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846Y1 -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846Y1
KR200268846Y1 KR2020010037929U KR20010037929U KR200268846Y1 KR 200268846 Y1 KR200268846 Y1 KR 200268846Y1 KR 2020010037929 U KR2020010037929 U KR 2020010037929U KR 20010037929 U KR20010037929 U KR 20010037929U KR 200268846 Y1 KR200268846 Y1 KR 200268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plug
charging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해수
Original Assignee
강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해수 filed Critical 강해수
Priority to KR2020010037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84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탭기능과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된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는, 소정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다수의 삽입구로 분배 출력하는 멀티탭으로 구성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은 그 외부에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구와, 서로 다른 크기의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소정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근거로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삽입구 및 상기 충전부로 분배제공하되, 충전부로의 전원공급시에는 전원플러그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레벨로 정류시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Multi-tap with battery recharger}
본 고안은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탭기능과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된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을 비롯한 각종 구조물에는 냉장고, 밥솥, TV와 같은 전자제품에 소정 공급전원 예컨대 약 220V의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는 상기 각 구조물의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가까운 위치에 두고 사용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한 구조물내에 소수, 예컨대 2∼3개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전자제품, 냉장고, 오디오와 컴퓨터시스템( 컴퓨터 본체, 모니터, 프린터)등의 다수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각 장치로의 전원공급이 플러그 삽입구의 수에 한정되므로 다양한 전자제품의 동시이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두도록 함과 더불어 다수 전자제품에 전원공급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멀티콘센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멀티콘센트는 다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다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분할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배터리를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소모성의 휴대용 배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충전 가능한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어댑터를 상기한 멀티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어댑터는 그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다른 플러그와 함께 멀티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플러그를 수용함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의 외관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충전부(1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제어회로(2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의 외관형상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00 : 전원플러그, 10 : 멀티탭,
11 : 삽입구, 12 : 제1 스위치,
13 : 충전부, 14 : 제2 스위치,
20 : 전원제어회로, 21 : 정류부,
T : 트랜스포머, D : 다이오드,
R : 저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는, 소정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다수의 삽입구로 분배 출력하는 멀티탭으로 구성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은 그 외부에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구와, 서로 다른 크기의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소정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근거로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고,그 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삽입구 및 상기 충전부로 분배제공하되, 충전부로의 전원공급시에는 전원플러그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레벨로 정류시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수의 전자기기로 소정 전원을 동시에 공급함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의 외관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는 가정 또는 사무실등과 같은 고정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전원콘센트와 결합하기 위한 전원플러그(1)와, 이 전원플러그(1)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다수의 삽입구(11) 및 충전부(13)로 분배 제공하는 멀티탭(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탭(10)은 그 상면에 소정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구(11)와, 이 삽입구(11)로의 전원 제공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12),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소정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 삽입공간에 삽입된 배터리로 소정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부(13) 및, 이 충전부(13)로의 전원 제공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칭(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멀티탭(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플러그(1)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삽입구(11) 및 충전부(13)로 분배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전원제어회로(20)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2는 도1에 도시된 충전부(1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2a는 충전부(13)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2b는 충전부(13)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3)는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한 덮개(131)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내면은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소정 삽입공간(13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삽입공간(132)은 서로 다른 크기(AA,AAA)의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하부면이 단턱으로 형성되여 2개의 높이층을 갖도록 된 제1 삽입공간(132a)과, 이 제1 삽입공간(132a)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각의 박형 충전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공간(132b) 및, 상기 제1 삽입공간(132a)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입공간(132b)과는 다른 크기의 박형 충전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3 삽입공간(132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공간(132a, 132b)의 상하측에는 각각 소정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제공단자, 즉 접지판(Pa3,Pb2)과 접지핀(Pa1,Pa2,Pb1)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삽입공간(132c)은 배터리의 서로 다른 전극과 대응되도록 동일선상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접지핀(Pc11,Pc12,Pc21,Pc22)이 형성되되, 각 쌍의 접지핀(Pc11과 Pc12, Pc21과 Pc22)간에는 소정 분리턱(1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충전부(13)의 삽입공간(132)에는 각종 형태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부(13)의 제1 삽입공간(132a)의 배면에는 배터리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소정 방열공(13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13)의 상단에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 표시수단(135), 예컨대 적색 및 황색 LED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현재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3은 도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제어회로(2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회로(20)는 전원플러그(1)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교류신호(AC)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 입력단자에 삽입구(11) 및 충전부(13)로의 전원 제공을 온/오프 스위칭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칭부(12,14)가 병렬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칭부(12)의 출력단은 삽입구(1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1 스위칭부(12)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전원플러그(1)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이 선택적으로 삽입구(11)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부(14)는 그 출력단에 강압트랜스(T)의 1 차 코일이 결합되고, 이 강압트랜스(T)의 2차 코일은 접지됨과 더불어 정류용의 제1 및 제2 다이오드(D1,D2)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는 정류부(21)를 통해 충전부(13)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정류부(21)의 제1 및 제2 다이오드(D1,D2)는 소정 저항(R1,R2,R3,R4)을 통해 충전부(13)의 제1 내지 제3 삽입공간(132a, 132b, 132c )에 형성된 소정 전원제공단자와 결합된다.
즉, 상기 정류부(21)는 강압트랜스(T)에 의해 교류전원플러그(1)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강압변환한 후 제1 및 제2 다이오드(D1,D2)를 통해 정류시켜 예컨대 1.2V전원전압을 충전부(13)의 각 배터리 삽입공간(132)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수의 전자기기로 소정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탭(10)의 저면 상단에 소정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콘센트와 결합하기 위한 전원플러그(100)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수의 전자기기로 소정 전원을 동시에 공급함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다수의 삽입구로 분배 출력하는 멀티탭으로 구성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은 그 외부에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구와, 서로 다른 크기의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소정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근거로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삽입구 및 상기 충전부로 분배제공하되, 충전부로의 전원공급시에는 전원플러그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레벨로 정류시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은 그 외부에 삽입구로의 전원출력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와, 충전부로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는 멀티탭의 저면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KR2020010037929U 2001-12-08 2001-12-08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KR200268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29U KR200268846Y1 (ko) 2001-12-08 2001-12-08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29U KR200268846Y1 (ko) 2001-12-08 2001-12-08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846Y1 true KR200268846Y1 (ko) 2002-03-18

Family

ID=7311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929U KR200268846Y1 (ko) 2001-12-08 2001-12-08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940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US8758031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high current USB charging capabilities
US6981895B2 (en) Interface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JP4579598B2 (ja) ユニバーサル電源供給装置
US7151356B1 (en) Retractable cord power adapter and battery pack
US20060125445A1 (en) Portable power supply with computer port
US11502519B2 (en) Modular charging system and wall-mounted charging device and modular power devices
CN218124326U (zh) 储能电源以及储能设备
US20130082543A1 (en) Portable power supply
WO2007058402A1 (en)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JP2007295684A (ja) ポータブル電源装置
US20090315509A1 (en) Socket with switches and USB charge slots
WO2004038889A1 (en) External battery pack
KR100713865B1 (ko) 유니버셜 전원공급장치
KR200268846Y1 (ko) 배터리충전 겸용 멀티콘센트
US7018233B1 (en) Adapter socket for a rechargeable battery
EP2462662A1 (en) Plug
US11721989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JPH07231657A (ja) Acアダプター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KR200433830Y1 (ko) 충전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JP2003217750A (ja) 電源接続装置
US20100285847A1 (en) Cell phone mount
EP0779693A1 (en) A charging battery structure for hand phone
JP2024029611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