기 우의의 내부에 포함된 상태로 사용자가 우의를 착용하게 됨으로 우천시에 신체뿐만 아니라 배낭도 보호가 될 수 있게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지는 비옷겸용 가방을 사용하는 예시도를 나타내며, 착용자가 우의를 착용하게 되면 우의의 내부에 배낭도 포함되어 외부와 격리되어지므로서 신체와 함께 보호가 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옷겸용 가방을 착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우선 개폐수단을 열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는 우의를 꺼집어 내어 펼치며, 이어서 사용자는 배낭의 어깨끈을 멘 후 우의를 착용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흔히 사용하는 가방에 우의가 내장되어져 있음으로서 별도의 우산이나 우의를 휴대할 필요가 없게되며 분실의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구환경오염에 따른 잦은 산성비가 갑자기 내릴 경우에도 신속히 착용이 가능하게됨으로서 신체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게된다.
또한, 우천시 뿐만아니라 과학의 발달에 따른 생화학적인 테러행위나 전쟁시에도 응급조치로서 신속히 착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통상적인 배낭등의 가방에 있어서,
    가방의 내측이나 외측 일면에 함몰된 수납공간부(110)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부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수단(120)과;
    상기 수납공간부(110)에 일부위가 고정 부착되어지고 펼치게 되면 방수기능을 하는 비옷을 이루게되는 우의(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토록 한 비옷겸용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20)은,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겸용 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의(130)는,
    상기 수납공간부(110)과 와이어(140)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겸용 가방.
  4. 삭제
KR2020010030984U 2001-10-11 2001-10-11 비옷겸용 가방 KR200270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84U KR200270533Y1 (ko) 2001-10-11 2001-10-11 비옷겸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84U KR200270533Y1 (ko) 2001-10-11 2001-10-11 비옷겸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33Y1 true KR200270533Y1 (ko) 2002-04-03

Family

ID=7311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984U KR200270533Y1 (ko) 2001-10-11 2001-10-11 비옷겸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02A (ko) * 2002-07-09 2004-01-24 조정수 우의모를 구비한 가방
KR100476354B1 (ko) * 2002-09-11 2005-03-16 주재헌 가방식 우의
KR100476476B1 (ko) * 2002-09-18 2005-03-17 주재헌 가방식 우의
KR101375837B1 (ko) * 2012-04-02 2014-03-17 안상필 가방 겸용 우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02A (ko) * 2002-07-09 2004-01-24 조정수 우의모를 구비한 가방
KR100476354B1 (ko) * 2002-09-11 2005-03-16 주재헌 가방식 우의
KR100476476B1 (ko) * 2002-09-18 2005-03-17 주재헌 가방식 우의
KR101375837B1 (ko) * 2012-04-02 2014-03-17 안상필 가방 겸용 우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7535A1 (en) Convertible jacket and bag
US20220160062A1 (en) Outdoor backpack dual-purpose garment
US9844255B2 (en) Cover-type containing structure for flexible enclosures
US20060010578A1 (en) Pocket band
US20200107594A1 (en) Packable Garment Convertible to a Carry-On Bag
US6073268A (en) Expandable jacket
KR200270533Y1 (ko) 비옷겸용 가방
EP1440630A1 (en) A backpack type satchel with a rain hat and connected cape
KR200281681Y1 (ko) 반팔, 긴팔 겸용 소매 부분 탈부착 다목적 복합기능의류
US20110315285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KR101843273B1 (ko) 다기능성 우의
KR200404894Y1 (ko) 우의가 부착된 배낭
KR200281680Y1 (ko) 소매 가변형 다목적 복합기능 의류
KR200432814Y1 (ko) 우산 결속용 멜빵
CN201119435Y (zh) 雨衣
KR101930232B1 (ko)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KR101712646B1 (ko)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JPH10192028A (ja)
KR200334381Y1 (ko) 다목적 벨트
JP3245691U (ja) 多機能性バッグ
JP3062954U (ja) レインウェア一体型バッグ
KR200363067Y1 (ko) 우비를 가진 배낭가방
CN209609924U (zh) 一种衣服
KR200263613Y1 (ko) 우의를 겸비한 가방
JP3136373U (ja) 折り畳み傘の持ち手の雨濡れ防止カバー兼傘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