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184Y1 -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184Y1
KR200268184Y1 KR2020010039255U KR20010039255U KR200268184Y1 KR 200268184 Y1 KR200268184 Y1 KR 200268184Y1 KR 2020010039255 U KR2020010039255 U KR 2020010039255U KR 20010039255 U KR20010039255 U KR 20010039255U KR 200268184 Y1 KR200268184 Y1 KR 200268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oluble
fuse
luminous color
col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선
Original Assignee
전우개발용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개발용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우개발용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9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184Y1/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선 전주의 상측 변압기 2차측 선로의 보호장치로 설치되는 수개의 전선휴즈(수용가별 1개씩 설치)중 일부선로에 과부하등으로 전선휴즈가 용단되었을 때, 지상에서 이를 손쉽게 식별하여 손쉬운 보수로 유도하는 장치로서, 본 전선휴즈가 구비하는 투명내관에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가용선과, 이 가용선과 연결되고 원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한 야광색채부재와, 상기 야광색채부재를 당겨서 이동되게 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용세선 및 도체선으로 구성되므로써, 기존의 전선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가용선이 끊어지면 일측 절연캡의 은폐관에 위치하던 야광색채부재가 코일스프링의 당김력으로 이동되어 투명외관을 통해 이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게 됨에 따라 당해 전선휴즈의 용단여부를 빠르게 확인 보수할 수 있으며, 심야 사고시에도 손전등 등의 불빛으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Checking equipment to burn out fuse of electric wire}
본 고안은 지상 배전선 전주의 상측 변압기 2차측 선로에 보호장치로 설치 사용되는 전선휴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 상측부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전선휴즈의 용단여부를 전주가 세워진 지상에서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고안된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공사는 지상에 전주를 세우고 그 상측부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낮추고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각 수용가로 전기가 공급토록 되어있는 바, 이때 각 수용가측의 보호를 목적으로 전선휴즈를 장착하여 저압인입선으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을 위해서 전기선로의 저압인입선으로 연결되는 전선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휴즈가 녹아서 용단되는 전선휴즈를 필히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휴즈는 단지 과전류 차단이라는 안전기능만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그 크기는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한 전선휴즈가 전주 상측부에 설치되게 되면 그 휴즈의 용단여부를 지상에서는 육안으로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종전에는 전선휴즈의 용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공이 전주 위로 직접 올라가서 확인해야 하는 매우 불편하고도 번잡스러운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여러개의 전선휴즈중일부 선로에 과부하 등으로 해당 선로의 전선휴즈가 용단되었을 때 지상에서도 그 용단여부를 손쉽게 식별 확인하여 이를 손쉬운 보수로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전선휴즈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도 채용 가능한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선휴즈가 구비하는 투명내관의 내부에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가용체와, 이 가용체와 전기접속되고 원거리에서도 식별가능한 야광색채부재와, 상기 야광색채부재를 이동시 당겨서 이용되게 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이 연장되어 전기접속되는 가용세선 및 도체선으로 이루어져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휴즈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전선휴즈의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절연캡 2 : 가용체
3 : 투명내관 5,5′: 고정캡
5a : 은폐부 8 : 투명외관
9 : 공간부 11 : 가용세선
12 : 야광색채부재 13 : 코일스프링
14 : 도체선
본 고안에 따른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를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이 실시된 전선휴즈의 분리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서, 양측 절연캡(1)(1′)사이에 가용체(2)가 지지되어 있고, 그 외부에는 길다란 투명내관(3)이 씌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용체(2)는 양단의 접속단자(2a)가 절연체(1)(1′) 외측으로 나오도록 되어 있고, 이 접속단자(2a)는 관용수단인 접속도관(4)등이 내장되는 고정캡 (5)(5′)의 내부로 삽입토록 되어 있다.(도2참조)
고정캡(5)(5′)도 절연체이며, 이 고정캡(5)(5′)의 내부로저압인입선(6)(6′)이 삽입되어 접속도관(4)과 전기접속된다.
그러므로 저입인입선(6)을 통해서 흐르게 되는 전류는 가용체(2)를 거쳐서 타측의 저압인입선(6′)으로 통전된다.
여기서 부호 7 및 7′는 단자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투명내관(3)의 외측으로 안전을 위한 투명외관(8)이 설치된다. 이 투명외관(8)은 양단부가 고정캡(5)(5′)내로 삽입되므로써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명내관(3)과 투명외관(8) 사이에는 소정간격의 공간부(9)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공간부(9)를 이용하여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1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본 용단여부확인장치(10)는 일측에 가느다란 가용세선(11)을 구비하고, 이 가용세선(11)은 원통형태의 야광색채부재(12)의 내단부에 일체형으로 용착되어 연결된다.
또한, 가용세선(11)과 반대쪽의 야광색채부재(12)에는 굵은 직경의 코일스프링(13)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외측단부는 일자형태로 나와서 도체선(14)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용단여부확인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같이 가용세선(11)은 일측의 절연캡(1)과 고정캡(5)사이의 공간으로 조립되어 일측의 저압인입선(6)과 전기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야광색채부재(12)는 일측 절연캡(1)과 거의 근접되는 위치에서 투명내관(3)과 투명외관(8) 사이의 공간부(9)에 내장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야광색채부재(12)와 일체형의 코일스프링(13)도 역시 공간부(9)에 삽입되어서 조립되고, 도체선(14)은 타측의 절연캡(1′)과 고정캡(5′)사이의 공간으로 조립되어 타측의 저압인입선(6′)과 전기접속된다. 이때 코일스프링(13)은 당겨져서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야광색채부재(12)가 위치하는 쪽의 고정캡(5)은 상기한 야광색채부재(12)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 즉 은폐시킬 정도의 은폐부(5a)를 타측의 고정캡(5′)보다 더 갖는다. 그러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캡(5′)도 은폐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고정캡(5)(5′)을 동일한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고정캡(5)은 사출성형부품이므로 은폐부(5a)는 본체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평상시 야광색채부재(12)는 고정캡(5)의 은폐부(5a) 내에 위치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은폐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외부에서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전선휴즈의 용단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투명외관(8)을 통해 야광색채부재(12)가 보이지 않으면 이 상태는 정상적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전선휴즈의 정상상태는 도 5a와 같이 가용체(2) 및 가용세선(11)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선로에 과부하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과부하전류는 가용체(2)로 흐르게 됨과 동시에 가용세선(11)으로도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전류에 의해 가용체(2)가 끊어지게 되는 단락이 되면 그와 동시적으로 가용세선(11)도 녹아서 단락되게 된다.( 도 5b 참조)
다음, 가용세선(11)이 용단되면 늘어나 있던 코일스프링(13)이 본래의 상태로 오무려지게 됨에 따라 야광색채부재(12)가 당겨지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야광색채부재(12)는 고정캡(5)의 은폐부(5a)가 있는 지점에서 투명내,외관(3)(8)의 중간부분 지점으로 이동위치하게 된다.
즉, 도체선(14)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용세선(11)이 용단되면 코일스프링(13)은 도체선(14)쪽 방향으로 오무려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고정캡(5)의 은폐부(5a)내측에 위치되어 있던 야광색채부재(12)가 은폐부(5a) 밖으로 이동위치되게 되고, 그로 인해 투명외관(8)을 통해서 야광색채부재(12)가 투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야광색채부재(12)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투명외관(8)을 통해서 야광색채부재(12)가 보이게 되면 이때는 가용체(2)가 용단된 상태 즉, 단락상태임을 먼거리에서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전주위에 설치된 전선휴즈의 단락여부를 전주를 올라가지 않고도 지상에서 주,야간에 구애됨이 없이 손쉽게 이를 확인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전선휴즈의 용단여부를 먼거리에서도확인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전선휴즈의 점검을 주,야간에 구애없이 항상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가용체와, 이 가용체가 내장되는 투명내관과, 상기 가용체 및 투명내관을 지지하는 절연캡과, 상기 절연캡의 외측에 결합되고 가용체와 저압인입선을 접속되게 하며 투명외관을 지지하는 고정캡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용체의 일측과 접속되고 과부하시 용단되는 가용세선과,
    상기 가용체와 연결되고 투명내,외관 사이의 공간부에 내장되어 이동가능하게 되며 일측 고정캡의 은폐부에 위치하는 야광색채부재와,
    상기 야광색채부재와 일체로 되고 가용체의 용단시 야광색채부재를 고정캡의 은폐부에서 나오게 하는 복귀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가용세선은 가용체의 일측과 전기접속되고 타측의 도체선은 가용체의 타측과 전기접속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KR2020010039255U 2001-12-19 2001-12-19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KR200268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55U KR200268184Y1 (ko) 2001-12-19 2001-12-19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55U KR200268184Y1 (ko) 2001-12-19 2001-12-19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184Y1 true KR200268184Y1 (ko) 2002-03-15

Family

ID=7307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55U KR200268184Y1 (ko) 2001-12-19 2001-12-19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1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07B1 (ko) 2019-10-30 2021-02-24 한국전력공사 결함 복구가 용이한 전선 휴즈
KR20210154457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07B1 (ko) 2019-10-30 2021-02-24 한국전력공사 결함 복구가 용이한 전선 휴즈
KR20210154457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KR102374813B1 (ko) * 2020-06-12 2022-03-17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9877B2 (en) Faul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5760673A (en) Current limiting fuse and dropout fuseholder
US20110279218A1 (en) Double wound fusible element and associated fuse
CN101253658A (zh) 包含过热状况保护的配电装置
US9324533B2 (en) Medium voltage controllable fuse
US4617544A (en) High voltage, high rupture capacity fuse
US9805897B2 (en) Fuse with carbon fiber fusible element
US4511876A (en) Electrical fuse with response indicator
EP0640998A1 (en) Load break disconnecting device with solid arc suppression means
KR200268184Y1 (ko) 전선휴즈의 용단여부 확인장치
US3855563A (en) Circuit interrupter
US20080180208A1 (en) Fuse Sleeve Having Window for Blown Fuse Indication
US4186365A (en) Translucent housing for a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4001749A (en) Electric fuse for elevated circuit voltages
KR19990039426U (ko) 전선휴즈의 단락 여부 확인장치
ES2576204T3 (es) Borne de conexión eléctrica
EP1074032B1 (en) An interrupt assembly for a primary circuit breaker
JP2016162683A (ja) 高圧電気回路保護用ヒューズ
JP2873169B2 (ja) 引込用ヒューズ内蔵コネクター
US5898148A (en) Coil shaped terminal for an electrodynamically operated circuit breaker
US20190103242A1 (en) Circuit breaker
KR200193331Y1 (ko) 휴우즈 링크
JP3686786B2 (ja) 三極連動ヒューズ
US20240136136A1 (en) Electrical device and power cut-off system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0480318Y1 (ko) 섬락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