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037Y1 -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037Y1
KR200270037Y1 KR2020020001101U KR20020001101U KR200270037Y1 KR 200270037 Y1 KR200270037 Y1 KR 200270037Y1 KR 2020020001101 U KR2020020001101 U KR 2020020001101U KR 20020001101 U KR20020001101 U KR 20020001101U KR 200270037 Y1 KR200270037 Y1 KR 200270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connector
synthetic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언
Original Assignee
김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언 filed Critical 김영언
Priority to KR2020020001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37Y1/ko

Links

Landscapes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23)의 연결부(25)에 합성파이프(31)가 끼워진 후 조임너트 (35)가 본체(23)의 연결부(25)에 형성된 나선부(27)에 체결될 때 조임너트(35)와 합성파이프(31)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조임쇠(37)가 수축되면서 합성파이프(31) 단부의 둘레를 조이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본체(23)의 연결구(25)의 단부에 요철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5)에 배치되는 오링(41)의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원판(47)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연결구{Tool for connecting for compositepipe}
본 고안은 합성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링의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조임너트로 조일 때 상기 조임링이수축되어 호스가 본체의 장착부에 형성된 요철부와 밀착되어 유체의 누설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O-링의 단면이 타원형이고, 합성파이프와 본체 사이에 절연원판이 배치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1-24740호(1991. 12. 27 출원)에 "합성파이프의 이음쇠"가 소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합성파이프의 이음쇠는 금속제로된 이음쇠 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3)에 합성파이프(8)가 끼움 걸림되는 걸림부(5)의 주면에 다수의 링홈이 형성되고, 이 링홈에 내열성수지로된 오링(7)이 끼워진다.
그러나, 상기 합성파이프의 이음쇠는 오링(7)의 단면이 원형으로 조임너트 (4)를 이음쇠몸체(1)에 체결할 때 조임너트(4)가 오링(7)에 걸려 조임너트(4)를 이음쇠몸체(1)에 체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조임너트(4)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오링(7)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5-5625호(1995. 3. 27 출원)에 "합성파이프의 이음쇠"가 소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합성파이프의 이음쇠는 금속제로된 이음쇠몸체(12)에 형성된 결합부(13) 및 끼움홈(14)의 선단에 조임링(15)이 끼움되고 조임너트(16)를 통해 결합되며, 몸체(12)의 결합부(13) 및 끼움홈(14)과 끼움 결합되는 합성파이프(21) 사이에 원통형의 밀폐부재(23)가 개재된다.
그러나, 상기 합성파이프의 이음쇠는 위와 마찬가지로 오링의 단면형상이 원형이고, 원통형의 밀폐부재(23) 위에 합성파이프(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조임링(15)에 의해 합성파이프(21)가 조여지기 때문에 합성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고압일 때 밀폐부재(23)와 합성파이프(21)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합성파이프가 빠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링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만들어 조임너트의 체결이 용이하고, 본체의 연결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합성파이프의 체결을 보강하며, 환형상의 절연원판을 배치하여 본체와 합성파이프의 알루미늄의 전식을 방지할 수 있는 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연결부에 합성파이프가 끼워진 후 조임너트가 본체의 연결부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될 때 조임너트와 합성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조임쇠가 수축되면서 합성파이프 단부의 둘레를 조이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본체의 연결구의 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배치되는 오링의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원판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합성파이프 이음쇠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합성파이프 이음쇠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합성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의 관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3 : 본체 25 : 연결부
31 : 합성파이프 35 : 조임너트
41 : 오링 45 : 요철부
47 : 절연원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는 본체(23)의 연결부(25)에 합성파이프(31)가 끼워진 후 조임너트(35)가 본체(23)의 연결부(25)에 형성된 나선부(27)에 체결될 때 조임너트(35)와 합성파이프(31)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조임쇠(37)가 수축되면서 합성파이프(31) 단부의 둘레를 조이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의 관연결구(21)는 본체(23)의 연결구(25)의 단부에 요철부 (45)가 형성되어 죄임쇠(37)에 의해 합성파이프(31)가 가압될 때 합성파이프(31)의 내부합성수지(32)가 상기 요철부(45)에 압착되므로서 합성파이프의 연결강도가 보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5)에 배치되는 오링(41)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임너트(35)가 본체(23)에 체결될 때 조임너트(35)가 상기 오링(41)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어 오링(4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시 작업자가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임너트(35)의 체결작업을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전식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23)의 연결부(25)와 합성파이프 (31)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원판(47)이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지 본체(23)와 합성파이프(31)의 알루미늄(33)이 서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합성파이프(31)의 내부합성수지(32)가 본체(23)에 직접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합성파이프(31)는 잘 알려진 바와같이 내부합성수지(32)와 외부합성수 (34)지 사이에 알루미늄(33)이 삽입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는 본체의 연결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합성파이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며, 오링의 단면이 타원으로 형성되어 조임너트의 체결이 용이하고, 환형상의 절연원판이 본체와 합성파이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식을 방지하면서 합성파이프가 본체에 직접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23)의 연결부(25)에 합성파이프(31)가 끼워진 후 조임너트(35)가 본체 (23)의 연결부(25)에 형성된 나선부(27)에 체결될 때 조임너트(35)와 합성파이프 (31)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조임쇠(37)가 수축되면서 합성파이프(31) 단부의 둘레를 조이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본체(23)의 연결구(25)의 단부에 요철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5)에 배치되는 오링(41)의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원판(47)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KR2020020001101U 2002-01-14 2002-01-14 관연결구 KR200270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01U KR200270037Y1 (ko) 2002-01-14 2002-01-14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01U KR200270037Y1 (ko) 2002-01-14 2002-01-14 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37Y1 true KR200270037Y1 (ko) 2002-03-27

Family

ID=7307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01U KR200270037Y1 (ko) 2002-01-14 2002-01-14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9058C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US8651530B2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US7726700B2 (en) Pipe coupling
JP4094609B2 (ja) 管継手
CA2600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removable fluid conduit to an existing fluid conduit
KR200270037Y1 (ko) 관연결구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10025802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GB2305481A (en) Pipe coupling with gasket and housing
JPH0426775Y2 (ko)
KR100526893B1 (ko) 밀폐가 확실하고 연결이 간편한 지관이음용 커플링
KR200187818Y1 (ko) 배관연결장치
CN214171621U (zh) 一种可快速拆装的软管连接结构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KR200280038Y1 (ko) 편수관의 관이음구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JP4394034B2 (ja) 合成樹脂管の接続方法
KR200325929Y1 (ko) 관연결구
JPH11230439A (ja) パイプ連結装置
KR200362324Y1 (ko)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JP2000161553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