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144Y1 -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144Y1
KR200269144Y1 KR2020020000219U KR20020000219U KR200269144Y1 KR 200269144 Y1 KR200269144 Y1 KR 200269144Y1 KR 2020020000219 U KR2020020000219 U KR 2020020000219U KR 20020000219 U KR20020000219 U KR 20020000219U KR 200269144 Y1 KR200269144 Y1 KR 200269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s
coin
temporary storage
drive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석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2020020000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144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화를 자동으로 입,출금하기 위한 주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분류와 감별이 이루어진 주화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일시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주화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엔 주화의 입출금을 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아니하고, 이와 같은 주화의 입출금기용으로서 주화의 일시저장과 거래여부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는 아직까지 개발된 바가 없어 결국 주화의 자동 입출금기를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주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주화의 일시저장과 거래의 선택에 따라 주화의 급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주화의 입출기에서 내부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주화의 분류나 감별이후에 일시저장기능과 선택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여러 구성요소를 구조의 단순화와 작동의 신뢰성을 갖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Escrow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Coin Teller Machine}
본 고안은 주화를 자동으로 입,출금하기 위한 주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분류와 감별이 이루어진 주화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일시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주화를 입금이나 출금을 위해서는 주로 은행 창구을 이용하여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많은 량의 주화를 취급하고자 할 때엔 일정 액수 단위로 미리 정리되어 있는 롤 형태를 사용하게 되면 어느 정도 편리하다 하겠으나, 미리 정리가 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주화의 계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자주 창구직원과의 마찰요인이 되고 있으며, 고객의 입장에서도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하는 폐단이 있다.
물론, 기존에도 주화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엔 주화의 입출금을 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아니하고, 이와 같은 주화의 입출금기용으로서 주화의 일시저장과 거래여부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는 아직까지 개발된 바가 없어 결국 주화의 자동 입출금기를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화를 자동으로 입출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주화의 일시저장과 거래의 선택에 따라 주화의 급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주화의 입출금기 등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화의 입출기에서 내부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주화의 분류나 감별이후에 일시저장기능과 선택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여러 구성요소를 구조의 단순화와 작동의 신뢰성을 갖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주화 입출금기에 본 고안인 장치의 설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주화 입출금기에 본 고안인 장치를 포함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도4에 예시한 일시저장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선별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6은 도5의 선별기에 대한 구동관계를 중심으로 나타낸 발췌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일부 발췌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호퍼, 50a:개공, 51:구동축, 52:선택기, 54:만곡개폐면,
55,56:선택 가이드면, 57:설치부, 58:고정핀, 60;구동기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주화를 받아 일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급송 방향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호퍼 하부로서 개공과 인접되게 구동축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는 선택기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주화 입출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일시 저장장치(6)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주화를 받아 일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급송 방향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호퍼(50) 하부로서 개공(50a)과 인접되게 구동축(51)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는 선택기(52)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상기 선택기(52)는 부채꼴 형태로서 상부의 만곡개폐면(54)과 양측의 선택 가이드면(55,56)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의 설치부(57)는 구동축(51)에 고정핀(58)으로 고정 설치되며 양단엔 가이드원판(53,53)이 상기 구동축(51)에 끼워져 상기 선택기(52)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51)의 일측엔구동기구(6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구(60)는 외측프레임(1)의 내측 브라켓(61)에 설치되는 정역전 구동모터(62)와, 상기 구동모터(62)의 기어(63)와 여러 중간기어(64,65,66)를 거쳐 치합되고 구동축(51)에 설치되는 기어(67)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기어(67)엔 양측에 기어부(68a,69a) 내측으로 개방 절결부(68,69)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67)는 수지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절결부(68,69)를 형성하는 이유는 구동기구(60)의 정역전 구동모터(62)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중간기어(64,65,66)를 거쳐 기어(67)를 회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기어(67)가 설치된 구동축(51)에 의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선택기(52)를 회전시키게 되면 선택기(52)가 계속하여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의 개방 절결부(68,69)가 위치한 각도의 범위내에서만 중간기어(64,65,66)와 기어(67)의 치합에 의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고, 만일 중간기어(64,65,66)가 상기 개방 절결부(68,69)상에 이르게 되면 개방 절결부(68,69)에 위치한 일부 기어부(68a,69a)는 내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상호간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선택기(52)가 일정 범위내에서만 정하여진 각도범위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이상의 범위에서는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하여 평상시엔 선택기(52)의 만곡 개폐면(54)이 호퍼(50)의 개공(50a)을막은 상태에 있게 되나 필요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기(52)를 작동시켜 좌,우측 중 어느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개공(50a)이 개방되면서 호퍼(50) 내부에 있던 주화는 양측 선택 가이드면(55,56)중 어느 일측을 거쳐 미리 대기하고 있던 입금함(7)이나 회수통로(8b)중 어느 일측으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2는 입금부, 3은 출금부 유니트(3a)로 이루어지는 출금부, 4는 분류기, 5는 감별기, 7은 입금함, 7'는 입금/방출함, 8은 회수함, 9는 수거함, 10은 카드 리더, 11은 디스플레이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대하여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3에 예시한 주화 입출금기에 본 고안인 일시저장장치(6)를 설치하여 활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입금부(2)에 입금하고자 하는 주화를 집어 넣으면, 입금부(2)에 투입된 주화는 분류기(4)내부에서 종류별로 분류가 이루어지고, 감별기(5) 내부에서는 주화의 불량 여부를 감별하여 정상적인 주화는 본 고안인 일시저장장치(6)로 급송이 이루어지고, 불량 주화는 회수통로(8a)를 거쳐 회수함(8)으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시저장장치(6)에서는 입금부(2)에 투입된 주화가 분류기(4) 및 감별기(5)를 거치면서 분류 및 감별과정을 수행완료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디스플레이(11)상에 표시된 예를 들면, "거래승인" 또는 "거래취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누른다.
"거래승인"을 선택한 경우엔 일시저장기(6)의 선택기(52)가 작동하여 호퍼(50)의 개공(50a)을 막고 있던 만곡개폐면(54)이 각도 회전하면서 개공(50a)이 열리고 호퍼(50)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주화는 입금함(7) 또는 입금/방출함(7')으로 들어가게 되고, "거래취소"를 선택한 경우엔 일시저장기(6)의 선택기(52)가 작동하여 호퍼(50)의 개공(50a)을 막고 있던 만곡개폐면(54)이 반대 방향으로 각도 회전하면서 개공(50a)이 열리고 호퍼(50)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주화는 회수함(8)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호퍼(5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던 주화는 선택기(52)가 어느 방향으로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화의 급송이 이루어지게 되고, 정역전 구동모터(62)에 의하여 중간기어(64,65,66)를 거쳐 기어(67)를 각도 회전시켜 선택기(52)의 회전 각도 범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기어(67)에 형성된 개방 절결부(68,69)에 의하여 기어부(68a,69a)의 내향 이동이 이루어져 더 이상 초과된 범위까지는 선택기(52)의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동의 신뢰성을 갖게 되고, 이때 초과된 범위에서는 상기 기어부(68a,69a)의 내향 이동과 펼쳐짐의 탄성적인 반복 동작에 의하여 구동축(51)을 경유하여 선택기(52)를 진동시키게 되고, 결국 호퍼(50)의 내부로서 선택기(52)의 주위에 남아 있던 주화를 하나도 남기지 않고 완전하게 배출시키기게 되는 부수적인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개방 절결부(68,69) 및 기어부(68a,69a)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선택기(52)의 좌,우 각도 회전 범위가 제어될 수 있게 되므로, 별도로 선택기(52)의 좌,우 방향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적인 감지센서가 불필요하게 되고,결국 사용되는 부품의 수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치에 의하면 주화를 자동으로 입출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주화의 일시저장과 거래의 선택에 따라 주화의 급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되며, 주화의 입출기에서 내부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주화의 분류나 감별이후에 일시저장기능과 선택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여러 구성요소를 구조의 단순화와 작동의 신뢰성을 가지면서, 일시저장장치(6)의 내부로부터 완전한 주화의 배출기능을 갖게 되며, 소요 부품의 수효를 절감하여 원가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주화를 받아 일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급송 방향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호퍼(50) 하부로서 개공(50a)과 인접되게 구동축(51)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는 선택기(52)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상기 선택기(52)는 부채꼴 형태로서 상부의 만곡개폐면(54)과 양측의 선택 가이드면(55,56)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의 설치부(57)는 구동축(51)에 고정핀(58)으로 고정 설치되며 양단엔 가이드원판(53,53)이 상기 구동축(51)에 끼워져 상기 선택기(52)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51)의 일측엔 구동기구(6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60)는 외측프레임(1)의 내측 브라켓(61)에 설치되는 정역전 구동모터(62)와, 상기 구동모터(62)의 기어(63)와 여러 중간기어(64,65,66)를 거쳐 치합되고 구동축(51)에 설치되는 기어(67)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기어(67)엔 양측에 기어부(68a,69a) 내측으로 개방 절결부(68,69)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KR2020020000219U 2002-01-04 2002-01-04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KR200269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19U KR200269144Y1 (ko) 2002-01-04 2002-01-04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19U KR200269144Y1 (ko) 2002-01-04 2002-01-04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389A Division KR100378699B1 (en) 2002-01-04 2002-01-04 Temporary storage unit for coin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144Y1 true KR200269144Y1 (ko) 2002-03-18

Family

ID=7311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19U KR200269144Y1 (ko) 2002-01-04 2002-01-04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1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322A (en)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EP1782392B1 (en) Self-service cash redemtion machine and method
JP5742485B2 (ja) 硬貨処理装置
GB2124005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WO2006070606A1 (ja) 硬貨入出金機
US6334610B1 (en) Leaf transfer mechanism unit
CN101276493B (zh) 纸张类处理装置
JP2005329039A (ja) 遊技機用遊技媒体払出装置
KR200269144Y1 (ko) 주화 입출금기용 일시 저장장치
JP286924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11288480A (ja) コイン識別装置
CN103021075A (zh) 上锁装置和现金自动交易装置
JP3630556B2 (ja) 硬貨処理装置
JP2007090091A (ja) 遊技機用遊技媒体払出装置
KR200269143Y1 (ko) 주화 입출금 장치
JP4930568B2 (ja) 硬貨入出金装置
US2955605A (en) Antonoff
JP4810740B2 (ja) 硬貨入金口及び現金自動入出金機
KR19980053115U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잼 자동제거장치
JP4442213B2 (ja) 硬貨入出金装置
CA2414424A1 (en) Metal bezel for validator
JP3338760B2 (ja) 釣り銭自動払出装置
JPH021651Y2 (ko)
JPS62274390A (ja) 入出金口のシヤツタ装置
JP4753271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