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87Y1 -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87Y1
KR200270387Y1 KR2020010033737U KR20010033737U KR200270387Y1 KR 200270387 Y1 KR200270387 Y1 KR 200270387Y1 KR 2020010033737 U KR2020010033737 U KR 2020010033737U KR 20010033737 U KR20010033737 U KR 20010033737U KR 200270387 Y1 KR200270387 Y1 KR 200270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instrument body
writing
user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순
Original Assignee
신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순 filed Critical 신경순
Priority to KR202001003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87Y1/ko

Link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내부에 심지(20)가 구비되어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몸체(10)와;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파지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재(40)가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파지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재(40)를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하므로써, 컴퓨터용 자판이나 타자기 등과 같이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업무수행이 불가능한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파지구멍(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업무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 및 분실의 위험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에 받침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병따개를 형성하므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병마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한 타 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writing tool with bottle opener}
본 고안은 사용상의 편의성 및 휴대성이 향상되고, 사용 중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파지구멍이 형성된 걸이부재를 연장되게 형성하여 업무중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필기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병따개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볼펜 또는 연필과 같이, 필기를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목적에 따른 다양한 제품군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종류별로 크게 분류하게 되면, 흑심과 같은 천연광물 또는 목탄재로 심지를 이루는 연필방식과, 내측에 잉크를 수납한 후 심지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볼의 회전에 의해 잉크를 배출하는 볼펜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끝단에 회전 가능한 볼이 부착된 심지와,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심지의 선단이 인입출되는 관통구멍이 단부에 형성된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으로는 필기구몸체가 하부로 절곡 형성된 클립이 구비되기도 하여 휴대할 경우 주머니 등에 꽂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가압부재의 누름반복에 의해 심지의 인입출을 제어하는 로크부를 설치하고, 심지의 하부에는 리턴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로크부와 리턴부재를 통해 심지의 인입출을 제어하기도 한다.
즉,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가압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로크부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심지가 외부로 돌출되어 필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필기구는 외출 등의 목적으로 필기구를 주머니에 꽂아서 휴대할 경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을 주머니의 주연부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주머니 등이 형성되지 않은 상의를 입고 외출할 경우에는 필기구의 보관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를 수행할 경우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컴퓨터용 자판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주변에 필기구를 놓아둔 체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필기구의 분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필기구의 분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도록 파지구멍이 형성된 걸이부재를 필기구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하여 컴퓨터용 자판을 이용한 업무 등과 같이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업무수행을 행하지 못하는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필기구의 분실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몸체의 일측 단부에 휴대용 목걸이를 설치하여 외출시 휴대가 간편하고, 장신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에 받침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병따개를 형성하여 별도의 병따개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용이하게 병마개를 오픈시킬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기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필기구를 통한 필기수행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필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재를 이용한 병마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기구몸체 20 - 심지
30 - 마감부재 40 - 걸이부재
41 - 파지구멍 50 - 병따개
51 - 받침부 52 - 후크부
60 - 휴대용 목걸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된 필기구몸체의 내측에는 일측 단부에 잉크배출구가 구비된 심지가 위치되고, 그 선단에는 상기 심지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구멍이 형성된 마감부재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파지구멍이 형성된 걸이부재가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컴퓨터 자판을 이용한 업무수행과 같이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업무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걸이부재에 형성된 파지구멍에 엄지손가락을 삽입하여 필기구를 구비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에 받침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병따개를 형성하므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병마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으므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 및 필기구의 분실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기구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전체적인 형상 및 필기구몸체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재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필기구를 통한 필기수행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걸이부재에 형성된 파지구멍에 엄지손가락을 관통시킨 후 필기구의 필기구몸체 선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필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재를 이용한 병마개의 개방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도시한 것으로, 걸이부재에 형성된 병따개의 형상 및 상기 병따개를 이용한 병마개의 개방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필기구몸체(10)의 내측에는 일측 단부에 잉크배출구가 구비된 심지(20)가 위치된다.
그리고, 그 선단에는 상기 심지(20)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감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파지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재(40)가 필기구몸체(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기구몸체(10)는 휴대시 장신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구멍(41) 및 걸이부재(40)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통과한 후 자유로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타 여러종류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음을 사전에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를 수행할 경우 종래의 필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업무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고안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파지구멍(41)에 삽입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자유로이 컴퓨터용 자판을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및 분실의 위험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통하여 필기를 수행할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필기구몸체(10)의 선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기를 수행하거나,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엄지손가락을 파지구멍(41)에 삽입한 후 필기구몸체(10)의 선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등 그 선택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40)에는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별도의 병따개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병마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도록 받침부(51)와 후크부(52)로 이루어진 병따개(50)가 형성된다.
즉, 걸이부재(40)의 일측을 개구한 후 필기구몸체(10)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40)에는 병마개의 상면에 상기 걸이부재(40)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평편한 받침부(51)를 형성하고, 필기구몸체(10) 하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40)에는 단부가 병마개의 하단 주연부에 걸릴 수 있는 후크부(52)를 형성한다.
결국, 걸이부재(40)의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51)를 병마개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타측에 형성된 후크부(52)는 병마개의 하단 주연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한손으로 병을 파지하여 고정시킨 후 다른 한손으로는 필기구몸체(10)의 선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구몸체(10)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업무수행 중이나 기타 장소에서 별도의 병따개(5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걸이부재(40)에 형성된 병따개(50)를 이용하여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음용수를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외출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휴대용 목걸이(60)를 설치하여 휴대성의 향상 및 필기구의 분실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곡선을 갖는 본 고안을 통하여 장신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기능을 통한 타 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필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파지구멍이 형성된 걸이부재를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하므로써, 컴퓨터 자판을 이용한 업무수행과 같이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업무수행이 불가능 할 경우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업무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분실의 위험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둘째, 필기구몸체의 일측 단부에 휴대용 목걸이를 설치하므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외출시 장신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실의 위험 역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걸이부재에 받침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병따개를 형성하므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병마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그 내부에 심지(20)가 구비되어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몸체(10)와;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파지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재(40)가 필기구몸체에서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40)에는 받침부(51)와 후크부(52)로 이루어진 병따개(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3.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휴대용 목걸이(6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KR2020010033737U 2001-11-03 2001-11-03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KR200270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37U KR200270387Y1 (ko) 2001-11-03 2001-11-03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37U KR200270387Y1 (ko) 2001-11-03 2001-11-03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87Y1 true KR200270387Y1 (ko) 2002-04-03

Family

ID=7311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737U KR200270387Y1 (ko) 2001-11-03 2001-11-03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5314260A (en) Finger pen
KR200270387Y1 (ko)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200348264Y1 (ko) 삽지식 필기구
EP0464125B1 (en) Writing and drawing arrangement
JP4218497B2 (ja) 筆記具
KR200339665Y1 (ko) 선 굵기 조절이 가능한 볼펜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KR200240349Y1 (ko) 핑거 펜
KR200209550Y1 (ko) 리필의 교체가 용이한 콤팩트구조
KR200182792Y1 (ko) 반지형식볼펜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KR20050076568A (ko) 삽지식 필기구
KR100773052B1 (ko) 필기구용 홀더 및 그를 이용한 필기장치
JP3000683U (ja) 入力ペン
KR100444652B1 (ko) 필기구
KR200356693Y1 (ko) 반지형 필기구
JPH11188991A (ja) クリップ付きペンホルダ
JP4164839B1 (ja) 掌握式ノック芯出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