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15Y1 -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15Y1
KR200270115Y1 KR2020010039089U KR20010039089U KR200270115Y1 KR 200270115 Y1 KR200270115 Y1 KR 200270115Y1 KR 2020010039089 U KR2020010039089 U KR 2020010039089U KR 20010039089 U KR20010039089 U KR 20010039089U KR 200270115 Y1 KR200270115 Y1 KR 200270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nipple
fastening member
ceil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2020010039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15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조인트와 텍스(Tex)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사이를 연결하는 니플(nipple)에 관한 것으로, 천장과 텍스사이의 높이에 따라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니플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향 경사진 가이드면(11b)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장공(11c)이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1 브라켓(11a)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면(12b)이 구비되고 니플(6)이 안치되는 안착면(12c)이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2 브라켓(12a)과, 상기 제 1 브라켓(11a)에 형성된 장공(11c)을 통해 제 2 브라켓(12a)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2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면(11b)(12b)에 의해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부재(8)와, 상기 제 2 브라켓(12a)의 안착면(12c)에 또 다른 체결부재(10)로 체결되어 니플(6)을 고정하는 클램프판(9)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Nipple Hight Control Device For Fire Piping}
본 고안은 천장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조인트와 텍스(Tex)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사이를 연결하는 니플(nipple)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천장과 텍스사이의 높이에 따라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니플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관로에 일정한 압력으로 충수되어 있던 물을 발화 지점에 고르게 방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경보를 울려 화재통보와 소화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목재나 종이 또는 직물 등의 일반적인 화재의 조기진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화재에도 효과가 크고,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성물질이 많고 보행인의 왕래가 잦은 곳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보통 67∼180℃에서 작동하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부착 위치라든지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의 정도에 따라서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천장부근의 온도가 67∼180℃로 상승하면 헤드의 파열마개에 설치된 온도 감열부재가 이를 감지하게 되므로 파열마개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된다.
이와 같이 파열마개가 산산 조각나면 슬라이딩 디플렉터가 슬라이더봉을 따라 헤드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낙하되므로 소화수가 헤드에 형성된 출수구를 통해 분출되어 슬라이딩 디플렉터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소방수가 사방으로 골고루 분사되므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방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로서, 건물의 천장(1)과 마감재인 텍스(2)사이에 플렉시블 조인트(3)가 지지물(4)에 의해 매달려 있고 상기 플렉시블 조인트의 끝부분에는 브라켓(5)에 의해 천장(1)에 고정된 엘보우형태의 니플(6)이 연결되어 있으며 니플의 끝단에는 텍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헤드(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7)가 텍스(2)의 외부로 노출되게 시공되는 소방배관은 건물의 구조 및 용도에 따라 천장(1)과 텍스(2)사이의 거리가 각각 다르므로 니플(6)을 천장(1)에 매달기 위해서는 높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브라켓(5)을 구비하여야만 되므로 플렉시블 조인트(3)와 헤드(7)사이의 간격에 따라 니플(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된다.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로서, 천장(1)에 매달리게 고정 설치되는 "??"형상의 제 1 브라켓(5a)에 장공(5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브라켓에는 장공(5b)을 통해 절곡부(5d)가 형성된 "??"형상의 제 2 브라켓(5c)을 체결부재(8)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브라켓(5c)의 절곡부(5d)에는 니플(6)을 고정하는 클램프판(9)이 또 다른 체결부재(10)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브라켓(5a)이 천장(1)에 매달려 설치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는 제 2 브라켓(5c)이 체결부재(8)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브라켓의 절곡부(5d)로부터 클램프판(9)을 분리한 다음 상기 절곡부(5d)와 클램프판(9)사이에 니플(6)을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10)로 니플(6)을 고정시킨다.
그 후, 니플(6) 및 상기 니플이 나사 결합되는 플렉시블 조인트(3) 및 텍스(2)의 위치에 따라 제 1, 2 브라켓(5a)(5c)을 고정시키고 있던 체결부재(8)를 느슨하게 푼 다음 제 1 브라켓(5a)으로부터 제 2 브라켓(5c)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느슨하게 풀었던 체결부재(8)를 조여주므로써, 텍스(2)의 시공작업 완료 후 텍스에 형성된 통공(2a)을 통해 헤드(7)를 니플(6)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장치는 클램프판(9)이 외팔보형태를 갖는 제 2 브라켓(5c)의 절곡부(5d)에 체결부재(10)로 체결되어 니플(6)을 고정하므로 인해 니플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었음은 물론 니플(6)의 높이 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체결부재(8)로 제 1, 2 브라켓(5a)(5c)을 상호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 1, 2 브라켓의 접속면에 의해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체결부재(8)가 풀어질 경우 제 1 브라켓(5a)으로부터 제 2 브라켓(5c)의 위치가 가변되어 니플(6) 및 헤드(7)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니플의 고정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 1, 2 브라켓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외향 경사진 가이드면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면이 구비되고 니플이 안치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제 2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2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면에 의해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브라켓의 안착면에 또 다른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니플을 고정하는 클램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방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니플 7 : 헤드
8, 10 : 체결부재 9 : 클램프판
11a : 제 1 브라켓 11b, 12b : 가이드면
11c : 장공 12a : 제 2 브라켓
12c : 안착면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천장(1)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11a)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수직면에는외향 경사진 가이드면(11b)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기다란 장공(1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11a)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브라켓(12a) 또한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라켓의 수직면에는 제 1 브라켓과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면(12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니플(6)이 안치되는 안착면(1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11a)에 형성된 장공(11c)을 통해 체결부재(8)로 제 2 브라켓(12a)을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라켓(12a)에 형성된 안착면(12c)에는 니플(6)을 고정하는 클램프판(9)이 또 다른 체결부재(10)로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브라켓(12a)이 체결부재(8)로 체결된 제 1 브라켓(11a)을 천장(1)에 고정한 상태에서 또 다른 체결부재(10)를 풀어 제 2 브라켓(12a)의 안착면(12c)에 체결되어 있던 클램프판(9)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안착면에 니플(6)을 안착한 후 니플(6)의 상면에 분리시켰던 클램프판(9)을 위치시키고 풀었던 체결부재(10)를 체결하여 니플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장(1)에 제 1 브라켓(11a)을 고정하고 안착면(12c)에는 니플(6)을 고정하고 나면 텍스의 설치위치에 따라 니플(6)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니플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2 브라켓(11a)(12a)을 고정시키고 있던 체결부재(8)를 느슨하게 푼 다음 제 1 브라켓(11a)에 형성된 장공(11c)을 따라 제 2 브라켓(12a)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느슨하게 풀었던 체결부재(8)를 견고히 체결하여 주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브라켓(12a)이 제 1 브라켓(11a)측으로 당겨지면서 제 1 브라켓(11a)에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11b)에 제 2 브라켓(12a)의 가이드면(12b)이 맞닿게 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제 1, 2 브라켓(11a)(12a)의 가이드면(11b)(12b)이 맞닿은 상태로 체결력이 작용하면 쐐기형상의 가이드면(11b)(12b)에 의해 제 2 브라켓(12a)이 제 1 브라켓(11a)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동 등이 발생되더라도 제 1, 2 브라켓(11a)(12a)을 체결하고 있던 체결부재(8)가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할 형성된 제 1, 2 브라켓(11a)(12a)에 외향 경사진 가이드면(11b)(12b)이 형성되어 있어 니플(6)의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8)로 제 1, 2 브라켓(11a)(12a)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향 경사진 가이드면(11b)(12b)에 의해 제 2 브라켓(12a)이 제 1 브라켓(11a)에 조여들게 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체결부재(8)가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 1, 2 브라켓(11a)(12a)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클램프판(9)에 의해 안착면(12c)에 고정된 니플(6)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1)

  1. 외향 경사진 가이드면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면이 구비되고 니플이 안치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U"자 형상의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제 2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2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면에 의해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브라켓의 안착면에 또 다른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니플을 고정하는 클램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20010039089U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0270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89U KR200270115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89U KR200270115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15Y1 true KR200270115Y1 (ko) 2002-03-29

Family

ID=7311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089U KR200270115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58B1 (ko) 2014-06-20 2016-02-02 주식회사 청완 층상배관용 양변기 전용 엘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58B1 (ko) 2014-06-20 2016-02-02 주식회사 청완 층상배관용 양변기 전용 엘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154A (en) Support system attachment mechanis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US6488097B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head support
US6119784A (en) Support syste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US4834186A (en) Sprinkler head mounting system
US7296634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US5415239A (en) Sprinkler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lant
US6129153A (en) Water spraying control unit for a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head
US7096964B2 (en) Sprinklers
EP2012881A2 (en) Extended covera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US4341267A (en) Chimney fire extinguisher
US5458201A (en) Adapter for a fire extinguisher
RU2257929C2 (ru) Расширяющийся сборочный узел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головки в стену
KR200270115Y1 (ko)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100441679B1 (ko)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0270116Y1 (ko)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JP3852056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巻出し配管支持構造
US20020185282A1 (en) Fire sup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274207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102624402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3001930U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用分岐継手
AU2495800A (en) Support syste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JP2008011869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継手の構造
CA2436660C (en) Decorative support panel
KR101851848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