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89Y1 - 우산 가방 - Google Patents

우산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89Y1
KR200268389Y1 KR2020010037684U KR20010037684U KR200268389Y1 KR 200268389 Y1 KR200268389 Y1 KR 200268389Y1 KR 2020010037684 U KR2020010037684 U KR 2020010037684U KR 20010037684 U KR20010037684 U KR 20010037684U KR 200268389 Y1 KR200268389 Y1 KR 200268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ag
lid
umbrella bag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택훈
홍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딥
Priority to KR2020010037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89Y1/ko
Priority to PCT/KR2002/000557 priority patent/WO2003047382A1/en
Priority to AU2002246403A priority patent/AU200224640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우산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우산 가방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우산 가방은, 뚜껑; 수거된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유닛을 구비한 물받이통; 상기 뚜껑과 물받이통 사이에 조립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우산을 편리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조립성이 뛰어나 우산의 크기나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가방{Umbrella case}
본 고안은 우산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우산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우산 가방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에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들어갈 때, 우산의 처리 및 보관이 매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우산을 접으면 빗물이 실내의 바닥에 흘러내리고, 특히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와 같이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는 빗물에 젖은 우산이 다른 사람에게 접촉되어 불쾌감을 주게 된다. 요즘, 공공 장소 등에서 바닥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비닐팩을 제공하고 우산을 그 비닐팩에 넣어 다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비닐팩은 일회용으로 비가 올 때마다 새로이 마련해야 되므로 매우 소모적이고, 특히 환경 오염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단순히 우산을 케이스에 수납하게만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은 종래의 우산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우산의 손잡이부(103)와 케이스 몸체(105)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접으면 그 길이가 짧아지는 접이식 우산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01)의 손잡이부(103) 상단에제1결합수단(107)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5)의 하단에 상기 제1결합수단(107)과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수단(108)이 구비된다. 여기서는 우산(101)의 손잡이를 우산 케이스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우산을 상기 케이스(105)에 넣은 상태에서 들고 다닐 때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케이스(105)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우산의 내부면에까지 침투될 수 있다. 그러면, 우산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우산 내부면에 묻어 있던 빗물이 사용자에게 떨어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를 열 때 케이스(105) 내부에 고여있던 빗물이 갑자기 쏟아질 염려가 있다. 또한, 우산의 손잡이를 케이스의 일부로 사용하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우산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케이스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우산의 종류마다 따로 케이스를 마련해야 하므로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천시에 우산을 편리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우산의 길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우산 케이스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에 채용되는 뚜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에 채용되는 물받이통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뚜껑, 20...제1몸체
22,23,32,33...결합부, 25...격막
30...제2몸체, 36...연결고정수단
40...물받이통, 46...안내관
48...필터통, 50...격벽
52,57,60...유출구, 67...배출구
77...윈도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가방은, 뚜껑; 수거된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유닛을 구비한 물받이통; 상기 뚜껑과 물받이통 사이에 조립 가능하게 구비되고 우산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는, 상단부에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하단부에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1몸체; 상단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 방지 유닛은, 상기 물방이통의 내부 상부에 마련된 칸막이; 상기 칸막이로부터 하방 연장되어 형성되고,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된 유출구가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둘러싼 필터통; 상기 안내관과 상기 필터통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나누어진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있는 상기 필터통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물이 다단계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관 상부에 충격 흡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안내관으로 통하는 안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통에 수거된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는 투명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구멍; 상기 물받이통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1구멍에 대응되는 제2구멍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통에는 수거된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된 윈도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는 장식용 부품의 착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물받이통에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뚜껑에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합고정할 수 있는 연결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는, 서로 길이가 다른 제3, 제4 및 제5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4 및 제5 몸체는 선택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가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도 3을 참조하면, 뚜껑(10), 우산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수거하기 위한 물받이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는 예를 들어 제1몸체(20) 및 제2몸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0)는 상단부에 상기 뚜껑(10)에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2), 하단부에 상기 물받이통(40)에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23)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막(25)이 설치된다. 상기 격막(25)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몸체(20)의 내벽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격막(25)은 우산을 가방에 넣을 때 우산의 떨어지는 속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우산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20)(30) 내부에서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다시 상부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몸체(30)는 상단부에 상기 뚜껑(10) 또는 상기 제1몸체(20)에 결합가능한 제3결합부(32)가, 하단부에 상기 물받이통(40)에 결합가능한 제4결합부(33)가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32)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3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몸체(20)의 외경이 상기 제2몸체(30)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20)가 상기 제2몸체(30)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 사이에 연결고정수단(36)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고정수단(36)은 그 내주면에 상기 제3결합부(32)에 결합가능하게 된 나사홈(3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고정수단(36)이 상기 제3결합부(32)에 결합되어 상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3결합부(32)를 안쪽으로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34) 때문에 상기 제1몸체(20)가 상기 제2몸체(30)로 삽입되어 슬라이드될 때의 여유갭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연결고정수단(36)에 의한 조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30) 내부에도 상기 격막(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통(40)은 상단부 내주면에 상기 제2결합부(23) 또는 제4결합부(33)와 결합가능한 제5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40)은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수거함과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이 어떤 상태로 놓이거나 운반되더라도 수거된 물이 상기 제1 또는 제2 몸체(20)(30) 쪽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 방지 유닛(45)과 상기 물받이통(40) 내에 수거된 빗물을 밖으로 배출시킬수 있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도 4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뚜껑(10), 제1 및 제2 몸체(20)(30), 물받이통(40)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뚜껑(10)에 상기 제1몸체(20)와 물받이통(40)이 차례로 결합되거나(도 8 참조), 상기 뚜껑(10)에 상기 제2몸체(30)와 물받이통(40)이 차례로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더욱이, 상기 뚜껑(10), 제1 및 제2몸체(20)(30), 물받이통(40)이 모두 결합된 경우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결합부(22)에 의해 상기 제1몸체(20)를 상기 뚜껑(10)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몸체(20)를 상기 제2몸체(30)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20)는 상기 제2몸체(30)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다음, 상기 연결고정수단(36)을 이용하여 우산 가방의 길이를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고정수단(36)은 상기 제3결합부(32)에 결합되어 상부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3결합부(32)가 상기 제1몸체(20)쪽으로 조여지게 함으로써 고정된다.이에 따라, 본 고안의 우산 가방은 용이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예컨대, 골프 우산, 일반적인 사이즈의 장우산, 어린이용의 우산 등과 같이 길이가 서로 다른 모든 종류의 우산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뚜껑(10)에 캐릭터 상품과 같은 외관 장식용 부품(3)을 착탈 가능하도록 착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실용성뿐만 아니라 외관적 미려함까지 갖추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 상부에 나사홈(5)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용 부붐(3)의 하부에 상기 나사홈(5)에 결합되는 나사부(6)를 마련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의 상단부에 결합홈(7)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7)에 삽입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8)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상기 결합부(8)에 장식용 부품(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7)과 결합부(8)는 나사홈과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상기 장식용 부품(3)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위기와 사용자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물받이통(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물받이통(40)의 단면도로서, 상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23) 또는 제 4결합부(33)에 결합가능한 제5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랫부분에 칸막이(42)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42)의 하부쪽에 역류 방지 유닛(45)이 마련된다. 상기 역류 방지 유닛(45)은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수거된 후 다시 상기 제1 및 제2 몸체(20)(30) 쪽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역류 방지 유닛(45)은 상기 칸막이(42)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빗물 안내관(46)과, 상기 빗물안내관(46)을 둘러싼 역류방지 필터통(48)과, 상기 안내관(46)과 필터통(48)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빗물 안내관(46)에는 상기 필터통(48)쪽으로 빗물이 유출되도록 제1유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우산 가방에 우산을 넣을 때 그 낙하 속도나 진동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46)의 상부쪽에 고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55)에는 상기 안내관(46)으로 통하는 안내구(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벽(50)에 의해 상기 필터통(48) 내부는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50)은 상기 제1유출구(52)가 형성된 곳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격벽(50a)과 제2격벽(5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격벽(50a)(50b)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및 제2 격벽(50a)(50b)에도 빗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유출구(57)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통(48)에도 다수개의 제3유출구(6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격벽(50a)(50b)에 의해 상기 필터통(48) 내부에 형성된 공간 중 상기 안내관(46)에 있는 제1유출구(52)가 포함되지 않은 공간(63)에 있는 필터통에 상기 제3유출구(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역류 방지 유닛(45)에 의해 빗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산이 본 고안의 우산 가방에 넣어지면,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이 흘러 상기 안내관(46)으로 모인다. 여기서, 빗물이 더욱 잘 모이도록 상기 칸막이(42)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관(46)에 모인 빗물은 상기 제1유출구(52)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격벽(50a)(50b)에 있는 제2유출구(57) 및 상기 필터통(48)에 있는 제3유출구(60)를 통해 상기 물받이통(40)에 수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역류 방지 유닛(45)은 빗물이 상기 제1 내지 제3 유출구(52)(57)(60)들을 통해 다단계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물받이통(40)에 수거된 빗물은 다시 상기 제1 및 제2 몸체(20)(30) 쪽으로 흘러 들어가기 어렵다. 따라서, 우산 가방을 들고 다니는 동안 빗물이 우산 내부로 침투되는 일 없이 그리고 뚜껑을 열었을 때 빗물이 쏟아지는 일 없이 편리하게 우산을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받이통(40)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수거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빗물배출수단의 일예는 상기 물받이통(40)의 측벽에 슬라이드홈(65)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6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배출구(67)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67)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바이어스 지지하는 탄성부재(69)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67)는 상기 슬라이드홈(65)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고, 상기 탄성부재(69)의 복원력에 의해 패쇄된다.
상기 빗물배출수단의 또 다른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물받이통(40)의 하부면에 제1구멍(70)이 뚫리고, 그 위로 상기 물받이통(40)의 하부면 외주부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된 덮개(72)가 중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72)에는 상기 제1구멍(70)에 대응되는 제2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72)를 회전시켜 상기 제1구멍(70)과 제2구멍(75)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빗물을 배출한 후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멍(70)(75)이 불일치되도록 상기 덮개(72)를 회전시킴으로써 빗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40)에 수거된 물의 양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통(40)의 측벽에 투명 재질로 된 윈도우(77)를 더 구비한다. 또는, 상기 배출구(67)를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별도의 윈도우 없이 수거된 물의 양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우산 가방은 장우산을 길이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단 또는 3단의 접이식 우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4는 상기 뚜껑(10), 제1 및 제2 몸체(20)(30), 물받이통(40)을 차례대로 조립한 것으로 장우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수단(36)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하고 있는 우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접이식 우산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에서 상기 제2몸체(30)를 상기 제1몸체(20)의 상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함으로써 접이식 우산을 넣고 다닐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 제1몸체(20) 및 물받이통(40)을 차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 제2몸체(30) 및 물받이통(40)을 차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의 길이를 다르게 제조하여 2단 접이식 우산과 3단 접이식 우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가 상기 뚜껑(10)과 상기 물받이통(40)에 모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성이 뛰어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몸체(20)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제2결합부(23)는 상기 물받이통(40)에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몸체(30)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제3결합부(32)는 상기 뚜껑(10)에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고정수단(36)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몸체(20)(30)를 결합시키고, 길이 조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의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진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1몸체(20)를 빼고, 상기 제2몸체(30)의 아래쪽으로 제3몸체(37) 및 제4몸체(38)를 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내지 제4 몸체(30)(37)(38)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제조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조립 및 해제함으로써 우산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상기 뚜껑(10)에서부터 제 2 내지 제4 몸체(30)(37)(38), 물받이통(40)에 이르기까지 그 외경이 동일한 사이즈로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은 몸체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힌지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가방끈(80)을 구비하는데,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방끈(8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82)가 상기 제1몸체(20)의 상부 양측에구비되거나 상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의 측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방끈(80)의 일단을 상기 뚜껑(10)에 결합하고 타단을 다른 적당한 곳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방끈(80)을 결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10)이 가방끈(80)에 달려 있게 되므로 뚜껑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우산을 편리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조립성이 뛰어나 우산의 크기나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 사용된 우산을 수납한 경우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수거하고 수거된 물은 다시 우산쪽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된 물받이통을 별도로 구비하여 우산 가방을 어떠한 상태로 놓거나 운반하더라도 우산 가방 내에서 빗물이 유동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우산 가방으로부터 우산을 꺼낼 때 또는 우산을 펼 때 빗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캐릭터 장식품과 같은 장식용 부품을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우산 가방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캐릭터 상품을 장식용으로 달고 다니는 것을 선호하는 신세대들의 요구에도 부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가방은 실용성 뿐만 아니라 외관의 심미성까지 겸비한 것이다.

Claims (17)

  1. 뚜껑;
    수거된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유닛을 구비한 물받이통;
    상기 뚜껑과 물받이통 사이에 조립 가능하게 구비되고 우산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는,
    상단부에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하단부에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1몸체;
    상단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유닛은,
    상기 물방이통의 내부 상부에 마련된 칸막이;
    상기 칸막이로부터 하방 연장되어 형성되고,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된 유출구가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둘러싼 필터통;
    상기 안내관과 상기 필터통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나누어진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있는 상기 필터통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물이 다단계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 상부에 충격 흡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안내관으로 통하는 안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에 수거된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투명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구멍;
    상기 물받이통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1구멍에 대응되는 제2구멍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에는 수거된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된 윈도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장식용 부품의 착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물받이통에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3. 제 2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뚜껑에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합고정할 수 있는 연결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5. 제 1항에 있어서,
    가방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방끈의 일단이 상기 뚜껑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에 방사형으로 절개된 격막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는,
    서로 길이가 다른 제3, 제4 및 제5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4 및 제5몸체는 선택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가방.
KR2020010037684U 2001-12-06 2001-12-06 우산 가방 KR200268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84U KR200268389Y1 (ko) 2001-12-06 2001-12-06 우산 가방
PCT/KR2002/000557 WO2003047382A1 (en) 2001-12-06 2002-03-29 Umbrella bag
AU2002246403A AU2002246403A1 (en) 2001-12-06 2002-03-29 Umbrella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84U KR200268389Y1 (ko) 2001-12-06 2001-12-06 우산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89Y1 true KR200268389Y1 (ko) 2002-03-16

Family

ID=1971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684U KR200268389Y1 (ko) 2001-12-06 2001-12-06 우산 가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68389Y1 (ko)
AU (1) AU2002246403A1 (ko)
WO (1) WO20030473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31B1 (ko) 2011-11-10 2012-08-22 전대부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KR101231335B1 (ko) 2011-08-02 2013-02-07 강대업 전동차량용 우산 보관대
WO2013032307A2 (ko) * 2011-09-02 2013-03-07 Jun Daeboo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8610A (en) * 2013-09-25 2015-04-01 Maralyn Wnek An umbrella holder
US10986905B1 (en) * 2020-01-14 2021-04-27 Zaida Janczewski Umbrella c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06A (ja) * 1993-11-24 1995-06-06 Katsuhiko Nishimoto 折畳み傘の収納具
JP3039090U (ja) * 1996-12-27 1997-06-30 玉卿 李 排水構造を有する雨傘用防水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35B1 (ko) 2011-08-02 2013-02-07 강대업 전동차량용 우산 보관대
WO2013032307A2 (ko) * 2011-09-02 2013-03-07 Jun Daeboo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WO2013032307A3 (ko) * 2011-09-02 2013-04-25 Jun Daeboo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KR101176331B1 (ko) 2011-11-10 2012-08-22 전대부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7382A1 (en) 2003-06-12
AU2002246403A1 (en) 200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54B2 (en) Water bag for bicycle riders
CA2440636A1 (en) Protective-sleeve cartridge and stethoscope incorporating same
US20070017507A1 (en) Sprayer with changeable volume
HK1073981A1 (en) Suitcase
USD505062S1 (en) End cap for shower rod
KR200268389Y1 (ko) 우산 가방
US6804839B1 (en) Combination toilet brush/plunger apparatus
CA2359012A1 (en) Receiver and filter and adsorbent unit therefor
USD413430S (en) Portable umbrella holster
KR960020851A (ko) 용량 가변 주머니
USD501533S1 (en) Filter device for rainwater downpipes
US5297401A (en) Ice maker reservoir apparatus
CA2438812A1 (en) Inflatable and disposable portable toilet assembly
USD447025S1 (en) Plastic stake
US4066170A (en) On-wall umbrella holder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USD391274S (en) Oil drainage device
USD589799S1 (en) Liquid cartridge
USD405936S (en) Ice cream cone with handle
USD482271S1 (en) Squeezable container for liquid and lotion dispensing
USD471848S1 (en) Channeled end cap for a vehicle running board
KR200390953Y1 (ko) 차량용 우산 보관함
KR200236561Y1 (ko) 우산집이 구비된 우산
USD504020S1 (en) Interior fitting and pipe cleaning device
USD380224S (en) Combined binoculars, telescope and comp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