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899Y1 -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99Y1
KR200269899Y1 KR2020010030061U KR20010030061U KR200269899Y1 KR 200269899 Y1 KR200269899 Y1 KR 200269899Y1 KR 2020010030061 U KR2020010030061 U KR 2020010030061U KR 20010030061 U KR20010030061 U KR 20010030061U KR 200269899 Y1 KR200269899 Y1 KR 200269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wind tunnel
air
calibr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 원 장
이재우
변영환
박중수
Original Assignee
조 원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 원 장 filed Critical 조 원 장
Priority to KR2020010030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99Y1/ko

Links

Landscapes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동센서를 보정(calibration)하기 위하여 제트류를 발생시키는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제반 유체관련 실험을 수행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센서(열선풍속계, 5공 및 7공 튜브 등)를 보정하기 위한 저난류도 및 균질성의 흐름특성을 갖는 제트류를 발생시키는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calibration wind tunnel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방회로형(Open circuit type)의 풍동의 일종으로 고압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동력부(1),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분(2), 상기의 입구부분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꺾어주는 곡관부분(4), 공기흐름의 속도를 줄여주는 확산부(Diffuser) 부분(6), 공기흐름의 속도가 최소이며 난류도를 줄이기 위한 하니컴과 스크린이 배설된 정체실 부분(8), 공기흐름의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수축부 부분(12), 그리고 최대 속도의 제트류가 발생되는 노즐 출구부분(13), 속도조절용 스위치(14), 센서를 캘리브레이션 할 때 피치각(pitch angle)과 요우각(yaw angle)을 변경시킬 수 있는 피치/요우 조종기(pitch/yaw manipulator)부분(15)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소형이므로 이동하거나 설치하는 등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험실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유속범위를 갖고 동력부의 진동이 본체에 전달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Wind Tunnel apparatus for Calibrating a flow sensor}
본 고안은 유동관련 센서를 보정(calibration)하기 위한 제트류(jet flow)를 발생시키는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calibration wind tunnel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대학이나 연구소의 유체관련 실험실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유동센서(열선풍속계, 5공 및 7공 압력프로브 등)를 보정(또는 교정)하기 위하여 저난류도 및 균질한 흐름 특성을 갖는 제트류를 발생시키는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자체 설계하고 제작하여 사용해 오던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를 유질(flow quality) 성능이 우수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며, 송풍기 또는 압축기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로 개발하는 것이다.
유체관련 실험실에서는 유동센서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유질(flow quality)이 우수한 제트류가 필요하므로 자체 설계하여 주문하거나 이미 제작된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를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대형으로 제작되어 장비 자체가 크고, 실험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수요자가 원하는 요구사양(유속범위 및 노즐크기 등)에 맞지 않으며, 개방회로(open circuit)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해 실험환경 여건이 나빠지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송풍기와 회로부분이 일체형이므로 송풍기의 진동이 전달되어 유질(flow quality)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최근 덴마크 단텍(Dantec)社에서 열선풍속계(hot-wire anemometer)의 부속장치로 초소형 캘리브레이션 제트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제트 장치는 가격이 아주 비싸고, 제트가 발생하는 출구부분의 단면적이 작아 센서의 피치각을 크게 높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개방회로형(open circuit type)으로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동력부(1), 상기 고압공기가 유입되고 장ㆍ탈착식 수단이 도입된 입구부분(2), 상기 입구과 연결된 관 내부에 흡음재가 장착된 부분(3), 상기의 곡관 입구부에서 유입되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꺾어주는 곡관부분(4), 유속을 줄여주는 확산부(diffuser)부분(6), 공기흐름의 속도가 최소인 정체실(stagnation chamber) 부분(8), 상기 내부에 배설되어 공기흐름의 난류도를 줄여주는 하니컴(honeycomb)(10) 및 스크린(screen)부분(11A, 11B, 11C, 11D), 속도를 증가시켜주는 수축부(contraction) 부분(12), 최대풍속의 제트류가 발생하는 노즐 출구부분(13), 그리고 제트류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14), 유동센서의 피치각과 요우각을 변경할 수 있는 피치/요우 조종기(pitch/yaw manipulator)(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으로 풍동장치 규모의 소형화, 제트류 속도범위의 다양화, 저난류도와 균질한 흐름분포, 그리고 유속분포의 편평함(flatness) 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소형 풍동(wind tunnel)을 제작하는 기술, 수축부 설계기술,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회로설계기술, 유속 제어기술 등 여러 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우선 노즐 출구에서의 단면적과 유속을 결정하여야 한다. 제트류가 분출되는 노즐 출구의 모양은 원형으로 제작하고, 유속의 범위가 광범위한 장치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공기흐름 뿐만 아니라 노즐 출구의 직경을 변경하여야 한다. 그러나 노즐 출구의 직경이 변경됨에 따라 수축부의 형상을 변경하기 곤란하므로 노즐 출구에서의 단면적과 함께 수축부 부분의 형상이 변경된 노즐을 교체식(exchangeable type)으로 개발하여야 제트류의 유질(flow quality)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제트흐름(jet flow)은 센서를 보정(calibration)하기 위하여 제트흐름이 토출되는 노즐 출구부분에서의 경계층 두께(boundary layer thickness)가 얇아야 한다. 이러한 출구부분의 흐름은 분리(separation)가 발생하지 않고 균질류(uniform flow)이어야 하며, 정체실 부분에 하니컴(honeycomb)을 비롯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저난류도의 층류(laminar flow)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공기흐름의 속도를 줄여주기 위한 확산부(diffuser)에서는 흐름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산각을 작게 하여야 하지만, 확산각을 너무 작게 하면 장치의 길이가 길어져 장치가 크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확산각과 확산길이를 고려하는 최적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개방회로이기 때문에 소음(noise)이 심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회로 상에 소음기(消音器) 또는 흡음재를 부착하거나 소음발생 원인인 송풍기나 압축기를 실험실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는 저소음형 장치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본 장치의 노즐 출구에서의 유속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유속을 사용자가 모니터할 수 있어야 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부호 설명
1 : 동력부(송풍기)1A : 본체
2 : 고압공기 입구부(연결부)
3 : 흡음재
4 : 곡관부
5 : 흐름 안내깃
6 : 광각 확산부
7 : 분산 깃
8 : 정체부
9 : 압력구멍
10 : 하니컴
11A : 스크린11B : 스크린11C : 스크린11D : 스크린
12 : 수축부
13 : 제트류 출구
14 : 속도 제어기
15 : 피치/요우 조종기
16 : 인버터
17 : 높이조절용 받침대
본 고안은 유동관련 센서들을 보정(calibration)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체속도, 또는 유체 흐름방향의 기준을 만들어 열선풍속계나 3공 압력프로브, 5공 압력프로브 등의 유동센서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개방회로(open circuit) 형태의 풍동으로 제작되며, 이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송풍기, 또는 압축기로 구성된 동력부(1), 상기의 고압공기가 본체(1A)로 유입되고 장ㆍ탈착식 수단이 도입되어 소음기를 부착할 수 있는 입구부분(2), 상기 입구과 연결된 관 내부에 흡음재가 장착된 부분(3), 공기의 흐름방향을 바꾸어 주는 곡관부분(4), 상기의 곡관 내부에 배설된 흐름 안내깃(guide vane) 부분(5), 고압의 공기를 확산시켜 정체실로 보내는 광각확산부 부분(6), 상기 광각확산부에 배설된 분산 깃(7), 공기흐름이 거의 정지에 가까운 속도를 갖는 정체실 부분(8), 정체실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구멍(pressure hole)(9A, 9B), 상기 정체실 내부에 배설되어 공기흐름의 난류도를 줄여주는 하니컴(honeycomb)(10) 및 스크린(screen)(11A, 11B, 11C, 11D) 부분, 공기흐름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균질류를 발생시키는 수축부 부분(12), 그리고 최대풍속의 제트류가 토출되고 압력구멍이 있는 제트류 출구부분(13), 상기 출구부분의 제트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14), 제트류에 놓인 유동센서의 피치각과 요우각 그리고 로울각을 변경할 수 있는 피치/요우 조종기(pitch/yaw manipulator)(15), 속도조절용 인버터(16), 높이조절용 받침대(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동 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외부 미관을 고려한 디자인을 하여 외부형상을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트류를 발생시키는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로 주요 구성품은 동력부(1), 확산부(6), 정체부(8), 수축부(12), 출구노즐(13), 피치/요우 조종기(15) 등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기존의 개방회로형 캘리브레이션 풍동의 규모를 축소하고, 노즐 출구의 제트류 흐름방향이 지면과 수직이 될 수 있도록 공기흐름 방향을 엘보우(elbow)를 사용하여 90°변경하였으며,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동력부를 주름관으로 분리하여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수축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 출구에서 저속과 고속의 제트류를 얻을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압공기를 보내주는 동력부(1)를 본체(1A)와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력부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송풍기, 압축기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동력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유속범위에 따라 손쉽게 동력부를 교체할 수 있다. 본 장치의 입구부(2)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동력부(압축기 또는 송풍기)와 장ㆍ탈착식 수단(실시 예: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동력부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장ㆍ탈착식 수단을 이용하여 소음기(消音器)(미도시)가 부착된 공기회로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동력부는 일반적으로 고압 송풍기를 사용하며, 본체(1A)와 송풍기(1)가 장ㆍ탈착식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송풍기를 1단에서 다단의 고압 송풍기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장착하거나 기존의 1단 송풍기를 다단 송풍기(또는 다단 송풍기에서 1단의 송풍기로)로 교체함으로써 노즐 출구에서의 최대유속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의 속도제어를 위한 인버터(16)는 본체 내부의 빈 공간에 배설하고 본체의 제어기(14)에서 제트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력부에서 송풍기를 대신에 압축공기를 이용할 경우 노즐 출구에서의 제트류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압력만 입구부분으로 들어갈 수 있는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를 배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압축공기가 수분이 섞여있거나 오일이 포함되어 있으면 실험을 망칠 수 있으므로 공기건조기(air dryer) 및 오일 필터(oil filter)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압공기는 곡관(4)을 통하여 흐름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트류가 바닥 면과 수직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 장치에 센서를 고정하고 보정하기 편리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에서의 모서리는 완만한 곡률로 변하는 곡관(4)을 사용하며, 상기 곡관내부에 제작하기가 간편한 평판을 흐름 안내깃(guide vane)(5)으로 장착하여 압력손실을 줄여 주었다. 상기 곡관을 지난 공기흐름은 광각확산부(6)를 통과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광각확산부는 공기흐름을 팽창시켜 공기의 흐름속도를 감소시키고 정압을 회복하여 고속흐름으로 인한 마찰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각 확산부 설계의 개념은 압력 회복인자의 영향보다 주어진 면적비에서 확산부의 길이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광각 확산부의 설계 방식으로는 곡면 스크린을 장착하는 방법, 분산 깃을 장착하는 방법, 와류 발생기를 장착하는 방법, 경계층 제어 방법 등이 있다. 본 장치에서의 광각 확산부(6)는 확산각이 40도에서 120도까지의 범위를 갖도록 하였으며, 확산부에 분산 깃(7)을 배설하여 확산각을 줄여주었다. 또한 흐름단면적이 최대이고 속도가 최저인 정체실(8)을 두었으며, 상기 정체실 내부에 스크린(screen)과 하니컴(honeycomb)을 두어 흐름방향 난류성분과 흐름과 수직방향 난류성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흐름방향 난류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된 스크린은 흐름의 불안정을 유발하지 않도록 개구율을 0.57보다 크게 하였으며, 스크린 후방에 놓인 스크린(11B, 11D))과의 간격은 스크린 메쉬(mesh)의 30배 이상으로 하거나 스크린 와이어(screen wire) 직경의 500배 이상으로 하여 와이어에 의해 발생한 난류성분이 완전히 소멸된 이후에 다음 스크린을 배설하였다. 하니컴(10)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경사진 흐름일 경우 셀(cell)내에서 흐름의 분리(separation)가 발생하므로 하니컴 전방에 스크린을 배설하여 하니컴에 유입되는 흐름이 평행류가 되도록 하였다. 공기흐름의 난류도를 제어하는데 하니컴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하니컴과 스크린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종방향으로는 3배, 횡방향으로는 2배의 난류도를 향상시키므로 본 고안에서도 하니컴과 스크린을 같이 사용하였다. 또한 난류 제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트출구와 바로 연결되는 스크린(11D)은 메쉬(mesh)가 조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정체실(8)과 제트류 출구(13) 사이에 수축부(contraction)(12)를 두어 평균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축부는 정체실에서 유입된 흐름의 평균속도의 비균일성을 감소시켜 주고 정체실내의 유속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하게 하여 스크린과 하니컴에서의 압력손실을 줄여준다. 수축부(12)내에서의 속도분포에서 역압력구배(adverse pressure gradient)로 인한 분리(separation)현상과 수축부 벽면에서의 부적절한 곡률 분포에 의하여 수축부 출구에서 나타난 흐름속도 분포의 비균일성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최적형상을 택하였다. 수축부 출구인 노즐 출구(13)에서의 단면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 범위에 따라 출구의 단면적을 바꿀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축부의 형상도 다르게 설계하였다. 수축부 입구와 출구의 단면적 비인 수축비(contraction ratio)는 본체의 크기가 너무 커지지 않고 좋은 유질을 유지할 수 있는 값을 택하였다. 수축부는 제작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원형 형태로 제작하며, 수축부 형상은 흐름의 분리(separation)가 발생하지 않고 노즐 출구에서의 흐름의 비균일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수축부 형상설계는 축대칭 수축부의 형상변수들에 대한 설계도표를 작성한 T. Morel의 축대칭 설계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제트흐름이 토출되는 노즐 출구부분의 단면적이 작으므로 벽면의 경계층(boundary layer)을 제거하여 편평한(flat) 유속분포를 갖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에서의 수축부(12)는 제트류의 유속범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 개를 제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속범위에 따라 수축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노즐 출구 직경이 큰 수축부를 사용하는 경우 정해진 송풍기의 성능 때문에 고속의 제트류를 얻기 힘들고, 반면에 노즐 출구직경이 작은 수축부를 사용하는 경우 저속 영역에서의 제트류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수축부의 입구의 크기가 동일하고 출구 크기가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 출구에서의 제트류의 유속의 범위를 넓혔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의 실시 예로 노즐 출구지름이 70mm인 경우와 120mm의 경우를 택하였으며, 이러한 노즐의 수축비(contraction ratio)는 각각 25.0과 8.5 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속이 작은 범위에서 센서를 보정할 때에는 출구부분의 단면적이 넓은 수축부를 택하고, 유속범위가 큰 경우에는 출구부분의 단면적이 작은 수축부를 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축부 출구부분에 유동센서(예: 열선프로브, 압력프로브)들을 고정하고 피치각(pitch angle)과 요우각(yaw angle) 그리고 로울각(roll angle)등을 변경할 수 있는 피치/요우 조종기(15)를 부착하였다. 이러한 피치/요우 조종기는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소형 모터를 제어하여 고정된 센서들의 피치각과 요우각 그리고 로울각 등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축부 출구에서 발생하는 제트류의 속도는 송풍기를 사용하는 경우 인버터(16)로 송풍기의 모터출력을 변경하여 조절하며,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경우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미도시)로 압력을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방회로형인 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소음(noise)이 심하기 때문에 실험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50dB미만의 저소음형 장치로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음기나 흡음재(3)를 입구부분(2)과 곡관(4)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소음(noise)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장치에서는 노즐 출구부분에 센서를 장착하여 캘리브레이션 하여야 하므로 피토 정압관을 노즐 출구부분에 장착하기 곤란하다. 그러므로 정체실(9A)과 노즐 출구부분(9B)에 압력구멍을 배설하고 압력튜브로 연결하여 속도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동력장치(송풍기, 압축공기)의 제어부가 속도센서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노즐 출구에서의 유속을 개인컴퓨터(PC)(미도시)에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유동장의 흐름속도 및 난류도를 측정하는 열선풍속계뿐만 아니라 3공 압력프로브, 5공 압력프로브, 7공 압력프로브 등 각종 속도센서 등을 보정(calibration)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열선 풍속계(hot-wire anemometer)의 필수 부속장비에 캘리브레이션 장치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반드시 필요한 유체관련 실험장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소형으로 제작하므로 장치를 이동하거나 설치하는 등 취급하기에 편리하며, 실험실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개방회로형(open circuit type)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해질 수 있지만 본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송풍기와 회로부분이 분리형이므로 동력부를 실외에 배설하거나 흡음재가 부착된 회로를 공기회로상에 손쉽게 삽입함으로써 소음(騷音)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동력부(송풍기, 압축기)와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장ㆍ탈착 수단인 주름관(flexible duct)으로 제작되므로 송풍기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최대유속 요구에 따라 1단에서 다단까지의 고압송풍기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므로 최대유속의 범위가 넓은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장치는 노즐(수축부와 노즐 출구부분)이 단면적이 다른 노즐로 교체(exchangeable type)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좋은 유질(flow quality)을 유지하면서 광범위한 유속범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는 저소음, 저난류, 균질류, 광범위한 유속 등의 우수한 유질 성능을 갖는 제품이다.

Claims (4)

  1. 동력부와 연결되는 공기 입구부(2)와; 상기 공기 입구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다수의 공기흐름 안내깃이 배설된 곡관(4)과; 분산 깃이 배설되고 정체실과 연결되는 광각확산부(6)와; 다수의 스크린과 하니컴이 배설된 정체실(8)과; 정체실에서 유입된 공기흐름의 평균속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수축부(12)와; 공기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14)와; 노즐 출구부분에 피치각과 요우각을 변경시킬 수 있는 피치/요우 조종기(15) 등으로 구성된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 본체가 송풍기와 장·탈착 수단으로 연결되어 송풍기를 다른 성능의 송풍기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출구에서의 제트류의 속도와 동력부를 제어기로 조절하여 제트류의 유속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의 공기회로 상에 소음기(消音器), 흡음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장치.
KR2020010030061U 2001-09-28 2001-09-28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KR200269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61U KR200269899Y1 (ko) 2001-09-28 2001-09-28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61U KR200269899Y1 (ko) 2001-09-28 2001-09-28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899Y1 true KR200269899Y1 (ko) 2002-03-27

Family

ID=7310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061U KR200269899Y1 (ko) 2001-09-28 2001-09-28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22B1 (ko) * 2018-10-29 2019-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수의 전압력 프로브를 이용한 전방향 유동측정장치 세팅방법
KR102317375B1 (ko) * 2021-06-04 2021-10-26 주식회사삼덕엔지니어링 기상용 풍향풍속계 교정 풍동 시스템
KR20220060290A (ko) 2020-11-04 2022-05-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차원 유속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굴뚝 현장 내 3차원 유속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220147854A (ko) 2021-04-28 2022-1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비아와 나노와이어 잉크를 이용한 적층형 고분자구동기 및 그 고분자구동기의 전기적 연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22B1 (ko) * 2018-10-29 2019-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수의 전압력 프로브를 이용한 전방향 유동측정장치 세팅방법
KR20220060290A (ko) 2020-11-04 2022-05-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차원 유속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굴뚝 현장 내 3차원 유속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220147854A (ko) 2021-04-28 2022-1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비아와 나노와이어 잉크를 이용한 적층형 고분자구동기 및 그 고분자구동기의 전기적 연결방법
KR102317375B1 (ko) * 2021-06-04 2021-10-26 주식회사삼덕엔지니어링 기상용 풍향풍속계 교정 풍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7873A (zh) 涡环发生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TWI234490B (en) Fluidic device
JP2003065891A (ja) 回流式超音速風洞における風路内圧力変動低減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40120815A1 (en) Cooling fan
KR200269899Y1 (ko) 유동센서 보정용 캘리브레이션 풍동 장치
JP2012247121A (ja) 可変風量制御装置
KR102007156B1 (ko) 다단 구조의 팬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확산 장치
CN109944814A (zh) 一种植保喷雾机械雾滴飘移试验用风送系统
JP6669684B2 (ja) 壁面噴流を持つドラフトチャンバ
CN111120352B (zh) 一种离心风机、应用有该离心风机的吸油烟机及控制方法
US7249614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mproving flow uniformity and reducing turbulence
US3869909A (en) Gas flow visualization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Doolan et al. The UNSW anechoic wind tunnel
CN106593929B (zh) 基座及无叶风扇
KR101415882B1 (ko) 풍량 측정용 정압탭이 구비된 이동식 디지털 풍량 측정장치
Dorneanu et al. Tonal and silent wake modes of a square rod at incidence
RU2681618C1 (ru) Комп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ламинарных струй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8279257B (zh) 测量强迫对流加热棒簇努塞尔数的装置及方法
CN211043431U (zh) 多功能一体式风要素检定装置
Tsai et al. Flow style investigation and noise reduction of a cross-flow fan with varied rotor-skew-angle rotor
CN211854205U (zh) 涡环发生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20080041365A (ko) 자연환기덕트의 풍량측정장치 및 방법
CN210772698U (zh) 风管导流机构
US5483829A (en) Environmental flow stand inlet flow conditioner
JP4176308B2 (ja) 混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