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19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19Y1
KR200270519Y1 KR2019990005256U KR19990005256U KR200270519Y1 KR 200270519 Y1 KR200270519 Y1 KR 200270519Y1 KR 2019990005256 U KR2019990005256 U KR 2019990005256U KR 19990005256 U KR19990005256 U KR 19990005256U KR 200270519 Y1 KR200270519 Y1 KR 200270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ap
mesh
drai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265U (ko
Inventor
박재배
Original Assignee
박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배 filed Critical 박재배
Priority to KR2019990005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1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1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2)가 구비된 상부덮개(20)와; 상기 상부덮개(20)와 분리 결합되고, 하측에 정수된 음용수를 일시저장하는 임시저장부(34) 및 배출구가 구비된 정수기본체(30)와; 상기 절곡부(32)의 내면 걸림턱(32a) 상면에 걸쳐지는 지지편(40a)과, 하단부와 상측 소정높이에 형성되는 메쉬부(47,49)와, 상기 메쉬부 사이에 위치되는 여과필터(44)와, 상기 하단메쉬(47)의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단메쉬(49)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통로(42)로 이루어지는 여과체와(40); 상기 여과체(40)의 내벽면과 배수통로(42)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하는 가이드리브(46);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42)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48)과, 이를 조절하는 캡조절부재(48b)의 작동으로 캡(48) 개방이 이루어지는 막힘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리브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여과필터측으로 모두 전달되어 올바른 정수가 이루어지며, 막힘감지부재에 의해 여과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히 알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벽한 정수를 위하여 활성탄, 맥반석 및 천일염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체측으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와, 여과체의 막힘에 의한 교환시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막힘감지부재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눈부신 산업발전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의 증가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식수로 사용하는 음용수에 대한 수질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음용하는 수도물 또는 지하수 등의 음용수는 여러가지 이유로 각종 세균, 철, 녹 및 유기물 등에 의한 오염이 심각하다.
수도물의 경우 그 원인은 정수지에서 각 가정으로 공급하는 물이 정확하게 정수되지 않으며 급수관이 노후됨에 따라 유기물이 침입하거나 또는 급수관을 이루는 철재질의 산화에 의한 녹성분이 수도물내에 함유되고, 또한 수저장 탱크 내의 각종 미생물 즉, 대장균, 콜레라,장티푸스, 이질 등과 같은 각종 전염성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이 수도물내에 서식하기 때문이다.
지하수의 경우 산업폐기물이 배출되면서 인체에 유독한 여러가지 중금속 및 유해성분들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도물 또는 지하수의 오염으로 인하여 오염된 상기 음용수를 음용하는 경우 인체가 해를 입게되고, 이들 오염물질에 의한 냄새 및 맛 등에 의하여 음용수를 음용할 때에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음용수 내의 각종 오염물질을 식용전에 맑고 깨끗한 물로 정수시키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정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여과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상기 여과과정에서는 물속에 함유된 각종 유해물질 및 세균을 여과 또는 멸균시키거나 물속의 미네랄을 생성하고 물을 이온화시키는 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활성탄, 맥반석 등의 여러가지 물질들로 이루어진 여과체를 내장하게 된다.
물론 여과체를 이루는 각 물질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하고, 또한 그 가격이 다양하게 되나,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조에 있어 동일하게 수행되는 개략적인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입구(2)를 통해 오염물질이 함유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는 정수기(1) 내부에 설치된 여과체(3)를 통과하면서 각종 오염물질 및 세균등이 제거된 음용수로 변하여 상기 정수기의 하부에 위치한 출구(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정수기(1)의 여과체(3) 설치 구조하에서는 여과체(3)를 통과한 음용수는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입되는 원수가 충분히 여과되기 위해서는 여과체(3)를 이루는 각 부위를 골고루 통과되어야 하나, 공급되는 원수의 일부분은 정수기(1)의 내벽면을 따라흘러내림에 의해 정확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정수기(1) 내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원수는 여과체(3)를 이루는 활성탄, 맥반석 등의 입자와 내벽면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따라 그대로 흘러내리고, 이에 따라가 여과체(3)를 이루는 상기 입자들에 의한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음용수는 제대로 정수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되어 이를 계속 복용하는 경우 오염물질에 의한 각종 질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정수되는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정수기(1)의 내부에 설치된 여과체(3)의 막힘에 의한 것인지 또는 정수기(1)에 공급되는 물공급 중단에 의한 것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수기(1)를 통해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다. 첫째, 장시간 여과에 따라 여과체(3)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축적되고, 일정시기에는 상기 축적된 오염물질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여과체(3)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둘째로는 정수기(1)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없을 경우 당연히 여과체(3)를 통과하는 물이 없으므로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의 경우 여과체(3)에 의한 것인지 물공급 중단에 의한 것인지 사용자가 바로 확인 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사용상 불편하게 되고, 여과체의 막힘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정수기를 분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러울 뿐 아니라 이에 따라 정수기의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되는 물이 골고루 여과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정수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정수로 인하여 항상 깨끗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를 통한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여과체에 의한 것인지 원수공급이 중단에 따른 것인지를 정수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된 여과체의 교환시기를 쉽게 알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 종래정수기의 내부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도 2의 B부 상세도.
도 5 - 본 고안에 의한 여과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수기 20 : 상부덮개
22 : 유입구 24 : 절곡부
26 : 캡결합부 30 : 본체
32 : 덮개결합부 32a : 내부걸림턱
34 : 임시저장부 36 : 배출구
40 : 여과체 40a : 지지편
42 : 배수통로 42a : 홈
44 : 여과필터 44a : 하부층
44b,44b' : 중간층 44c : 상부층
46 : 가이드리브 47 : 하단메쉬부
48 : 캡 48a : 캡조절부재
49 : 상단메쉬부 p : 패킹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염물질이 함유된 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덮개결합부가 하단에 구비된 상부덮개와; 상기 상기 덮개결합부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향돌출된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부덮개로부터 분리 결합되고, 하측에 정수된 음용수를 일시저장하는 임시저장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정수기본체와; 상기 절곡부의 내면 걸림턱 상면에 걸쳐지는 지지편이 상단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하단부와 상측소정높이에 형성되는 메쉬부와, 상기 메쉬부 사이에 위치되는 여과필터와, 상기 하단메쉬의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단메쉬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통로로 이루어지는 여과체와; 상기 여과체의내벽면과 배수통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벽면과 배수통로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여과필터측으로 전달하는 가이드리브;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과, 상기 캡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외면에 설치되는 캡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캡조절부재의 작동으로 캡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막힘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체는, 하단메쉬부의 메쉬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며 하단메쉬의 상면에 소정높이 위치되는 다수개의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층과; 상기 하단층 상면에서 소정높이 위치되고, 다수개의 활성탄과 상기 활성탄 입자 사이에 소량 존재하는 격자상의 천일염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상면에서 상단메쉬저면에 까지 위치되고, 상기 하단메쉬의 맥반석입자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층;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배수통로의 여과필터가 위치하는 소정높이 외주면에 원추형으로 하향경사져 형성되는 제1가이드리브와; 여과필터가 위치하는 소정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상측과 하측 높이의 여과체 내벽면 둘레상의 각각에 하향경사져 형성되는 제2가이드리브;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리브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여가필터측으로 모두 전달되어 올바른 정수가 이루어지며, 막힘감지부재에 의해 여과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히 알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2내지 도 4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10)는, 크게 상부덮개(20), 정수기본체(30) 그리고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체(40)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덮개(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20)의 상면에는 외부의 배수관(a)과 연결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2)의 내주면테두리에는 고무재질의 패킹재가 구비되어 배수관(a)으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2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절곡부(24)의 외주면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정수기본체(30)와 결합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상부덮개(20)가 정수기본체(30)와 결합분리되는 구조는 상기 나사구조 이외에 여러가지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20)의 상부 일측에는 캡결합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캡결합부(26)는, 후술하는 캡조절부재(48b)가 결합되어 외부에서 캡(48)의 개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으로 돌출된 캡결합부(26)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기 캡조절부재(48b)는 상기 나사산을 통하여 결합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 정수기본체(3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본체(30)의 상부에는 외향으로 돌출형성된 덮개결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결합부(32)는 상기 상부덮개(20)의 절곡부(24)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덮개(20)와 결합 분리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결합부(32)를 외향으로 돌출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여과체(40)가 본체(30)에 결합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여과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편(40a)이 상기 덮개결합부(32)의 내부걸림턱(32a)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30)와 상부덮개(2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덮개(20)의 절곡부(24) 하단이 여과체(40)의 지지편(40a)을 가압하여 본체(30)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여과체(40)를 통과한 정수된 음용수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임시저장부(34)의 일측에는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36)에 급수관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음용수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고안에 의한 여과체(4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체(40)는, 정수되는 오염된 물에 잔존하는 각종세균들을 살균하는 기능을 가진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통형의 내경은 본체의 내경보다 조금 적게 형성함으로써 쉽게 본체(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체(40)의 상단테두리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40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40a)의 하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재(p)가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40a)이 본체의 덮개결합부 걸림턱(32a)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덮개의 절곡부(24) 하단면이 상기 지지편(40a)을 가압함으로써 여과체(40)는 본체(30)에 흔들림없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체(40)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메쉬(47a)가 형성되는 하단메쉬부(47)가 여과체(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단메쉬부(49)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메쉬부(49)는, 테두리(49b)가 상술한 여과체(40)의 지지편(40a)에 걸쳐지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49b)의 상면에는 역시 고무재질의 패킹재(p)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메쉬부(49)의 테두리(49b)가 지지편(40a)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30)가 상부덮개(2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덮개(20)의 절곡부(24) 하단이 패킹재(p)를 가압하여 본체(30)에 흔들림없이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체(40)와 일체로 이루어진 하단메쉬부(47)의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내부가 빈 원통형의 배출통로(4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통로(42)의 상단부는 상기 상단메쉬부(49)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여과체(40)의 높이보다 다소 상방향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여과체(40)가 막혀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정수기본체(30) 내에 정체된 물이 상기 배출통로(42)의 상단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정수기본체(30)의 하부에 위치한 임시저장부(34)로 전달되어 여과체(40)의 막힘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로(42)의 중앙부분의 외주면에는 하향경사진 원추형의 제1가이드리브(46a)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배출통로(42)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제1가이드리브(46a)에 의해 여과필터(44)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여과체(40)의 내벽면상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향경사진 제2가이드리브(46b)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여과체(40)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배출통로(42)의 상부측 외주면상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홈(42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홈(42a)은 후술하는 캡(48)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캡(48)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로(42)의 상단부는 캡(48)이 씌워진다. 상기 캡(48)은, 상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추형의 내면 일측에서 하방향으로 배출통로(4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의 단부는 걸림편(48a)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캡(48)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8a)이 상기 배출통로(42)의 홈(42a)에 결합됨으로써 캡(48)은 흔들림없이 단단히 배출통로(42)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4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20)의 캡조절부(26)에 위치한 캡조절부재(48b)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캡조절부재(48b)는, 캡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캡(48)의 원추형 꼭지점에는 캡(48)과 연결된 가느다란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 선이 상부덮개(20)의 캡조절부(26)를 통해 캡조절부재(48b)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캡조절부재(48b)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캡(48)은 배출통로(42)로 부터 분리되어 배출통로(42)의 상단부가 개방되게 된다.
다음, 상기 하단메쉬부(47)와 상단메쉬부(49) 사이에는 여과필터(44)가 위치된다. 상기 여과필터(44)는 세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하단메쉬부(47) 상면에서 일정높이까지 하단메쉬부(47)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층(44a)을 설치한다. 상기 맥반석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여과필터 구성성분으로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며, 주요 역활은 정수되는 물이 상기 맥반석층(44a)을 통과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물속에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층(44a)위로 활성탄과 천일염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44b,44b')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층(44b,44b')은, 소정크기를 가지는 입자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이 활성탄(44b)의 사이 사이에 결정격자로 이루어지는 천일염(44b')이 소량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활성탄(44b)은 물속에 함유된 각종오염물질을 흡착하고 또한 인체에 무익한 각종 세균들을 살균하는 역활을 하며, 이러한 활성탄(44b)은 종래 일반적인 정수기의 여과필터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널리 사용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활성탄(44b) 입자의 사이에 천일염(44b')이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는 정수되는 물속에 함유된 세균의 살균작용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물이 상기 중간층(44b,44b')을 통과함에 따라 천일염(44b')에 의해 세균의 살균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또한 상기 천일염(44b')이 소량씩 물속에 녹아들어 각종 미네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층(44b,44b')위로 상부층(44c)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층(44c)은 하부층(44a)을 이루는 맥반석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는 맥반석 입자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층(44c)은 상단메쉬부(49)의 하면에 접하도록채워넣어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10)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수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덮개(20)의 상면에 위치한 유입구(22)와 연결된 급수관(a)을 통하여 외부에서 정수되지 않은 물이 공급된다.
상기 물은 수직 낙하되어 캡(48)의 원추형 외면에 떨어진다. 상기 원추형에 떨어진 물은 원추형의 외면을 따라 낙하되어 상단메쉬부(49)의 각 메쉬(49a)를 통해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된 물은 상부층(44c), 중단층(44b,44b') 및 하부층(44a)을 거쳐 점차 오염물질이 제거 및 각종 세균의 살균이 이루어지고, 또한 여과필터(44)의 맥반석 및 천일염(44b')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이 물속에 함유된 상태에서 정수기 본체(30)의 하부에 위치한 임시저장부(34)로 전달되게된다.
한편,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여과체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상대적으로 정수가 덜 이루어 졌다. 즉,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여과필터를 덜거치게 되고, 쉽게 흘러내리게 되어 정수가 덜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리브(46)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모두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골고루 정수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덮개(20)를 통해 전달된 물은 캡(48)의 원추형이 외면을 따라 흘러내려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된다. 상기상부층(44c)의 맥반석 입자들을 통과하면서 일부는 여과체(40)의 내벽면측으로 전달되어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여과체(40)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가이드리브(46b)에 의해 여과필터(44)측으로 다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42)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 역시 제1가이드리브(46a)에 의해 여과필터(44)측으로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상부에서 투입되는 물은, 여과체(40)의 내벽면 또는 배수통로(42)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못하게되고, 여과필터(44)의 각 입자들 사이로 통과하게 되므로 올바른 정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기(10)의 게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여과필터(44)의 각 부분에는 점차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더 이상 정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임시저장부(34)측으로 물전달이 이루어 질 수 없게 된다. 또한, 단수 등으로 인하여 급수관(a)으로 부터 전달되는 물공급이 중단될 때 역시 임시저장부(34)로 물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의 경우 여과필터(44)의 막힘인지 단수에 의한 것인지를 재빨리 파악하여 이에따른 조치를 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임시저장부(34)를 통해 배출되는 급수가 중단될 때, 캡조절부재(48b)를 이용하여 배수통로(42)의 상단에 위치한 캡(48)을 개방함으로써 정확한 원인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여과필터(44)의 막힘에 의한 경우, 여과필터(44)를 통과하지 못한 물은 정수기본체(30) 상부와 상부덮개(20) 내부 사이에서 고여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캡조절부재(48b)를 잡아당김에 따라 캡(48)이 배수통로(42)의 상부에서 이탈하게 되어 배수통로(42)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고여있는 물은 배수통로(42)의 상부룰 통해 유입되어 임시저장부(34)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물공급의 중단이 여과필터(44)의 막힘에 의한 것임을 인식하고 여과체(40)를 교환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단수에 의한 경우에는 전달되는 물이 없으므로 상기 캡조절부재(48b)의 작동에 따른 캡(48)의 개방시에도 배수통로(42)를 통해 전달되는 물이 없으므로 이 경우는 단수에 의한 것임을 알고 조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48)이 개방된 상태에서 여과체(40)의 교환 또는 캡(48)의 폐쇄는 정수기(10)의 분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수기(10)는 상부덮개(20)와 본체(30)가 서로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쉽게 분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덮개(20)의 분해 후, 여과체(40)를 교환하든지 또는 캡(48)을 폐쇄하고 다시 상부덮개(20)를 본체(30)와 결합함으로서 다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음용을 위한 음용수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10)의 사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10)의 구조는 보다 간단하므로 급수탱크 등에도 얼마든지 응용될 수 있다. 즉, 최근의 급수탱크는 미생물에 의한 번식으로 말미암아 내부가 쉽게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된 상태를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그대로 사용하게 되나, 이러한 정수기를 급수탱크로 전달되기 전에 설치함으로써 급수탱크를 보다 개끗하게 사용할 수도 있게 되며, 그 이외의 다양한 곳에 응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종래와 달리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없으므로 전달되는 물이 모두 여과필터를 거치게 되어 정확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가 중단된 경우 단수에 의한 것인지 여과필터의 막힘에 의한 것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여과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염물질이 함유된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덮개결합부가 하단에 구비된 상부덮개와;
    상기 덮개결합부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향돌출된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부덮개로부터 분리 결합되고, 하측에 정수된 음용수를 일시저장하는 임시저장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정수기본체와:
    상기 절곡부의 내면 걸림턱 상면에 걸쳐지는 지지편이 상단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하단부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메쉬부와, 상기 메쉬부 사이에 위치되는 여과필터와, 상기 하단메쉬의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단메쉬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통로로 이루어지는 여과체와;
    상기 여과체의 내벽면과 배수통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벽면과 배수통로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여과필터측으로 전달하는 가이드리브;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과, 상기 캡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외면에 설치되는 캡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캡조절부재의 작동으로 캡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막힘감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하단메쉬의 상면에 형성되는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면에 위치되고, 활성탄과 상기 활성탄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격자상의 천일염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상면에서 상단메쉬 저면에 까지 위치되고,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배수통로의 여과필터가 위치하는 상측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원추형으로 하향경사져 형성되는 제1가이드리브와;
    여과필터가 위치하는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상측과 하측 높이의 여과체 내벽면 둘레상의 각각에 하향경사져 형성되는 제2가이드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19990005256U 1999-03-27 1999-03-27 정수기 KR200270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56U KR200270519Y1 (ko) 1999-03-27 1999-03-27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56U KR200270519Y1 (ko) 1999-03-27 1999-03-27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65U KR19990033265U (ko) 1999-08-05
KR200270519Y1 true KR200270519Y1 (ko) 2002-04-03

Family

ID=5475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56U KR200270519Y1 (ko) 1999-03-27 1999-03-27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1152B (zh) * 2021-09-27 2023-12-2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安全壳卸压排气活度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65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223B1 (en) Self-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
US7364654B2 (en)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KR200270519Y1 (ko) 정수기
WO2016115340A1 (en) Self-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
CN105016548A (zh) 杀菌净水器
CN213739014U (zh) 一种净水器过滤排污杀菌装置
CN204138484U (zh) 一种带紫外线杀菌的多级过滤净水器
CN113754095A (zh) 一种自来水处理用净水器过滤器
CN207243641U (zh) 一种拼接式净水吸管
RU108317U1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110240347A (zh) 水龙头过滤器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0137538Y1 (ko) 정수기
CN110870994A (zh) 一种水龙头及净水机
CN202116388U (zh) 全能水净化器
KR200199539Y1 (ko) 정수장치
CN218262204U (zh) 一种直饮机的抑菌过滤器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CN207511990U (zh) 一种净水装置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JPS637354Y2 (ko)
JPH1199385A (ja) 浄水器
CN2570249Y (zh) 虹吸式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