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49Y1 -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49Y1
KR200270449Y1 KR2020010040363U KR20010040363U KR200270449Y1 KR 200270449 Y1 KR200270449 Y1 KR 200270449Y1 KR 2020010040363 U KR2020010040363 U KR 2020010040363U KR 20010040363 U KR20010040363 U KR 20010040363U KR 200270449 Y1 KR200270449 Y1 KR 200270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ain body
mobile phone
terminal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40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4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동전화의 본체 상단에서 내측으로 카메라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전화에 연결된 카메라를 그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하고, 상기 카메라와 본체의 사이에 자유로이 변형이 가능한 연결수단을 매개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렌즈 등 카메라부품 및 카메라 자체가 상기 이동전화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상기 이동전화 본체에서 토출된 카메라가 상기 연결수단의 자유로운 굴곡 등에 의해 렌즈의 촬영방향 및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한 촬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A BINDING STRUCTURE OF A CAMERA FOR A CELLULAR-PHONE}
본 고안은 이동전화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동전화의 본체와 카메라가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것들의 개발이 진행중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방법은,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내장하는 것과,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추가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 등이 보편적이다.
상기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내장하는 것은, 상기 이동전화의 본체 또는 덮개의 일측면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체결하고, 상기 카메라와 이동전화의 전원 및 스위치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이동전화에 카메라를 추가로 조립하는 것은, 상기 이동전화의 본체 또는 덮개의 일측면에 노출된 관형상의 단자에 상기 카메라에 구비된 잭(JACK)을 꽂아 상기 카메라와 이동전화를 상호 연결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가 체결되거나, 상기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구비된 단자에 잭을 매개로 카메라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주요 구성품인 카메라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전화 및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물체의 충격 등으로 상기 카메라렌즈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체결된 카메라의 경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화상을 포착하는 방향이 상기 이동전화의 일측면 전방으로 고정되어 다른 방향의 사물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이동전화 전체를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이동전화의 표시창을 통해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입사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표시창의 표시방향이 180°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게되어, 상기 카메라렌즈를 사용자에게 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노출된 관형상의 단자에 잭을 매개로 조립되는 카메라의 경우, 상기 관형상의 단자와 카메라 잭의 연결부에서 상기 잭의 단자에 대한 회동을 통해 상기 카메라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전화에 대해 상기 카메라를 회동시키면서 촬영을 이루도록 되어 상기 사용자가 이동전화의 표시창을 통해 화상을 관찰하면서 상기 카메라가 회동되는 범위, 즉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되는 범위의 전경을 촬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전화의 일측면에 수직을 이루고 상기 카메라가 잭을 매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회동 촬영은 가능하나, 상기 이동전화의 양측방향이나, 또 다른 각도에 대한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전화의 본체 내에 카메라를 수용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렌즈는 물론, 상기 카메라 자체를 이동전화에 수용하여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전화에 수용되는 카메라와 상기 이동전화의 본체가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함과 더불어 굴곡이 자유로운 자바라 등으로 형성된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에 연결된 카메라의 자유로운 촬영방향의 결정이 용이하도록 된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와 연결수단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전화 11 - 안테나
20 - 본체 21 - 덮개
22 - 배터리삽입홈 23 - 배터리
30 - 카메라 31 - 연결관삽입홈
40 - 연결수단 41 - 연결관
42 - 외부단자 43 - 내부단자
44 - 걸림턱 50 - 카메라삽입홈
60 - 연결수단삽입홈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전화의 본체 상단에 카메라가 수용될 수 있는 카메라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이동전화 본체와 카메라가 신장과 수축 및 굴곡이 가능한 자바라로 이루어진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동전화 본체와 카메라가 신장과 수축 및 굴곡이 가능한 다수개의 연결관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에 카메라가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카메라와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이동전화(10)의 본체(20) 상단에 카메라삽입홈(50)이 형성되고,이 카메라삽입홈(50)에 카메라(30)가 삽입·수용되며, 상기 카메라(30)와 상기 본체(20)의 사이에 연결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전화(10)는 보편적인 휴대용 단말기로 본체(20)와, 덮개(21)와 안테나(11) 및 배터리(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는 숫자 키 등의 조작버튼과 전원스위치 등의 스위치가 그 전면에 구비되고, 통신모듈 및 제어명령이 입력된 제어수단이 내장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21)는 상기 본체(20)의 조작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덮도록 되거나, 상기 본체(20)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대략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힌지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본체(2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1)는 그 내측면에 상기 본체(20)의 조작 및 제어에 의해 숫자와 문자 및 기호 등이 표시되는 표시창이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11)는 상기 본체(20)의 상단면에서 외측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되며,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안테나(11)도선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걸쳐 돌출 및 퇴몰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23)는 상기 이동전화(10)의 전자·전기 장비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내부에 전력을 축전한 것으로 상기 본체(20)의 이면 형상과 동일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배터리(23)는 상기 본체(20)의 이면에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함몰된 배터리삽입홈(22)에 안착되고 그 상단 혹은 그 하단에 상기 본체(20)의 전자장비와 연결되는 단자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카메라삽입홈(50)은 상기 본체(20)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카메라(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30)는 렌즈와 화상인식 장비를 포함하며, 이동전화(10)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소형화된 카메라(30)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1)과, 외부단자(42)와, 내부단자(43) 및 걸림턱(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41)은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체면이 굴곡이 자유로운 다수개의 주름관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관(41)은 그 선단 내측면이 좁혀지고, 그 끝단 내측면이 외부로 벌어져, 각기 상이한 2개의 연결관(41)의 결합은 첫 번째 연결관(41)의 선단 내부로 두 번째 연결관(41)의 끝단이 압입되어 상기 두 번째 연결관(41)이 첫 번째 연결관(41)의 내부로 삽입 또는 토출되도록 되며, 상기 두 번째 연결관(41)의 토출 끝지점에서 상기 첫 번째 연결관(41)의 선단에 의해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단자(42)는 상기 연결관(41)의 끝단 외주에 후술하는 내부단자(43)와 연결된 전도체로 이루어진 고리형상의 단자가 체결된다.
상기 내부단자(43)는 상기 연결관(41)의 내주면에 판형상 또는 관형상의 전도체가 상기 외부단자(42)와 연결되어 체결된다.
또, 상기 상측의 연결관(41)에 체결된 외부단자(42)가 하측의 또 다른 연결관(41)의 내부에 체결된 내부단자(43)에 접해 상호 전기신호를 전도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걸림턱(44)은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41)이 연결된 최상단의 연결관(41) 선단이 외측으로 고리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그 외경이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수단(40)은 단일개의 연결관(4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개의 연결관(41)에 내부단자(43)와 외부단자(42)가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41)은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연결수단(40)은 상기 이동전화(10) 본체(20)의 상단에 함몰된 카메라삽입홈(50)의 바닥 중앙부에 관통된 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20)의 이면에 형성된 배터리삽입홈(22)으로 이어져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40) 연결관(41)의 부피에 따라 상기 배터리삽입홈(22)의 일부를 반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내측방향으로 함몰시킨 연결수단삽입홈(6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끝단 또는 선단에 상기 연결관(41)의 외부단자(42)와 접해 상기 이동전화(10)의 제어부와 연결하는 본체단자(24)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단자(24)는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내주 전체에 걸쳐 체결되도록 반원통형상 또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30)와 연결수단(40)의 체결은 상기 카메라(30)의 하단 중앙부에원형으로 개구된 연결관삽입홈(31)에 상기 연결관(41)의 최상단에 형성된 걸림턱(44)이 압입되어 걸려져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연결관(41)이 하측의 연결관(41)으로 삽입되면서 수축되는 연결수단(40)을 매개로 이동전화(10)와 카메라(30)가 연결된 것을 설명하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10)의 본체(20) 상단 일측에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카메라삽입홈(50)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50)의 바닥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이 개구에서 직하방으로 상기 본체(20)의 형상을 따라 관형상으로 관통된 연결수단삽입홈(60)이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은 후술하는 연결수단(4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상부에서 본체(20)의 하부에 이르도록 더 길게 함몰 또는 관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이 본체(20)의 배터리삽입홈(22) 상부에 이르도록 관통 및 함몰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장치와 연결된 판형상의 본체단자(24)가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40)의 최상단에 형성된 걸림턱(44)을 상기 카메라(30)의 연결관삽입홈(31)에 압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41)의 내부단자(43)와 외부단자(42)에 연결된 도선 또는 상기 걸림턱(44) 부분으로 노출된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30)의 전자회로를 본체(20)와 연결한다.
상기 카메라(30)가 연결된 연결수단(40)의 하단을 상기 카메라삽입홈(50)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관통시켜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하단에 노출된 본체단자(24)와 상기 연결수단(40)의 하단 외부단자(42)가 접하도록 체결한다.
상기 연결수단(40)의 하단 외부단자(42)가 상기 본체단자(24)와 접하도록 상기 연결수단(4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41)의 상부 또는 상기 카메라(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상부의 연결관(41)들이 하부의 연결관(4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최종 최하부의 연결관(41)으로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41) 모두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상기 연결수단(40)의 전체 길이가 수축된다.
상기 연결수단(40)의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체결된 카메라(30)가 상기 연결수단(40)의 길이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함몰된 카메라삽입홈(50)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 상기 카메라(30)가 카메라삽입홈(5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30)의 상단 일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20)의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카메라(30)가 상기 카메라삽입홈(50)의 외부로 토출됨은 물론, 상기 카메라(30)의 하단에 체결된 상기 연결수단(40)이 상부로 신장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0)의 신장은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체결된 카메라(30)의 상방향 가압에 따라 상기 카메라(30)의 하단에 체결된 최상부 연결관(41)이 바로 하부의 연결관(41)의 선단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또 그 하부의 연결관(41)은 바로 하부의 연결관(41)에서 토출되면서 상기 연결수단(40)의 전체 길이가 증가되어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신장된다.
상기 상측의 연결관(41) 하단 직경이 상기 하측의 연결관(41) 상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측의 연결관(41)은 상기 하측의 연결관(41) 상단부에 결속되어 상기 각 연결관(41)들이 상호 결속된 상태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된다.
또,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신장된 연결수단(40) 및 카메라(30)는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카메라(30) 및 연결수단(40)에 대한 외부 가압에 따라 상기 연결관(41)을 이루는 다수개의 주름관이 상호 상이한 각도로 배열되면서 상기 연결관(41)이 굴곡되고, 상기 사용자의 지속적인 가압에 따라 상기 연결관(41)에 연결된 다른 연결관(41)들이 굴곡되면서 상기 연결관(41)에 의해 지지되는 카메라(30)가 최초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된 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와 카메라(30)간의 전기통신은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제어장비 및 배터리(23)의 전원 및 전기신호가 상기 제어장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단자(24)로 인가되고, 상기 본체단자(24)로 인가된 전기신호가 상기 연결관(41)의 외부단자(42)로 인가되며, 상기 외부단자(42)로 인가된 전기신호가 상기 외부단자(42)와 연결된 내부단자(43)로 인가되고, 상기 내부단자(43)로 인가된 전기신호가 상기 카메라(30)의 도선 및 단자에 접해 상기 카메라(30)의 제어 및 전원의 인가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수단(40)이 단일개의 연결관(41)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관(41)으로 연결된 카메라(3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연결수단(40)은 단일개의 연결관(41)과, 내부단자(43) 및 외부단자(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41)은 상기 이동전화(10)의 본체(20)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의 외주면에 전도체로 이루어진 외부단자(42)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41)의 내주면에 상기 외부단자(42)와 연결된 내부단자(43)가 체결된다.
또,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은 상기 카메라삽입홈(5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의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0)의 배터리(23)홈의 일부가 내측으로 반원통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장비와 연결된 본체단자(24)가 체결되며, 이때 상기 본체단자(24)는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형상을 따라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반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상기 카메라(30)를 체결하고, 상기 카메라(30)가 체결된 연결수단(40)의 연결관(41) 하부를 상기 본체(20)의 카메라삽입홈(50) 중앙부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하단에 이르러 지지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40)의 연결관(41) 길이가 상기 본체(20)의 길이와 유사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관(41)이 연결수단삽입홈(60)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체결된 카메라(30)가 상기 연결수단삽입홈(60)의 상부에 형성된 카메라삽입홈(50)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또, 상기 카메라(30)의 사용시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방향으로 상기 카메라(30)의 상부를 가압하고, 상기 카메라(30)의 상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카메라(30) 및 카메라(30)의 하단에 체결된 연결수단(40)이 상기 본체(20)의 상부로 토출된다.
상기 카메라(30)가 토출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30)의 렌즈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면 상기 카메라(30)의 일부에 가압하여 상기 카메라(30)가 연결관(41)의 걸림턱(44)에 걸려진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30)의 렌즈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제어장치에서 전송하는 전기신호와 전원의 인가는 상기 제어장비와 전원에 연결된 본체단자(24)를 통해 인가되고, 상기 본체단자(24)에 접한 상기 연결관(41)의 외부단자(42)를 통해 내부단자(43)와 카메라(30)로 인가된다.
또, 상기 본체단자(24)가 상기 연결관(41)이 본체(20)에 대해 이동되는 위치 전체에 걸쳐 설비되어 상기 연결관(41)의 본체(20)에 대한 돌출 또는 퇴몰에 관계없이 상기 전기신호 및 전원의 인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일개로 이루어진 연결관(41)이 다수개의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자유로이 굴곡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를 본체(20)의 카메라삽입홈(50)에서 도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카메라(30)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30)에 대한 회동 가압에 따라 상기 카메라(30)가 연결관(41)의 끝단 걸림턱(44)에 걸쳐진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30)의 렌즈방향이 변경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를 이동전화의 본체 내부에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의 렌즈와 카메라 자체에 대한 외부충격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카메라와 본체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상기 카메라를 위치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카메라의 렌즈방향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를 매개로 체결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이면에 함몰된 배터리홈이 구비된 이동전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카메라수용홈에 카메라가 삽입되고, 상기 카메라와 본체 사이에 상기 카메라의 하단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수용홈에서 배터리홈에 이르도록 형성된 연결수단삽입홈에 삽입/돌출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연결수단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개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외부에 체결된 고리형상의 외부단자와, 상기 외부단자와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 체결된 내부단자와, 상기 카메라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삽입홈에 압입되도록 상기 연결관 중의 최상단 연결관의 상단에서 외부로 고리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걸림턱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측의 연결관 하단 직경이 하측의 연결관 상단 직경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상측의 연결관 하단이 하측의 연결관 상단을 통해 내부로 순차적으로 압입된 다수개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외부에 체결된 고리형상의 외부단자와, 상기 외부단자와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 체결된 내부단자와, 상기 카메라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삽입홈에 압입되도록 상기 연결관 중의 최상단 연결관의 상단에서 외부로 고리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삽입홈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체결된 외부단자와 접하여 상기 본체의 전기신호를 통전하도록 상기 연결관삽입홈의 내주에 체결되는 본체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KR2020010040363U 2001-12-27 2001-12-27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KR200270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63U KR200270449Y1 (ko) 2001-12-27 2001-12-27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63U KR200270449Y1 (ko) 2001-12-27 2001-12-27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49Y1 true KR200270449Y1 (ko) 2002-04-03

Family

ID=7311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363U KR200270449Y1 (ko) 2001-12-27 2001-12-27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101013702B1 (ko) 2003-09-2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KR101621922B1 (ko) 2015-01-06 2016-05-17 임동훈 인출식 카메라 모듈 내장형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101013702B1 (ko) 2003-09-2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KR101621922B1 (ko) 2015-01-06 2016-05-17 임동훈 인출식 카메라 모듈 내장형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9658C (zh) 嵌入式照相机及包括这种照相机的移动电话
US7392071B2 (en) Rotary module with digital camera module
JP4648974B2 (ja) アンテナ付きハンドマイクのケーブルを携帯無線機本体へ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US20070119023A1 (en) Multi-section hinge mechanism
JP2015148720A (ja)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20050049232A (ko) 휴대용 단말기
CN208779087U (zh) 手持装置及拍摄设备
KR200270449Y1 (ko) 이동전화용 카메라의 조립구조
KR2004009813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US9525231B2 (en) Flash drive with eccentrically rotatable cover
US20060116157A1 (en)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JP2002295445A (ja) 携帯電話機
US20070097611A1 (en)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US2009009719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with data cable
KR101085521B1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장치
KR100472898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JP2018025815A (ja) 支持装置
JP3227807U (ja) 電子機器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606709B1 (ko) 인출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CN210662228U (zh) 手柄组件、手持装置及拍摄设备
KR1006105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KR1005232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안테나 장치
KR200317847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