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265Y1 - 라디에이터 캡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265Y1
KR200269265Y1 KR2020010029500U KR20010029500U KR200269265Y1 KR 200269265 Y1 KR200269265 Y1 KR 200269265Y1 KR 2020010029500 U KR2020010029500 U KR 2020010029500U KR 20010029500 U KR20010029500 U KR 20010029500U KR 200269265 Y1 KR200269265 Y1 KR 200269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valve body
push button
fixing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부
Original Assignee
이석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부 filed Critical 이석부
Priority to KR2020010029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26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하부면에서 리테이너를 포함한 상부패킹을 고정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저면에 결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 영역에서 부압스프링이 개재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흡입밸브체가 마련되며 하부면에 하부패킹이 설치된 압력밸브본체를 갖고 보조물탱크와 연결된 라디에이터 상부탱크의 개구를 개폐하는 라디에이터 캡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체와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축공과 기밀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에 결속되는 기밀유지관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어 누름 정도에 따라 승하강 하면서 상기 흡입밸브체를 개폐하여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을 동반한 고온의 냉각수를 상기 보조물탱크로 강제 유도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손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누름버튼을 간편하게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라디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 압력과 고온의 증기를 보조물통으로 강제 유도시킨 후 캡을 열게되면 조작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라디에이터 캡{RADIATOR CAP}
본 고안은,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실용신안 2000-20275호를 보다 진보적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압력 및 끓는 증기를 사전에 보조물탱크로 강제 유도시킨 후 라디에이터 캡을 열 수 있도록 하여 조작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데워진 증기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차가워진 증기는 다시 엔진으로 들어가 엔진의 열을 식혀 주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라디에이터는 데워진 증기를 자동차 엔진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식혀 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라디에이터는, 증기가 흐르는 튜브와 여러 개의 튜브가 연결되도록 하는 탱크, 그리고 열을 효과적으로 공기 중에 발산하게 하기 위해 튜브 사이에 끼워진 핀으로 구성되며 자동 트랜스미션의 오일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오일 쿨러(Oil-Cooler)가 탱크 속에 내장되어 있고 높은 압력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해 주는 캡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팬 모터의 고장과 팬벨트의 절손 및 구동전원회로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엔진 증기 온(ON) 게이지 지침이 붉은 색(red zoon)을 가르치거나 엔진이 가열되어 엔진부위에서 수증기가 오르면 차를 한쪽에 세워 엔진을 식혀야 할 때 필요에 따라 라디에이터 캡을 열어야 한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라디에이터 캡은 제2압력배출공이 형성된 축 형상의 누름버튼과, 고정판과 가이드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중앙영역에 상기 누름버튼이 삽입되는 버튼삽입공이 형성된 함몰형 기밀유지관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부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기밀유지관의 하부면과 기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제2압력배출공을 개폐하는 o링과, 상기 o링을 지지하는 고정와셔와, 상기 기밀유지관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버튼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형성된 라디에이터 캡은, 라디에이터 팬 모터의 고장과 팬벨트의 절손 및 구동전원회로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엔진 증기온 게이지 지침이 붉은 색(red zoon)을 가르치거나 엔진이 가열되어 엔진부위에서 수증기가 오르면 차를 한쪽에 세워 엔진을 식혀야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캡(10)을 열게된다.
먼저, 캡을 열기 전에 조작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의 끝단을 누름버튼 상면에 형성된 "+" 형 요입홈에 삽입시켜 누름버튼을 가압하면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 압력으로부터 안전하며 누름버튼을 누르면 누름버튼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누름버튼에 형성된 제2압력배출공이 가이드 내부로 노출되고 동시에 기밀유지관의 하부면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있던 o링이 기밀유지관의 하부면으로부터 접촉 분리되므로 라디에이터 내부에 형성되어 있던 압력은 제2압력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라디에이터 캡을 잡고 회전하는 것으로서 라디에이터 상부탱크의 개구를 안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 출원은 누름버튼을 가압하면 누름버튼에 형성된 제2압력배출공이 가이드 내부로 노출되고 따라서 제2압력배출공을 통하여 압력과 고온의 증기가 배출됨으로서 항시 누름버튼을 손으로 누를 경우에는 화상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항시 누름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드리이버와 같은 공구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라디에이터 캡에 형성된 누름버튼을 손으로 가압 하면 누름버튼이 흡입밸브체를 가압하여 라디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고온의 압력 등을 보조물탱크 측으로 강제유도 시킴으로써 조작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라디에이터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캡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캡 11 : 리테이너
13 : 상부패킹 14 : 상부고정판
15 : 가이드 17 : 상부탱크
19 : 개구 21 : 플랜지
23 : 통공 25 : 흡입밸브체
27 : 보조물탱크 29 : 부압스프링
33 : 하부패킹 35 : 압력밸브본체
37 : 기밀유지관 39 : 축공
41 : 기밀공 43 : o링
45 : 누름버튼 47 : 누름판
49 : 축 51 : 고정와셔
53 : 버튼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캡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캡(10)은, 내측 하부면에 리테이너(11)를 포함한 상부패킹(13)을 고정하는 상부고정판(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고정판의 저면에는 가이드(15)가 결착되어 라디에이터 상부탱크(17)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개구(19)를 기밀하게 개폐하는 역할을 행한다.
가이드(15)의 하부 주연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의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21)의 둘레방향에는 다수의 통공(23) 이 형성됨으로서 흡입밸브체(25)의 개방에 따라 압력을 동반한 고온의 증기는 보조물탱크(27)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가이드(21)의 하부 영역에서 부압스프링(29)이 개재된 흡입밸브체(25)가 하부고정판(26)에 삽입 마련되며 하부면에 하부패킹(33)이 설치된 압력밸브본체(35)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흡입밸브체(25)의 축선 방향의 상면에는 흡입밸브체(25)와 소정 간격을 두고 기밀유지관(37)을 설치하고 있다. 기밀유지관(37)은 중앙부에 축공(39)과 기밀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밀공(41)에는 o링(43)이 개재되어 있다. 축공(39)에는 누름버튼(45)이 삽입되는데, 이 누름버튼(45)은 상부에 누름판(47)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작자가 손으로 누름버튼(45)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누름판(47)의 하부면에서 누름판의 직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하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결된 축(49)을 형성하여 o링(43)에 이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축(49)의 단부 영역에는 고정와셔(51)를 삽입하여 축(49)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누름버튼(45)을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축(49)은 승하강 하면서 흡입밸브체(25)를 개폐하여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이 동반된 고온의 증기를 보조물탱크(27) 측으로 강제 유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누름판(47)의 저면과 상부고정판(14)의 저면에는 버튼스프링(53)을 개재하여 조작자가 누름버튼(45)을 가압하여 축(49)을 이동시킨 후 놓으면 누름버튼(45)이 상향 이동되어 원위치 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버튼 스프링(53)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캡(10)은, 라디에이터 팬 모터의 고장과 팬벨트의 절손 및 구동전원회로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엔진 증기온 게이지 지침이 붉은 색(red zoon)을 가르치거나 엔진이 가열되어 엔진부위에서 수증기가 오르면 차를 한쪽에 세워 엔진을 식혀야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때 캡(10)을 열어 엔진을 식혀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면, 조작자는 먼저 캡(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누름버튼(45)의 상면에 형성된 누름판(47)을 가압한다. 가압된 누름버튼(45)의 축(49)은 축공(39)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게되고 이동된 축(49)의 단부는 흡입밸브체(25)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가압된 흡입밸브체(25)는 가압된 거리만큼 하향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밸브체(25)의 단부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틈새를 따라 가열된 압력과 고온의 증기가 상측으로 토출되고 토출되는 증기 등은 가이드(15)의 플랜지(21)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된 압력과 고온의 증기는 캡(10)의 라디에이터 상부탱크(17)의 개구(19)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 더 이상 토출되지 못하고 보조물탱크(27)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버튼(45)의 조작에 의해 압력과 고온의 증기를 보조물탱크(27) 측으로 강제 유도시키는 작업을 행한 후 조작자가 캡(10)을 열면 압력과 고온의 증기는 개구(19)를 통하여 외측으로 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소정의 작업을 안전하게 마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작자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누름버튼을 간편하게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라디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 압력과 고온의 증기를 보조물통으로 강제 유도시킨 후 캡을 열게되면 선 출원의 단점을 보완하여 조작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캡이 제공된다.

Claims (4)

  1. 내측 하부면에서 리테이너를 포함한 상부패킹을 고정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저면에 결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 영역에서 부압스프링이 개재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흡입밸브체가 마련되며 하부면에 하부패킹이 설치된 압력밸브본체를 갖고 보조물탱크와 연결된 라디에이터 상부탱크의 개구를 개폐하는 라디에이터 캡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체와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축공과 기밀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에 결속되는 기밀유지관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어 누름 정도에 따라 승하강 하면서 상기 흡입밸브체를 개폐하여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을 동반한 고온의 증기를 상기 보조물탱크 측으로 강제 유도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공에 개재되어 상기 기밀공을 기밀하게 유지시키는 0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상부에 형성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면에서 상기 누름판의 직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하측을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결된 축과;
    상기 축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상부고정판과 누름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버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KR2020010029500U 2001-09-25 2001-09-25 라디에이터 캡 KR200269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00U KR200269265Y1 (ko) 2001-09-25 2001-09-25 라디에이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00U KR200269265Y1 (ko) 2001-09-25 2001-09-25 라디에이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265Y1 true KR200269265Y1 (ko) 2002-03-21

Family

ID=7306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00U KR200269265Y1 (ko) 2001-09-25 2001-09-25 라디에이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2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48B1 (ko) 2003-04-14 2010-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캡
KR101723199B1 (ko) * 2016-07-11 2017-04-05 명진석 수동 비상운전이 가능한 집진기용 다이아후렘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48B1 (ko) 2003-04-14 2010-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캡
KR101723199B1 (ko) * 2016-07-11 2017-04-05 명진석 수동 비상운전이 가능한 집진기용 다이아후렘 밸브
WO2018012742A1 (ko) * 2016-07-11 2018-01-18 명진석 수동 비상운전이 가능한 집진기용 다이아후렘 밸브
US10589207B2 (en) 2016-07-11 2020-03-17 Jin-Suk MYUNG Dust collector diaphragm valve capable of performing manual emergency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9265Y1 (ko) 라디에이터 캡
US5248052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uper-atmospheric pressure of an engine cooling system in response to turning off the engine and preventing the buildup of pressure while the engine is off
US4316399A (en) Combined punch retainer and fluid actuated stripper
KR101341992B1 (ko) 이중압력 조절식 무부하 라디에이터 밸브
KR100232338B1 (ko)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EP0651480B1 (en) Air vent structure for plug cap
KR20130065135A (ko) 차량 냉각시스템의 서지탱크용 압력캡
KR100592983B1 (ko) 라디에이터캡의 안전장치
KR200388642Y1 (ko) 냉각수 보조탱크의 캡구조
KR101015432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캡장치
KR200295745Y1 (ko) 라디에이터용 안전캡
KR100489116B1 (ko) 라디에이터 캡
KR100483436B1 (ko) 라디에이터캡의 안전장치.
KR101023936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캡장치
JPS6117218Y2 (ko)
KR950004610B1 (ko)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KR0154672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캡
KR200295746Y1 (ko) 냉각수보조탱크용 안전캡
KR20070050679A (ko) 파워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KR20040044741A (ko) 라디에이터 캡의 잠금장치
CN115148640A (zh) 一种半导体封装新型自动化压力烤箱
KR100240501B1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 배출 플러그
KR200152417Y1 (ko) 라디에이터 캡 화상방지 구조
KR19990039884A (ko) 라디에이터 캡
KR0154674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