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36Y1 -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36Y1
KR200269536Y1 KR2020010040583U KR20010040583U KR200269536Y1 KR 200269536 Y1 KR200269536 Y1 KR 200269536Y1 KR 2020010040583 U KR2020010040583 U KR 2020010040583U KR 20010040583 U KR20010040583 U KR 20010040583U KR 200269536 Y1 KR200269536 Y1 KR 200269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nsceiver
communication cable
cov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202001004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36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헬멧내측에 설치된 송수신기와 무전기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에 결합시키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방헬멧에 송수신기 및 목보호커버가 결합되고, 소방관의 몸체에 장착되는 PTT와 이에 연결되는 무전기가 장착되며, 상기 송수신기와 무전기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목보호커버 내측에 벨크로테이프로 된 부착수단을 구비한 케이블덮게가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내측에 감싸주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써, 통신케이블과 목보호커버의 간섭을 방지하고, 통신케이블이 소방관의 면전에 임의로 흔들려 소방관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an wireless transceiver cable for fire fighting rescue}
본 고안은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내측에 설치된 송수신기와 무전기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에 결합시켜 통신케이블을 보호하는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재 및 안전사고가 대형화 추세로 가고 있어 많은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구조활동 및 방재활동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소방구조요원이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인 무전기를 한손으로 들고 조작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작업을 양손으로 행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구조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경황이 없는 사고현장에서 소방관 및 구조대원의 자기책임하에 관리되는 고가장비인 무전기의 분실이 우려되는 부담감으로 구조작업 및 방재작업을 하는데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전기는 화재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공기호흡기 면체를 착용하고 구조작업을 하는데 있어 지휘본부나 동료소방관과 통신할 경우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면체를 벗어 송수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화재현장에서 다른 인명의 구조작업을 하는 소방관이 오히려 연기 및 유독가스에 질식하는 피해가 속출하였다.
그래서, 무전기를 한손으로 잡고 통신하거나 구조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실정이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구조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많은 인명을 구조해야 되는 소방관이나 구조대원이 오히려 사용상 불편 때문에 또다른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가 항상 내포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1998년 4월 9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560호로 출원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방관의 소방헬멧(101) 내부에 송신 및 수신기(102,103)를 부착하고 별도의 PTT(Push-To-Talk; 104)를 무전기(105)에 연결설치하여 소방관의 몸체에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써, 화재나 사고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공기호흡기의 면체를 벗지 않고도 간단한 작동으로 지휘본부와의 긴밀한 통신을 할 수 있고, 사고현장의 소방관들끼리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어 구조작업을 하는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손으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헬멧(101)과 무전기(105)는 통신케이블(106)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소방헬멧(101) 후방에 난연성 재질의 목보호커버(107)를 결합하여 목주변을 감싸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5560호에 의하면, 상기 헬멧(101)과 무전기(105)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106)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목보호커버(107)를 헬멧(101)에 결합하였을 때, 통신케이블(106)과 목보호커버(107)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통신케이블(106)을 팽팽하게 하거나 꼬이게 하고, 아니면 목보호커버(107)를 감아올리거나 접혀지게 하여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통신케이블(106)은 헬멧(101)내측에서만 고정하고 무전기(105)에 연결되는 부분은 별도로 고정하지 않고 헬멧(101)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소방관이 움직일 때 마다 흔들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통신케이블(106)이 작업자의 얼굴에 부딪치는 등의 이유로 소방관의 주의를 분산시켜 원활한 구조 및 방재작업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었다.
또한 통신케이블이 목보호커버 바깥으로 노출되는 경우 화기나 건축잔해물과 충돌하여 헬멧측케이블 및 이와 무전기측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파손시켜 외부와의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송수신기와 무전기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 내측에 고정시켜 통신케이블과 목보호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소방관의 안면에서 통신케이블이 임의로 흔들려 소방관의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 및 방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통신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케이블덮게를 통해 통신케이블을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보호커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케이블덮게를 목보호커버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방헬멧 20 : 수신기
30 : 송신기 40 : 무전기
50 : PTT 60 : 통신케이블
61 : 헬멧측케이블 62 : 무전기측케이블
61a,62a : 커넥터 70 : 목보호커버
71 : 케이블덮게 71a,71b : 부착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방헬멧에 송수신기 및 목보호커버가 결합되고, 소방관의 몸체에 장착되는 PTT와 이에 연결되는 무전기가 장착되며, 상기 송수신기와 무전기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된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보호커버 내측에 상기 통신케이블을 감싸주어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커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는 양측면이 상기 목보호커버에 결합되고, 상하측이 개방된 포켓형상을 이루면서 통신케이블을 감싸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 내측에 밀착시키므로 통신케이블과 목보호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이 소방관의 면전에 임의로 흔들려 소방관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화재 및 구조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의 소방헬멧(10)의 내측벽 좌우에는 외부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헬멧(10)의 전면 내측에는 지휘본부나 동료소방관과 통신할 수 있도록 송신기(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소방관의 몸체에 무전기(40)가 구비되어 상기 송신기(30)와 수신기(20)와 외부와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소방관의 몸체 일부분에 PTT(5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PTT(50)은 상기 무전기(40)와 연결되어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하는 소방관이 상기 송신기(30)를 이용하여 지휘본부나 동료소방관쪽으로 통화내용을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PTT(50)는 소방관이 외부로 통화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게 스위칭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556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헬멧(10)과 무전기(40)는 통신케이블(6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케이블(60)은 헬멧측케이블(61)과 무전기측케이블(62)로 이루어지고, 이 두 케이블(61,62)은 한 쌍의 암·수커넥터(61a,62a)에 의해 분리 혹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방헬멧(10) 후방에 난연성 재질의 목보호커버(70)가 결합되어 화재진압현장이나 건축현장에서 헬멧(10)만으로는 보호할 수 없는 소방관의 목부위와 어깨부분을 화기나 비산되는 건축물잔해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목보호커버(70) 내측에 케이블덮게(71)가 설치되어 상기 소방헬멧(10)에 매달린 헬멧측케이블(61)을 감싸주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덮게(71)는 양측면이 상기 목보호커버(70)에 결합되고 상하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포켓형상을 이루어 포켓내부에 삽입된 통신케이블(60)을 감싸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덮게(71)는 양측면을 목보호커버(7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양측을 착탈가능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례와 같이, 케이블덮게(71)의 일측을 목보호커버(70)에 고정하고 타측을 벨크로테이프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에 따라 통신케이블(60)을 용이하게 고정,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되는 부분이 목보호커버(70)의 단부측 즉, 커버(30) 외측으로 하고, 단부측 맞은편에 부착수단(71a,71b)을 설치하여 한손으로도 통신케이블(60)을 간편하게 고정,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수단(71a,71b)을 목보호커버(70)으로부터 분리할 때 목보호커버(70)가 접혀지지 않고 팽팽하게 되어 케이블덮게(71)를 한손으로토 분리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착수단인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케이블덮게(71)를 잡아당겨 목보호커버(70)으로부터 떼어낸 다음 통신케이블(60)을 포켓자리에 댄 후 다시 케이블덮게(71)를 목보호커버(70)의 부착수단(71a,71b)인 벨크로테이프에 접촉시키기만하면 통신케이블(60)은 목보호커버(70)과 케이블덮게(71)에 의해 감싸지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통신케이블(60)이 감싸진 상태에서 케이블덮게(71)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목보호커버(7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통신케이블(60)을 감싸는 구조를 간단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에 따르면, 통신케이블을 목보호커버와 케이블덮게로 목보호커버에 밀착시키므로 통신케이블과 목보호커버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관의 면전에서 통신케이블이 임의로 흔들려 소방관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써 원활한 구조 및 방재작업을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헬멧측케이블이 목보호커버 내측에 항상 위치하므로 목부위로 전달되는 화기나 건축잔해물 등을 차단하여 통신케이블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소방헬멧(10)에 송수신기(20) 및 목보호커버(70)가 결합되고, 소방관의 몸체에 무전기(40)가 장착되며, 상기 송수신기(20)와 무전기(40)는 통신케이블(60)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된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보호커버(70) 내측에 상기 통신케이블(60)을 감싸주어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덮게(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덮게(71)는 양측면이 상기 목보호커버(70)에 결합되고, 상하측이 개방된 포켓형상을 이루어 상기 통신케이블(60)을 감싸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보호커버(70)의 일측이 부착수단(71a,71b)을 통해 상기 목보호커버(7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71a,71b)은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KR2020010040583U 2001-12-28 2001-12-28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KR200269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83U KR200269536Y1 (ko) 2001-12-28 2001-12-28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83U KR200269536Y1 (ko) 2001-12-28 2001-12-28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36Y1 true KR200269536Y1 (ko) 2002-03-22

Family

ID=7307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583U KR200269536Y1 (ko) 2001-12-28 2001-12-28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82Y1 (ko) * 2017-12-28 2018-07-10 주식회사 시코드 안전모용 ptt 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82Y1 (ko) * 2017-12-28 2018-07-10 주식회사 시코드 안전모용 ptt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722B1 (ko) 비상시 공기를 공급하는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및 접이식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US9402119B2 (en) Communication system in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KR200269536Y1 (ko) 소방구조용 무선송수신케이블 고정구조
KR101474760B1 (ko) 소방 작업자용 송수신 장치
US6179666B1 (en) Two-way radio accessory quick connect and extension cord
KR20110125357A (ko) 다기능 안전 헬멧
KR200408961Y1 (ko) 소방용 조명통신보조기구
CN204540899U (zh) 一种阻燃通信防护头罩
KR101692524B1 (ko) 다기능 안전면체
KR200288245Y1 (ko) 영상송신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가부착된 헬멧
RU2581580C1 (ru) Защитный шлем
KR101791165B1 (ko) 소방관용 경보장치
KR100405259B1 (ko) 소방용 관창의 멜빵
KR200290420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방독면
KR200333615Y1 (ko) 헬멧에 장착한 휴대용 연기투시장치
KR200272605Y1 (ko) 송수신용 안전모
CN215387127U (zh) 一种火灾现场逃生带
KR200365642Y1 (ko) 소방용 방화두건
KR200338490Y1 (ko) 무선통신용 소방 헬멧
KR20170001849U (ko) 후드가 부착된 커버형 소방담요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CN214230076U (zh) 一种多功能消防应急救援头盔
JPS5940050Y2 (ja) 呼吸マスク
KR19980031984U (ko)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CN218944211U (zh) 一种油田应急专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